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패션의 전략적 사용
Strategic Use of Fashion: A View from Sociology of Cultur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9/10, 2007년, pp.1342 - 1351  

최샛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data set drawn from 1419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what implications clothing or fashion has on self-expression or image management in Korean society and who are more likely to use fashion as a image management tool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s. Employing Pierre B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문에서는 이러한 Bourdieu 자본 구분의 근본적 취지에 근거하여 문화자본을 경제자본과는 구분되면서 어떤 특정 시점에는 경제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는 모든 자원으로 정의함으로써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경제자본과 문화 자본이라는 구분된 자본의 개념을 가지고 지금까지 계급과 패션이라는 관계를 다룬 이론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계급과 패션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의복취향과 패션은 계급간의 구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는 이 둘 사이의 조응성을 강조하는 견해와 그렇지 않다는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 신분상승을 노리는 집단이 하위집단과 구별되기 위해 신분을 드러내는 지표로 새로운 스타일을 받아들인 반면, 지위가 안정되고 부와 상속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가장 높은 신분집단은 가장 최신의 패션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베블렌, 1899/1983).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패션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 이 논문은 기본적으로 프랑스의 사회학자 Pierre Broudieu의 자본개념을 받아들여,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경제적인 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계층적 특성, 그리고 문화적인 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인 특성과 패션의 전략적 사용 사이의 관계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 수집된 한국의 대학생 1, 419명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패션이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패션을 인상관리에 보다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논문은 이러한 의상 또는 패션이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자신의 인상관리를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된다는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매 일의 다양한 상호작용 속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고 행동하며, 우리가 어떤 사람에 대해 형성한 인상은 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준다(Leary, 1995).
  • 그리고 이러한 유행의 중심에는 의상, 패션이 자리잡고 있다. 논문은 최근 들어 사회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의상 또는 패션이 한국사회에서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패션을 인상관리에 보다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 사회학적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연구는 문화적 가공물로서의 패션과 의상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정리함으로써 후속연구의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패션 또는 의상이라는 것이 단순히 자신들의 개성을 드러내는 표현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계충적인 배경에 의해 많은 부분 결정되는 계충 또는 계급의 구별짓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매개체임을 시사한다.
  •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 수집된 한국의 대학생 1, 419명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패션이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패션을 인상관리에 보다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맞는 적절한 패션을 선택한다; 4) 나는 좋은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명품 브랜드를 사용한다. 이 지표의 신뢰도 값은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프만, 어빙 (1959).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연극적 사회분석론. 김병서 옮김 (1987). 서울: 경문사 

  2. 매크래켄, 그랜트. (1988). 문화와 소비: 소비재와 소비행위 의 상징적인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상률 옮김 (1996). 서울: 문예출판사 

  3. 김진송. (1999).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4. 베블렌, 토르스타인. (1899). 유한계급론. 정수용 옮김 (1983). 서울: 동녘 

  5. 이노우에, 슌. (1998). 현대문화론. 최샛별 옮김 (2004). 서울: 이대출판부 

  6. 이동원, 함인희, 박선웅, 장미혜. (2001). 의복의 소비문화와 계급정체성. 가족과 문화, 13(1), 133-155 

  7. 최샛별, 진기남. (2006).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에서의 명품의 인상관리적 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672-678 

  8. Barber, B. (1957). Social stratification. New York: Harcourt, Brace & Co 

  9. Blumer, H. (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Sociological Quarterly, 10(Summer), 275-291 

  10. Bocock, R. (1993). Consumption. New York: Routledge 

  11.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2.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s.),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Greenwood Press 

  13. Crane, D. (2000). Fashion and the social agend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Featherstone, M. (1991). Consumer culture and postmodernism. London: Sage Publications 

  16. Giacalone, R. A. (1989). Image control: The strategies of impression management. Presonnel, 66(5), 52-55 

  17. Giacalone, R. A. & Rosenfeld, P. (1991). Applied impression management. London: Sage 

  18. Halle, D. (1992). The audience for abstract art: Class, culture, and power. In M. Lamont & M. Fournier (Eds.), Cultivating difference (pp. 131-151).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Jones, E. E. & Pittman, T. S. (1982). Toward a general theory of strategic self-presentation. In J. Suls (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 1 (pp. 231-262). Hillsdale, NJ: Erlbaum 

  20. King, C. W. (1981). Fashion adoption: A rebuttal to the 'trickle down' theory. In B. S. George (Eds.), Perspectives of fashion (pp. 31-39). Minneapolis: Burgess 

  21. Leary, M. R. (1995). Self-presentation: Impression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behavior. Boulder: Westview 

  22. Leary, M. R. & Kowalski, R. M. (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1), 34-47 

  23. McKendrick, N. (1982). The commercialization of fashion. In N. McKendrick, J. Brewer, & J. H. Plumb (Eds.),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pp. 34-98).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4. Robinson, D. E. (1961). The economic of fashion demand.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75(3), 376 

  25. Schlenker, B. R. (1980). Impression management: The self-concept, social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Monterey: Brooks/Cole 

  26. Schneider, D. J. (1981). Tactical self-presentation: Toward a broader conception. In J. T. Tedeschi (Ed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pp. 23-40). New York: Academic Press 

  27. Simmel, G. (1997). Simmel on culture: Selected writings. London: Sage 

  28. Vidich, A. J. (1995). Class and politics in an epoch of declining abundance. In A. J. Vidich (Eds.), The new middle classes: Life-styles, status claims and political orientations (pp. 364-86). New York: Macmill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