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에 녹인 400mg과 200mg의 FSH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sim}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superovulation response and efficiency of embryo production induced with injection of FSH dissolved in polyethylene glycol (PEG) in Hanwoo. Eighty-eight cow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 group 1, cattle were intramuscularly treat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차 인공수정 후 7일째 직장 검사를 통해 과배란 처리된 공란우의 난소를 촉지하거나 초음파(7.5 MHz rectal probe, sonovet-600; Medison, Korea)를 이용하여 황체의 개수를 조사하고 수정란을 회수하였다(Fig. 2). 수정란 회수는 비외과적 관류 방법으로 2% Lidocaine(광명약품, 한국)를 제 1~3미추 사이에 7 ml 주사하여 경막 외 마취를 실시한 후 배변반사가 일어나지 않을 때, 각각의 자궁각에 Foley catheter(FHK, Nipro, Japan)를 완전하게 고정시킨 후 embryo collection medium(Agtec, USA)을 관류액으로 사용하여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 과배란 처리는 4가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연발정상태에서 공란우의 발정 후 9~13일째 FSH(Falltropin-V, Vetrepharm, Canada)를 8회 투여하거나 1회 투과하여 과배란 처리를 개시하였다. 제 1군은 대조구로서 1일 12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하면서 4일간 총 400 mg의 FSH(1 회; 50 mg)를 근육주사하였고(Gonzalez 등 1990), 제 2쿤은 30% polyethylene glycol(PEG) 에 용해시킨 400 mg의 FSH를 견갑부 피하에 1회 주사하였고, 제 3군도 30% PEG에 용해시킨 200 mg의 FSH를 견갑부 피하에 1회 주사하였다.
  • 하지만 FSH 1회 투여와 CIDR를 함께 사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체내에서 FSH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고분자 유기물질인 30% PEG을 이용하여 FSH를 용해한 후 다회 투여와 1회 투여, 400 mg과 200 mg FSH의 용량, CIDR의 전 처리가 공란우의 발정 유기, 황체수,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 이식 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75인 등급을 선별하였다. 또한, 아까바네병, 전염성 비기관염, 소 바이러스성 하리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결핵, 브루셀라병, 요네병, 백혈병 등 각종 전염병의 발생이 없는 개체를 선발하였다.
  • 9 g, estradiol 10 mg, InterAG, New Zealand) 전처리하고 나서 30% PEG에 용해시킨 200 mg의 FSH를 견 갑부에 피하에 1회 주사하였다. 발정을 유도하기 위해 PGF2 a (Lutalyse, Upjohn, Belgium) 25 mg을 FSH 처 리후 48시간째 근육주사 하였다(Fig. 1).
  • 본 연구에서는 공란우의 호르몬 처리 방법에 따른 공란우의 발정 유기, 황체수,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 그리고 이식 후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 수정란은 발정 후 6~7일째 된 수란우에서 경막외마취 없이 직장질법에 의한 자궁경관 경유법(비외과적인 이식 방법)을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1, 2등급으로 확인된 상실배기 또는 배반포기 수정란 한 개를 0.
  • 25 ml straw에 장착한 후 수정란 이식용 주입기로 황체 측 자궁각에 이식하였다. 임신 진단은 이식 후 약 2개월째 직장검사 방법으로 자궁각과 태막을 촉진함으로써 임신을 확인하였다.
  • 처리를 개시하였다. 제 1군은 대조구로서 1일 12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하면서 4일간 총 400 mg의 FSH(1 회; 50 mg)를 근육주사하였고(Gonzalez 등 1990), 제 2쿤은 30% polyethylene glycol(PEG) 에 용해시킨 400 mg의 FSH를 견갑부 피하에 1회 주사하였고, 제 3군도 30% PEG에 용해시킨 200 mg의 FSH를 견갑부 피하에 1회 주사하였다. 제 4군은 과배란 처리 7일전에 CIDR(proges- teron 1.

