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3 no.3, 2007년, pp.193 - 200  

김나영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영란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민규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조두완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종설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oor airborne bacterial and fungal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at classrooms and corridors of 3 elementary schools in Ulsan. Airborne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with an impaction-type air sampler using plate count agar and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During the semester,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교 실내 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위 해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보통의 상황에서 공기중 미생물 농도의 일반적 수준 및 우점하는 미생물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유치원에서 계절별 공기중 미생물 분 포, 중 • 고등학교에서 상황별 공기중 미생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발표하였으며(1, 4),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실과 복도에서 실내 공기중 배양이 가능한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우점하는 세균과 사상성 진균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이아미, 김나영, 김소연, 김종설. 2005. 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미생물학회지 41, 188-194 

  2. 정선희, 백남원. 1998. 일부 병원 실내에서의 공기중 미생물 오염에 관한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8, 231-24l 

  3. 조현종, 홍경심, 김지훈 김현욱. 2000. 일부 종합병원 내 영역별 공기 중 미생물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0, 115-125 

  4. 황광한, 이아미, 신현진, 김종설. 2003. 유치원의 실내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 수의 계절적 변화. 미생물학회지39, 253-259 

  5. Atlas, R.M. and L.C. Parks. 1996. Handbook of microbiological media.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6. Brasel, T.L., J.M. Martin, C.G. Carriker, S.C. Wilson, and D.C. Straus. 2005. Detection of airborne Stachybotrys chartarum macrocyclic trichothecene mycotoxins in the indoor environment. Appl. Environ. Microbiol. 71, 7376-7388 

  7. Burge, H.A., D.L. Pierson, T.O. Groves, K.F. Strawn, and S.K. Mishra. 2000. Dynamics of airborne fungal populations in a large office building. Curr. Microbiol. 40, 10-16 

  8. Cooley, J.D., W.C. Wong, C.A. Jumper, and D.C. Straus. 1998. Correl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certain fungi and sick building syndrome. Occup. Environ. Med. 55,579-584 

  9. Daisey, J.M., W.J. Angell, and M.G. Apte. 2003.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and health symptoms in schools: an analysis of existing information. Indoor Air 13, 53-64 

  10. Fang, Z., Z. Ouyang, H. Zheng, X. Wang, and L. Hu. 2007.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in outdoor environments in Beijing, China. Microb. Ecol. (in press) 

  11. Fischer, G. and D. Wolfgang. 2003. Relevance of airborne fungi and their secondary metabolites for environmental, occupational and indoor hygiene. Arch. Microbiol. 179, 75-82 

  12. Gorny, R.L. and J. Dutkiewicz. 2002. Bacterial and fungal aerosols in indoor environmen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n. Agric. Environ. Med. 9, 17-23 

  13. Higgins, J.A., M. Cooper, L. Schroeder-Tucker, S. Black, D. Miller, J.S. Karns, E. Manthey, R. Breeze, and M.L. Perdue. 2003. A field investigation of Bacillus anthracis contamination of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other Washington, D.C., buildings during the anthrax attack of October 2001. Appl. Environ. Microbiol. 69. 593-599 

  14. Liu, L.J., M. Krahmer, A Fox, C.E. Feigley, A. Featherstone, A. Saraf and L. Larsson. 2000. Investig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nd their cell envelope components in indoor air in two elementary schools. J. Air Waste Manag. Assoc. 50, 1957-1967 

  15. Madigan, M.T., J.M. Martinko, and J. Parker. 2003. Biology of microorganisms, 10th ed., p. 729.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USA 

  16. McGrath, J.J., W.C. Wong, J.D. Cooley, and D.C. Straus. 1999. Continually measured fungal profiles in sick building syndrome. Curr. Microbiol. 38, 33-36 

  17. Meklin, T., A. Hyvarinen, M. Toivola, T. Reponen, V. Koponen, T. Husman, T. Taskinen, M. Korppi, and A. Nevalainen. 2003. Effect of building frame and moisture damage on microbiological indoor air quality in school buildings. AlHA J. 64, 108-116 

  18. Meklin, T., T. Husman, A Vepsalainen, M. Vahteristo, J. Koivisto, J. Halla-Aho, A. Hyvarinen, D. Moschandreas, and A Nevalainen. 2002. Indoor air microbes and respiratory symptoms of children in moisture damaged and reference schools. Indoor Air 12, 175-183 

  19. Mohr, A.J. 1997. Fate and transport of microorganisms, p. 641650. In C.J. Hurst, G.R. Knudsen, M.J. McInerney, L.D. Stetzenbach, and M.V. Walter (ed.), Manual of environmental microb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20. Murray, R.G.E., R.N. Doetsch, and C.F. Robinow. 1994. Determinative and cytological light microscopy, p. 21-41. In P. Gerhardt, R.GE. Murray, W.A. Wood, and N.R. Krieg (ed.),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21. Samson, R.A., E.S. Hoekstra, J.C. Frisvad, and O. Filtenborg. 2002. Introduction to food- and airborne fungi, 6th ed. 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Utrecht, Netherlands 

  22. Santilli, J. and W. Rockwell. 2003. Fungal contamination of elementary schools: a new environmental hazard. Ann. Allergy Asthma Immunol. 90, 203-208 

  23. Sebastian, A. and L. Larsson.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indoor environments: a chemical-analytical approach. Appl. Environ. Microbiol. 69, 3103-3109 

  24. Shelton, B.G, K.H. Kirkland, and W.D. Flanders. 2002. Profiles of airborne fungi in buildings and outdoor environments in the United States. Appl. Environ. Microbiol. 68, 1743-1753 

  25. Smedje, G, D. Norback, and C. Edling. 1997. Asthma among secondary schoolchildren in rel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Clin. Exp. Allergy 27, 1270-1278 

  26. Verhoeff, A.P. and H.A. Burge. 1997. Health risk assessment of fungi in home environments. Ann. Allergy Asthma Immunol. 78, 544-554 

  27. Watanabe, T. 1994. Pictorial atlas of soil and seed fungi-morphology of cultured fungi and key to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