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중·고등학생 휴대전화에서 분리한 식중독균의 특성 연구 -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4, 2016년, pp.255 - 265  

박선희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박연경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황인영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박혜영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성경혜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조현철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obile 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essential accessories in daily life. However, they may act as reservoir of infectious pathogens if they are used without hygienic practices in their handl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solate food-borne pathogens from mobile phones and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휴대전화에서 주요 식중독균을 분리하여 독소 특성 및 항균제 내성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휴대전화가 감염병의 매개체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부의 손씻기 운동과 더불어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 위생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휴대전화에서 주요 식중독균을 분리하여 독소 특성 및 항균제 내성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휴대전화가 감염병의 매개체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부의 손씻기 운동과 더불어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 위생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를 감염병의 매개체로 보고한 여러 연구들은 무엇이 있는가? 휴대전화 보급률 증가와 비례하여 휴대전화를 감염병의 매개체로 보고한 여러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휴대전화를 통한 피부염7)이나 휴대전화 표면에서 분리한 미생물 오염도 등이 보고15,16,19) 되고 있으나 연구대상이 주로 의료인이나 보건계열 교수진 및 학생 등이고 이들의 휴대전화에서 분리한 미생물 분포에 관한 보고가 대부분이다. 국외의 최근 연구경향은 휴대전화의미생물 분포 및 분리된 미생물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결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 외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34,36,38)
집단 식중독의 증가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최근 환경 변화 및 국제 교류로 인한 해외유입 감염병과 식생활 형태의 변화로 인한 집단 식중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개인 위생 관리, 특히 손 씻기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 손씻기 운동 등의 홍보를 통해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를 권장하고 있다.1,2) 하지만 손을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하더라도 손을 씻기 전 오염된 손과 접촉된 생활 주변의 물체는 손에 있는 미생물에 잠재적으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휴대전화의 경우 어떻게 오염원이 될 수 있는가? 1,2) 하지만 손을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하더라도 손을 씻기 전 오염된 손과 접촉된 생활 주변의 물체는 손에 있는 미생물에 잠재적으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전화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화장실이나 공공장소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세척 없이 사용하므로 손에 있는 미생물이 휴대전화로 옮겨질 수 있고, 기기 자체의 열 뿐만 아니라 가방이나 주머니에 보관하면서 적절한 온도로 인해 미생물 증식이 일어나 휴대전화에서 다시 손으로 옮겨지는 교차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3) 또한 휴대전화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은 적절한 표면 소독과 같은 제거 과정이 없으면 오랜 기간동안 살아남을 수 있어 감염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Jeong JS, Choi JK, Jeong IS, Paek KR, In HK, Park KD. A nationwide survey on the hand washing behavior and awareness. J Prey Med Public. 2007; 40(3): 197-204. 

  2. Lee MS, Park YJ. Hand washing projects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7(13):268-277 

  3. Kwon YW, Lee SY. Identification of bacterial flora on cellular phones of dent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2014; 39(3); 137-143 

  4. Kramer A, Schwebke I, Kampf G. How long do nosocomial pathogens persist on inanimate surfaces?. BMC Infect Dis. 2006; 6(1): 130 

  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4 Census of Broadcasting Industr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ress; 2014 

  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Survey on the media use by children and youth in 2013. Available : http://www.prism.go.kr/homepage/search/retrieveIntegrateSearch.do?cond_search_content2013+%ec%b2%ad%ec%86%8c%eb%85%84+%eb%a7%a4%ec%b2%b4%ec%9d%b4%ec%9a%a9&cond_sort&cond_period&cond_search_start_-date&cond_search_end_date&cond_search_-type2 

  7. Kim BJ, Li KS, Woo SM, Cho WI, Cho SY, Kim MN, et al. Clinical Observation of Cellular Phone Dermatitis in Korea. Korean J Dermatol. 2006; 44(1): 35-39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 of school-based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in Republic of Korea, 2012. Available :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38-MNU0037-MNU1380&cid20546 

  9. Jang YJ, Lee MS, Na BJ, Kim GY, Bae SH, Kim CW, et al.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and Promotion. 2007; 24(4): 1-22 

  10. Kim TS, Kim MJ, Kang YM, Oh GN, Choi SY, Oh MS,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oxin profil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eadyto-ea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4; 46(3): 334-340 

  11. Yang IC, Shin DYC, Huang TP, Huang YP, Wang JY, Pan TM. Establishment of a novel multiplex PCR assay and detection of toxigenic strains of the species in the Bacillus cereus group. J Food Prot. 2005; 68(10): 2123-2130 

  12. Mehrotra M, Wang G, Johnson WM. Multiplex PCR for detection of genes for Staphylococcus aureus enterotoxins, exfoliative toxins, toxic shock syndrome toxin 1 and methicillin resistance". J Clin Microbiol. 2000; 38(3): 1032-1035. 