대상 데이터

  • PGF2a 주사 후 48시간째 발정관찰 없이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으며, 인공수정에 사용된 정액은 농협에서 공급된 한우 동결정액(KPN 336, 480)을사용하였다.
  • 공란우의 혈액은 수정란의 회수시 경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EDTA나 heparin이 처리되지 않은 멸균 튜브에 담아서 실온에서 약 2~3시간 보관 후 717 X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호르몬 분석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 본 실험에 공시된 공란우는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중인 88두의 종빈우를 사용하였다. 3대 이상 혈통이 확인된 체형이 좋으며, 생식기 상태가 양호하고 발정 주기가 정상이며 신체충실도(body condition score, BCSZ Edmonson 등, 1989)는 1~5 기준으로 2.
  • 수란우는 경상북도 죽산기술연구소에 사육하고 있는 건강 상태와 번식 능력은 양호하나 이모색이 있으며, 외모심사점수가 낮은 미경산우 및 경산우 70두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 결과의 통계적 분석은 x-test을 이용하여 임신율의 유의성 분석을 하였으며, ANOVA의 Tukey-Kramer Multiple Comparisons Test를 적용하여 각 처리 구간의 난소 반응, 수정란 회수율, 수정란 평가, 임신율 및 혈중 progesterone 농도에 관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p<0.

이론/모형

  • Embryo colletion filter(FHK, Nipro, Japan)를 도립현미경(Olympus, Japan) 100배 배율에서 검경하여 수정란의 발육 단계와 등급을 Linder와 Wright(1983)의 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형태학적으로 평가하였다(Fig. 3).
  • 채취한 혈액은 EDTA나 heparin이 처리되지 않은 멸균 튜브에 담아서 실온에서 약 2~3시간 보관 후 717 X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호르몬 분석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progesterone 농도는 Coat-A-Count progesterone(DPC, USA)를이용하여 Radioimmunoassay(RIA) 방법에 따라 COBRA n (PACKARD, USA)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kbar AM, Nett TM, Niswendwr GD (1974): Metabolic clearance and secretion rates of gonadotrophins at different stages of the oestrus cycle in ewes. Endocrinology 94:1318-1324 

  2. Bo GA, Hockley DK, Nasser LF, Mapletoft RJ (1994): Superovulatory response to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Folltropin- V in beef cattle. Theriogenolo-gy 42:963-975 

  3. Bo GA, Baruselli PS, Moreno D, Cutaia L, Caccia M, Tribulo R Tribulo H, Mapletoft RJ (2002): The control of follicular wave development for self-appointed embryo transfer programs in cattle. Theriogenology 57:53-72 

  4. Dattena M, Vespignani S, Branca A, Gallus M, Ledda S, Naitana S, Cappai P (1994): Superovulatory response and quality of embryos recovered from anestus ewes after a single injection of porcine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e. Theriogenology 42:235-239 

  5. Demoustier MM, Becker J-F, Van Der Zwalmen P, Clossect J, Gillard J-L, Ectors F (1998): Determination of porcine plasma folltropin levels during superovulation treatment in cows. Theriogenology 30: 379-386 

  6. Edmonson AJ, Lean IJ, Weaver LD, Farver T, Webster G (1989): A body condition scoring chart for Holstein dairy cows. J Dairy Sci 72:68-78 

  7. Gonzalez A, Lussier JG, Caruthers TD, Murphy BD, Mapletoft RJ (1990): Superovulation of beef heifer with Folltropin-V: a new FSH preparation containing reduced LH activity. Theriogenology 33:519 

  8. Hasler JF, Henderson WB, Hurtgen PJ, Jin ZQ McCauley AD, Mower SA, Neely B, Stokes JE, Trimmer SA (1995): Production, freezing and transfer of bovine IVF embryos and subsequent calving results. Theriogenology 43:141-152 

  9. Lafri M, Ponsart C, Nibart M, Durand M, Morel A, Jeanguyot N, Badinand F, De Mari K, Humblot P (2002): Influence CIDR treatment during superovulation on embryo production and hormonal patterns in cattle. Theriogenology 58: 1141-1151 

