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
A Study on Hairdo Attitude and Hairdo Involve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9/10, 2007년, pp.1384 - 1395  

이혜원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영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hairdo attitude and hairdo involvement, the differences in the hairdo involvement by hairdo attitude.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Seoul and Kyung-gi do during September to October 2006. 406 questionnaires were use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의복뿐만 아니라 헤어를 통해서도 자신을 나타내고 다른 사람을 지각하며 평가한다. 헤어는 신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성격과 자아개념 등의 사회 심리적인 특성들이 반영되기 때문에 자기표현의 상징적인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헤어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의 차원들을 밝혀 각각의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에 관한 차원들을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해 차원들을 검증하고, 두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 하려고 한다.
  • 그러나 헤어 태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헤어 행동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헤어 태도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소비자들은 헤어와 관련하여 자신의 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소비자가 헤어에 관련하여 인지하는 위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이에 대한 관여 수준도 증가하므로 위험지각을 헤어 관여의 차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이상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추출된 헤어 관여의 차원들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론되나 기존 연구가 없어 문헌적 연구가 어려웠다.
  • 기존 연구들(금혜령, 2000; 이부련, 조은영, 1998)에서 검증이 되었으므로, 이를 기초로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겠다. 따라서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도자 동조 지향을, 연예 인이나 모델 등의 헤어 선도자나, 멋진 머리를 한 주변 사람 등의 영향을 받아 그들과 유사한 헤어스타일을 선택하려는 태도, 로, 차별적 개성 지향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남들과 다르고 독특한 헤어스타일을 선택하려는 태도,대인 지향을 '다른 사람의 평가와 반응을 중요시하여 타인 의식적인 헤어스타일을 선택하는 태도,항상성 지향은, 자신의 개별성을 인식하여 자신만의 헤어스타일을 고수하는 습관적 태도, 로 각각 정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헤어 관심 및 즐거움을 헤어스타일 변화의 즐거움, 평소 헤어에 신경 쓰는 정도와 관심, 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헤어 유행성은 헤어의 유행에 관심을 가지며 유행하는 스타일을 좋아하고 자신의 헤어스타일에 유행을 수용하는 정도, '헤어 상징성은 '헤어로 상징되는 사회적 지위, 미적 감각, 개성 및 다른 사람의 평가기준 수단 등', 헤어 위험지각은 '헤어 손질을 잘못 받게 되었을 때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경제적, 심리적 손실문제 및 헤어 변화의 어려움', 헤어 연출 성은 의복, 화장, 액세서리 등을 고려한 헤어스타일 연출, 헤어 액세서리 착용 등의 소품 연출, TPO에 적절한 헤어 연출 등으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헤어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로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의 차원들을 밝혀 각각의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헤어 태도 집단에 따른 헤어 관여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헤어 태도와 헤어 관여에 관한 차원들을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해 차원들을 검증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를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권석만. (1995). 대학생의 대인관계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 모형. 서울대학생 연구, 30(1), 38-63 

  3. 금혜령. (2000). 노년기 여성의 의복 관여와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경득. (2002). 서양 현대 연기자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희. (2000). 헤어스타일 모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TV 드라마 탤런트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병미, 유미근. (2004). 대학생의 헤어 패션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1), 1-12 

  7. 김선옥. (1997). 미용서비스 품질인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양휴. (1996). 패션 헤어스타일의 선호와 성격간의 상관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원수. (1995). 경영윤리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김유덕. (2003).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 추구 이미지와 의복관심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찬주. (1992). 의복 구매에 관련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류은정. (1991). 의복 관여도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경애. (1987). 패션 확산 전략에 개성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관순. (1991). 패션에 대한 自我槪念과 性格特性이 衣服行動에 미치는影響.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박숙현, 류은혜, 이순덕. (2006). 한국과 호주 여성의 헤어스타일 행동 및 선호도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129-139 

  16. 박주비. (2004). 여대생의 신체적 특징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 행동 및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주비, 정옥임. (2005). 여대생의 신체적 특정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6), 97-112 

  18. 백경진. (2003).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동 및 영향 변인-의복 관여, 연령, 얼굴만족도 변인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서윤경. (2003). 여대생의 성격 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과 헤어 컬러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송기옥. (1999). 서비스 조직에 있어서의 내부 마케팅 전략 연구-미용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송용섭. (1994). 현대마아케팅론. 서울: 법문사 

  22. 신동금. (2004).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태도에 따른 헤어미용실 소비행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신동금, 남윤자. (2004). 소득과 소비지출에 다른 미용실에서의 구매행동 차이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0(2), 117-122 

  24. 신효정. (2002). 현대 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심용섭. (1998). 구매만족도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 쇼핑몰과 현실시장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안소현. (1996). 외국상표 의류에 대한 소비자 쇼핑성향 연구. 의복관여, 자민족중심주의 원산지 효과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안현경. (2005). 헤어스타일 演出에 關한 硏究. 首都圈 20代 女性의 얼굴形과 헤어 패션 感覺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애런슨, 엘리어트. (1972). 사회적 심리학: 사회적 동물. 윤진, 최상진 옮김 (1990). 서울: 탐구당 

  29. 오의재. (1995). 구매 후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만족도, 상표태도, 재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유은희. (2004). 헤어 미용 상품별 서비스의 위험지각과 만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부련, 조은영. (1998). 남, 여대학생의 의복 태도 연구-의복 관여, 정보원천사용, 상표충성도를 중심으로-. 사화과학연구, 5(5), 169-186 

  32.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 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이은실. (1994). 노년기 여성의 의복 관여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이은영. (1991).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35. 이의수. (1998). 모발과학. 서울: 현문사 

  36. 이인자. (1989). 의상 흥미의 국제간 비교연구 I: 일본과 대만 여대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연구보고; 12(9), 55-68 

  37. 임경복. (2001). 지각된 위험과 의복 관여가 정보탐색 활동에 미치는 영향-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2), 206-216 

  38. 임인숙, 권대순. (2001). 헤어 연출의 창의적 방법연구(헤어피스 제작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7(1), 41-63 

  39. 임희정, 이희현. (2002). 대학생들의 개인적 特性과 性格에 따른 헤어스타일 形態에 관한 연구: 영동지역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4(1), 35-59 

  40. 정미재. (1996). 의복 관여와 상표확장과의 상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정영주. (1994). 의복 관여와 준거집단 영향력과의 상관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정현숙. (2006). 미용서비스 소비자의 인적충성과 점포충성에 관한 이원적 충성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3. 조은영. (1993). 의복관여에 따른 제품평가기준과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최은영. (1990). 의복에 대한 소비자 관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하주연. (2002).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선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 추구 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 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복식, 29(5), 715-726 

  47. Anspach, K. (1967). The why of fashion.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48. Deutsch, M. & Gerard, H. B. (1955). A study of nonn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ement.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1, 629-636 

  49. Holbrook, M. B. & Hirschman, E. C.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50.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 Y: Holt, Rinehart and Winston 

  52. Schneider, D. J., Hastorf, A. H., & Ellsworth, P. C. (1979). Person perception. Reading, Mass: Addison-Wesley 

  53. Snyder, C. R. & Fromkin, H. L. (1980). Uniqueness: The human pursuit of difference. New York: Plenum 

  54.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