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젖소 경산우와 미경산우의 다양한 발정 행동 특성과 배란 시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된 89두 중 73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61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다양한 발정 행동은 $PGF_2{\alpha}$ 투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시험)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경산우의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새 맡기, 턱 비빔, 승가 및 승가 허용에서 각각 81%, 78%, 78% 및 56%로 나타났으며, 미경산우에서는 외음부 냄새 맡기, 턱 비빔, 승가 및 승가 허용은 각각 61%, 68%, 82% 및 76%를 보였다. 젖소 경산우와 미경산우에서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의 평균 $25.58{\pm}7.94$$25.55{\pm}5.72$시간이었으며, 발정 종료 후 배란까지는 평균 $13.42{\pm}7.14$$7.48{\pm}7.4$시간이었다. 경산우의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의 시간에서는 승가 허용($17.33{\pm}5.83$시간)이 승가, 외음부 냄새 맡기, 턱 비빔($23.58{\pm}5.12$시간, $24.25{\pm}6.09$시간, $23.42{\pm}6.04$시간)보다 유의적으로(p<0.05) 짧게 나타났으며, 미경산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승가 허용 종료에서 배란까지의 시간에서는 미경산우($6.38{\pm}4.80$)가 경산우($13.05{\pm}4.53$)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짧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우유생산에 관련한 생리적인 변화가 젖소 발정행동과 배란 특성의 변화의 주요 요인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estrous behavior and ovulation time in dairy cows and heifers. In total, 73 ovulations and 61 estrous detection were observed in 89 Holstein cows. Various estrous behavior were observed during 72 hours from two days af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산우와 미경산우의 발정 발현율, 발정 강도, 발정 지속 시간, 발정 발현과 배란과의 관계 등을 비교하여수정 적기 및 배란 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젖소 경산우와 미경산우의 다양한 발정 행동 특 성과 배란 시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된 89두 중 73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61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 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yagi Y, Sakai S, Ideta A, Konishi M, Taketomi T, Iwasa S, Okamoto Y and Urakawa M. 2003. Frequency and duration of standing activities in heif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nception rate after embryo transfer. 2003 Annual Meeting of Hokkaido Embryo Transfer Association, Sapporo, Japan 

  2. At-Taras EE and Spahr SL. 2001.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strus in dairy cattle with an electronic heat mount detector and an electronic activity tag. J. Dairy Sci., 84: 792-798 

  3. Dransfield MBG, Nebel RL, Pearson RE and Warnick L. 1998. Timing of insemination for dairy cows identified in estrus by a radiotelemetric estrus detection system. J. Dairy Sci., 81: 1874-1882 

  4. Edmondson AJ, Fissore RA, Rashen RL and Bondurant RH. 1986. The use of ultrasonography for the pathological ovarian structure. Anim. Reprod. Sci., 2:157-165 

  5. Hall JG, Branton C and Stone EJ. 1959. Estrus, estrous cycles, ovulation time, time of service and fertility of dairy cattle in Louisiana. J. Dairy Sci., 42:1086-1093 

  6. Kaim M, Bloch A, Wolfenson D, Braw Tal R, Rosenberg M and Voet H. 2003. Effects of GnRH administered to cows at the estrus on timeing of ovulation, endocrine responses and conception. J. Dairy Sci., 86:2012-2021 

  7. Kerbrat S and Disenhaus C. 2004. A proportions for an updated behavioral characterization of the oestrus period in dairy cows. Appl. Anim. Behav. Sci., 87:223-238 

  8. Lopez H, Bunch TD and Shipka MP. 2002. Estrogen concentrations in milk at estrus and ovulation in dairy cows. Anim. Reprod. Sci., 72:1-2 

  9. Lucy MC. 2001. Reproductive loss in highproducing dairy cattle: Where will it end? J. Dairy Sci., 84:1277-1293 

  10. Lyimo ZC, Nielen M, Ouweltjes W, Kruip TA and Van Eerdenburg FJ. 2000. Relationship among estradiol, cortisol and intensity of estrous behavior in dairy cattle. Theriogenology, 53:1783-1795 

  11. Pelssier CL. 1976. Dairy cattle breeding problems and their consequences. Theriogenology, 6:575-583 

  12. Pennington JA, Algright JL and Callahan CJ. 1986. Relationship of sexual activities in estrous cows to different frequencies of observation and pedometer measurements. J. Dairy Sci., 69:2925-2934 

  13. Pursley JR, Mee MO and Wiltbank MC. 1995.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in dairy cows using $PGF_2{\alpha}$ and GnRH. Theriogenology, 44:915-923 

  14. Roche JF, Mackey D and Diskin MD. 2000. Reproductive management of postpartum cows. Anim. Reprod. Sci., 60: 703-712 

  15. Roelofs JB, Van Eerdenburg FJCM, Soede NM and Kemp B. 2005. Various behavioral sign of estrou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ime of ovulation in dairy cattle. Theriogenology, 63:1366-1377 

  16. Rorie RW, Bilby TR and Lester TD. 2002. Application of electronic estrus detection technologies to reproductive management of cattle. Theriogenology, 57:137-148 

  17. Steverson JS, Lamb GC, Kobayashi Y and Hoffmann DP. 1998: Luteolysis during two stages of the estrous cycle: subsequent endocrine profiles associated with radiotelemetrically detected estrus in Heifers. J. Dairy Sci., 81:2897-2903 

  18. Trimberger GW. 1984. Breeding efficiency in dairy cattle from artificial insemination at various intervals before and after ovulation. Nebr. Agr. Exp. Sta. Res. Bul., 153:3-25 

  19. Van Eerdenburg FJCM, Loeffler SH and Van Vliet JH. 1996. Detection of oestrus in dairy cows: A new approach to an old problem. Vet. Q., 18:52-54 

  20. Walker WL, Nebel RL and McGilliard ML. 1996. Time of ovulation relative to mounting activity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9:1555-1561 

  21. Wiltbank M, Lopes H, Sartori R, Sangsritavong S and Gumen A. 2006. Changes in reproductive physiology of lactating dairy cows due to elevated steroid metabolism. Theriogenology, 65: 17-29 

  22. Xu ZZ, McKnight DJ, Vishwanath R, Pitt CJ and Burton LJ. 1998. Estrus detection using radiotelemetory or visual observation and tail painting for dairy cows on pasture. J. Dairy Sci., 81 :2890-2896 

  23. Yoshida C and Nakao T. 2005 Some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secondary oestrous signs in high-producing dairy cows. Reprod. Dom. Anim., 40:150-155 

  24. 손준규, 박수봉, 박성재, 백광수, 안병석, 김현섭, 황석주, 주종철, 박춘근. 2007. 젖소의 다양한 발정행동 징후와 배란시간과의 관계.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2:9-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