  13.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 Approved Standard-Eleventh Edition : M02-A11. Wayne, PA, USA ; 2012 

  14.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4th informational supplement, Wayne, PA, USA ; 2014 

  15. Lee YJ. Comparis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rates between smart cell phone and non-smart cell phone of health care workers, [dissertation].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16. Kim JS, Kwon OK, Song W, Kim HS, Park JY, Cho HC, et al. Isolation of Healthcare-Associated Pathogens from Cellular Phones Used by Meical Personne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0; 15(1): 36-40 

  17. Karabay O, Kocoglu E, Tahtaci M. The role of mobile phones in the spread of bacteria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s. J Infect Dev Ctries. 2007; 1(1):72-73 

  18. Sepehri G, Talebizadeh N, Mirzazadeh A, Mirshekari TR, Sepehri E. Bacterial contamination and resistance to commonly used antimicrobials of healthcare workers' mobile phones in teaching hospitals, Kerman, Iran. Am J Appl Sci. 2009; 6(5): 806-810 

  19. Kim SJ, Kim GH, Shin EK, Bae JH, Jeon YR.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ellular phones.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2008; 14(4): 257-261 

  20. Singh S, Acharya S, Bhat M, Rao SK, Pentapati KC. Mobile phone hygiene: potential risks posed by use in the clinics of an Indian dental school. J Dent Educ. 2010; 74(10): 1153-1158 

  21. Tagoe DN, Gyande VK, Ansah EO. Bacterial contamination of mobile phones: When your mobile phone could transmit more than just a call". WebmedCentral Microbiology. 2011; 2(10): WMC002294 

  22. Lee H, Choi SM.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J Environ Health Sci. 2009; 35(4): 278-286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13 

  24. Ovca A, Rednak B, Torkar K, Jevsnik M, Bauer M. Students' mobile phones-how clean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Sanitary Engineering Research. 2012; 6(1): 6-18 

  25. Pal P, Roy A, Moore G, Muzslay M, Lee E. Keypad mobile phones a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d risk of microbial contamination compared to touch screen phones. J Infect Prev. 2013; 14(2): 65-68 

  26. Granum PE, Lund 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ogy letters. 1997; 157(2): 223-228. 

  27.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2011; 76(1): T25-T29 

  28. Chon JW, Kim JH, Lee SJ, Hyeon JY, Song KY, Park C, et al. Prevalence, phenotypic trait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metic 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human stools in Korea. J Appl Microbiol. 2012;112(5): 1042-1049 

  29. Kim SR, Lee JY, Lee SH, Ryu KY, Park KH, Kim BS, et al.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and cultivation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 43(2): 134-141 

  30. Altayar M, Sutherland AD. Bacillus cereus is common in the environment but emetic toxin producing isolates are rare. J Appl Microbiol. 2006; 100(1) : 7-14 

  3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Infectious Disease Laboratory Diagnosis ; Disease-Specific Protocol. 3re ed. 

  32. Jarraud S, Peyrat MA, Lim A, Tristan A, Bes M, Mougel C, et al. egc, A highly prevalent operon of enterotoxin gene, forms a putative nursery of superantigens in Staphylococcus aureus. The Journal of Immunology. 2001;166(1) : 669-677 

  33. Lim YS, Young KC, Hong HG, Kim YH, Kim KA, Lee SH, et al.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Gyeonggido.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09; 2010 

  34. Kabir MS, Akhter K.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mobile phone devices in Bangladesh. Advances in Biological Research. 2014; 8(1): 23-28 

  35. Rana R, Joshi S, Lakhani S, Kaur M, Patel P. Cell phones- homes for microbes!. Int J Biol Med Res. 2013; 4(3): 3403-3406 

  36. Kawo AH, Musa AM. Enumeration, isola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profil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mobile cell phones in a university environment. Nig. J. Basic Appl. Sci. 2013; 21(1): 39-44 

  37. Kim SG. A study of emetic toxin and entero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Outbreak of Jeonbuk province, [dissertation]. [Jeonbuk]: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2013 

  38. Shobna KS, Ravikumar TN, Gurumurthy BY, Subbaraju A. Methicillin and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i from cell phones-an emerging threat. Int J Microbiol. 2012; 3(3): 163-166 

  39. Kim JH, Lim EG, Jang HC, Park JY, Lee SJ, Park MS, et al. A case of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outbreak. Korean J Clin Microbiol. 2009; 12(1): 48-52 

  40. Ehling-Schulz M, Svensson B, Guinebretiere MH, Lindback T, Andersson M, Schulz Anja, et al. Emetic toxin formation of Bacillus cereus is restricted to a single evolutionary lineage of closely related strains. Microbiology. 2005; 151(1): 183-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