$\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을 위한 신체활동-행동수정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ehavior Modification Combined Intervention(PABM-intervention)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6, 2007년, pp.902 - 913  

탁영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안지연 (국립암센터) ,  김영아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  우해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ehavior modification combined intervention(PABM-intervention)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irty-two participants ($BMI\geq85$ percentile or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체활동-행동수정 병행 프로그램과 전형적인 보건교육 형식의 행동수정요법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원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종속변수 측정은 두 실험군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와 총 8 주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검사를 근간으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행동수정요법 병행 비만프로그램이 학령기 비만 아동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신체활동-행동수정요법 병행 비만프로그램 그룹과 행동 수정요법 그룹 간 프로그램 전·후 신체계측 및 혈액검사의 수치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모두 변수 측정방법은 동일하고 검사 후에는 간식(빵과 우유)을 제공하여 금식으로 인한 저혈당 증상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신체계측 및 혈액계측은 연구자와 훈련된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 힙합댄스는 매주 수요일에 ng 에어로빅 선수생활 경험이 있는 전문 에어로빅 강사의 지도하에 준비운동 10분, 주운동 30분, 마무리 운동 10분간 학교 실내강당에서 이루어졌다. 안무와 음악은 에어로빅 강사가 직접 준비해왔고 신체활동 강도는 중정도 수준으로 맞추었으며 연구자가 동참하여 심폐기능 저하 및 기타 건강문제를 관찰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생활스포츠는 매주 월요일에 전문 생활체육 지도강사의 지도하에 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려 공간 지각력을 키우기 위한 유산소 및 무산소운동 프로그램(줄넘기, 1단 뛰기, 달리기, 농구 및 드리블 점프 슛, 윗몸 일으키기, 스트레칭 등)으로 준비운동 10분, 주운동 30분, 마무리 운동 10분간 실시하였다.
  • 종합적으로 볼 때,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프로그램은 식이 프로그램과 운동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활동-행동수정요법 병행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여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대사증후군은 여러 가지의 위험인자가 군집해서 나타나는 질환이나 가장 중심에 있는 비만이라는 지방대사 관점에 본다면 비만 인구를 대상으로 위험인자를 포괄하는 다각적인 프로그램을 조기에 적용하는 것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가장 예방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일개 초등학교 4학년 중 비만 위험군 및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활동-행동 수정요법 병행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전후 대사증후군 진단항목의 수치 변화를 즉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표준체중에 의한 상대적 비만도가 10 이상이거나 체질량 지수가 85 백분위 이상인 비만 위험군에 속하는 초등학생 4학년 총 32명이었고, 편의추출에 의해 이들은 신체활동-행동 수정요법을 병행 실험군 1과 행동수정요법만 실시한 실험군 2로 나뉘어 총 8주간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 실시되었다.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식이와 운동을 스스로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고 일상생활습관 및 행동을 자발적으로 수정하는데 목적를 두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에 비만과 건강, 운동 및 신체 활동, 영양 및 식사 조절, 그리고 비만과 사회 심리적 요인에 관한 내용 등을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영양교육 시간에는 스스로 칼로리를 계산하고 직접 음식을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고, 비만에 관한 잘못된 인식의 변화는 BMI 및 비만도 계산하기와 같은 체험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상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스트레스 관리와 신체활동 증진과 관련된 자가 평가 활동(역할 놀이, 생활계획표 작성하기, 일기장 작성하기 등)을 통해 비만과 건강에 대한 인식변화를 모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lkau, B., Charles, M. A., Drivsholm, T., Borch-Johnsen, K., Wareham, N., Yudkin, J. S., Morris, R., Zavaroni, I., van Dam, R., Feskins, E., Gabriel, R., Diet, M., & Nilsson, P. (2002). Frequency of the WHO metabolic syndrome in European cohorts, and an alternative defmition of an insulin resistance syndrome. Diabetes Metab, 28(5), 364-376 

  2. Castillo, E. H., Borges, G., Talavera, J. O., Orozco, R., Vargas-Aleman, C., Huitron-Bravo, G., Diaz-Montiel, J. C., Castanon, S., & Salmeron, J.(2007). Body mass index and the preve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wo Mexican populations. J Adolesc Health, 40(6), 521-526 

  3. Chen, A. K., Roberts, C. K., & Barnard, R. J. (2006). Effect of a short-term diet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overweight children. Metabolism, 55(7), 871-878 

  4. Chi, C. H., Wang, Y., Wilson, D. M., & Robinson, H. N. (2006).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preadolescent girls. J Pediatr, 148(6), 788-792 

  5.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e erlaum associates Inc 

  6. Deedwania, P. C. (2004). Metabolic syndrome and vascular disease: Is nature or nurture leading the new epidemic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9(1), 2-4 

  7.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2001).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ll). JAMA, 285(19), 2486-2497 