  10. Lindsell CE, Rajkumar K, Manning A W, Emery SK, Mapletoft RJ, Murphy BD (1986): Variability in FSH-LH ratios among batches of commercially available gonadotrophins. Theriogenology 25:167 

  11. Lindner GM, Wright RW Jr (1983): Bovine embryo morphology and evaluation. Theriogenology 20:407-416 

  12. Lopez-Sebastian A, Gomez-Brunet A, Lishman AW, Johnson SK, Inskeep EK, (1993): Modification by propylene glycol of ovulation rate in ewes in response to a single injection of FSH. J Reprod Fertil 99:437-442 

  13. Martinez AG, Brogliatti GM, Valcarcel A, de las Heras MA (2002): Pregnancy rates after transfer of frozen bovine embryos: a field trial. Theriogenology 58:963-972 

  14. Monniaux D, Chupin D, Saummande J (1983): Superovulatory responses of cattle. Theriogenology 19: 55-81 

  15. Murphy DB, Mapletoft R, Manns J, Humphrey WD (1984): Variability in gonadotrophin preparations as a factor in superovulatory response. Theriogenology 21:117-125 

  16. Nasser LF, Adams GP, Bo GA, Mapletoft RJ (1993): Ovarian superstimulatory response relative to follicular wave emergence in heifers. Theriogenology 40:713-724 

  17. Shea BF, Janzen RE, McDermand DF (1984): Seasonal varia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and related embryo transfer procedures in Alberta over a nine year period. Theriogenology 21:186-195 

  18. Son DS, Choe CY, Choi SH, Cho SR, Kim HJ, Han MH, Ryu IS, Suh GH, Kim UH, Kim IH (2007): Effect of estradiol benzoate or GnRH treatment prior to superstimulation in CIDR-treated, Korean active cows(Bos taurus). Anim Reprod Sci 100:14-21 

  19. Sugano M, Shinogi T (1999): Superovulation induction in Japanese black cattle by a single intramuscularinjection of hMG or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e. Ani Repro Sci 55:175-181 

  20. Suzuki T (1993): Bovine embryo transfer and related techniques. Mol Reprod Dev 36: 236-237 

  21. Takedomi T, Aogagi Y, Konish M, Kishi H, Taya .K, Watanabe G, Sasamoto S (1995): Superovulation in Holstein heifers by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porcine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e. Theriogenology 43:1259-1268 

  22. Walsh JH, Mantovani R, Duby RT, Overstrom EW, Dobrinsky JR, Enright WJ, Roche JF, Boland MP (1993): The effects of once or twice daily injections of p-FSH on superovulatory response in heifers. Theriogenology 40:313-321 

  23. Willmott N, Saunders J, Bo GA, Palasz A, Pierson RA, Mapletoft RJ (1990): The effect of FSH/LH ratio in pituitary extracts on superovulatory response in the cow. Theriogenology 33:347 

  24. Wolfenson D, Lew BJ, Thatcher WW, Graber Y, Meidan R (1997): Seasonal and acute heat stress effects on steroid production by dominant follicles in cows. Anim Reprod Sci 47:9-19 

  25. Yamamoto M, Ooe M, Kawaguchi M, Suzuki T (1994): Superovulation in the cow with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e. Theriogenology 41:747-755 

  26. 임석기, 전기준, 우제석, 최재관, 양보석, 오성종, 윤상보 (1998): 한우에 있어서 다양한 용매에 용해시킨 FSH의 1회 주사에 의한 난소 반응. 한국수정란 이식학회지 13:213-217 

  27. 최수호, 박용수, 조상래, 강태영, 신상희, 강삼순, 노규진, 최상용 (2002): PEG 용해 FSH 투여 방법에 따른 소 과배란 유기 및 수정란 이식 효율. 한국수정란 이식학회 17:67-77 

  28. 최상용, 노규진, 최창용, 강태영, 윤희준, 손우진, 이효종, 박충생 (1996): 토끼에서 FSH제의 Single Injection에 따른 과배란 유기 효과. 한국수정란 이식학회지 11: 211-2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