  8. Fernandez, J. R., Redden, D. T., Pietrobelli, A., & Allison, D. B. (2004). Waist circumference percentiles in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African-American, EuropeanAmerican, and Mexican-American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tr, 145(4), 439-444 

  9. Fernando, G. R., & Martha, R. M. (2006).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non-obese prepubertal children and its association with family history of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nd obesity. Arch Med Res, 37(8), 1015-1021 

  10. Freedman, D. S., Dietz, W. H., Srinivasan, S. R., & Berenson, G. S. (1999). The relation of overweight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Bogalusa Heart Study. Pediatrics, 103(6 Pt 1), 1175-1182 

  11. Gillman, M. W., Cupples, L. A., Moore, L. L., & Ellison, R. C. (1992). Impact of within-person variability on identifying children with hypercholesterolemai: Framingham children's study. J Pediatr, 121(3), 342-347 

  12. Goodman, E., Daniels, S. R., Morrison, J. A., Huang, B., & Dolan, L. M. (2004). Contrasting prevalence of and demographic disparities in the World Health Oragnization and National Cholesterol Edu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defmition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olescents. J Pediatr, 145(4), 445-451 

  13. Grundy, S. M., Cleeman, J. I., Daniels, S. R., Donato, K. A., Eckel, B. A., Franklin, B. A., Gordon, D. J., krauss, R. M., Savage, P. J., Smith, S. C., & Spertus, J. A.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f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12(17), 2735-2752 

  14. Gudat, U., Bungert, S., Kemmer, F., & Heinemann, L. (1998). The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and glibenclamide in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 Med, 15(3), 194-198 

  15. Janssen, I., Katzmarzyk, P. T., Boyce, W. F., Vereechen, C., Mulvihill, C., Roberts, C., Currie, C., Pickett, W., & The Health Behaviour in School-Aged Children Obesity Working Group (2005). Comparis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in school-aged youth from 34 countr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Obes Rev, 6(2), 123-132 

  16. Ki, M., Choi, B., Kim, M. K., Kim, K. R., Fang, J. N., & Kang, Y. J. (2000). Lipid profiles and related factors m adolescent. Korean J Prev Med, 33(1), 83-90 

  17. Korean Pediatric Society (1998). Korean Growth Chart of Children. Retrieved July 18, 2006 http://www.pediatrics.or.kr/ index.asp 

  18. Lakka, H. M., Laaksonen, D. E., Lakka, T. A., Niskanen, L. K., Kumpusalo, E., Tuomilehto, J., & Salonen, J. T. (2002).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JAMA, 288(21), 2709-2716 

  19. Lambert, M., Paradis, G., O'Loughlin. J., Delvin, E. E., Hanley, J. A., & Levy. E. (2004).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Quebec, Canada.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7), 833-841 

  20. Manitos, Y., Moschandreas, J., Hatzis, C., & Kafatos, A. (1999). Evaluation of a health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rimary school children of crete over a three-year period. Prev Med, 28(2), 149-159 

  21. Meigs, J. B. (2003). The metabolic syndrome. Br Med J, 327(7406), 61-62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Seoul, Kore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Report 2005. Retrived October 12, 2006 from http://2010.hp.go.kr/newboard/ssunaboardnet.aspx?b_id201 

  23. Oh, E. G., Kim, S. H, Hyun, S. S., Kang, M. S., & Bang, S. Y. (2007)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J Koean Acad Nurs, 37(1), 72-80 

  24. Park, H. S., Oh, S. W., Cho, S. I., Choi, W. H., & Kim, Y. S. (2004).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ults. Int J Epidemiol, 33(2), 328-336 

  25. Park, J. S., Ryu, R. K., & Lee, H. Y. (1998). The influence of behavioral modification and aerobic exercise program on blood fat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5(2), 119-142 

  26. Sarti, C., & Gallagher, J. (2006).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CHD risk, and treatment. J Diabetes Complications, 20(2), 121-132 

  27. Sato, Y., Nagasaki, M., Kubota, M., Uno, T., & Nakai, N. (2007). Clinical aspects of physical exercise for diabetes/ metabolic syndrome.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11 May 2007 

  28. Schupis, K., & Karikas, G. (1998).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istribution in 7767 school-aged Greek children. Pediatrics. 101(5), 861-864 

  29. Sharma, M. (2006). International school-based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obesity in children. Obes Rev, 8(2), 155-167 

  30. Steinbeck, K. S. (2001).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hood: a review and a opinion. Obes Rev, 2(2), 117-130 

  31. Stone, N. J. (1998). Primary prevention of coronary disease. Clinical Cholesterol . Hyperlipidemia, 1, 31-49 

  32. Tan, C. E., Emmanuel, S. C., Tan, B. Y., & Jacob, E. (1999). Prevalence of diabetes and ethnic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 The 1992 Singapore National health survey. Diabetes Care, 22(2), 241-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