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behavioral change of estru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825 - 832  

천시내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유금주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김찬호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정지연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김동훈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전중환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의 발정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은 번식률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며, 현재 발정기 소의 행동 특성들을 활용한 다양한 발정탐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품종인 한우의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발정기 한우의 활동량, 승가행동 및 발성횟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4두의 한우 경산우를 공시하였으며, 각 개체별로 목걸이형 생체정보 수집장치(Bio-telemetry device)를 설치하였다. 발정이 확인된 날을 포함하여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후 3일까지 총 6일간 이동거리, 승가행동 및 발성음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1일 전까지 이동거리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발정이 확인된 당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p<0.001), 발정 후 1일 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소의 활동량이 낮보다 밤 시간대에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승가행동은 발정 2일 전부터 발생빈도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1), 전 시간대에 걸쳐서 불특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발성음의 경우 발정 당일에는 발성음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정기 한우의 승가행동은 발정 2일전부터 시작해서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활동량보다 우선적으로 발정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 두 가지 지표를 함께 활용한다면 한우의 발정탐지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정탐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우의 발정기 행동 특성과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정보들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tection of estrus is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reproductive efficiency of cattle. This has prompte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estrus detection techniques by using the characterization of estrus behavi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al activi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발정기 한우의 활동량, 승가행동 및 발성횟수 등 특이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 A. Kiddy, "Variation in physical activity as an indication of estrus in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6, pp.235-243. 1977.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7)83859-9 

  2. P. Gordon, "Oestrus detection in dairy cattle", In Practice, Vol.33, pp.542-546. 2011. DOI: https://doi.org/10.1136/inp.d7479 

  3. G. Sveberg, A. O. Refsdal, H. W. Erhard, E. Kommisrud, M. Aldrin, I. F. Tvete, F. Buckley, A. Waldmann, E. Ropstad, "Behavior of lactating Holstein-Friesian cows during spontaneous cycles of estru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4, pp.1289-1301, 2011. DOI: https://doi.org/10.3168/jds.2010-3570 

  4. D. M. Tsai, C. Y. Huang, "A motion and image analysis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estrus and mating behavior in cattle",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104, pp.25-31. 2014. DOI: https://doi.org/10.1016/j.compag.2014.03.003 

  5. A. Holman, J. Thompson, J. E. Routly, J. Cameron, D. N. Jones, D. Grove-White, R. F. Smith, H. Dobson, "Comparison of oestrus detection methods in dairy cattle", Veterinary Record, pp.1-6, 2011. DOI: https://doi.org/10.1136/vr.d2344 

  6. R. Firk, E. Stamer, W. Junge, J. Krieter, :Automation of oestrus detection in dairy cows: a review",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Vol.75, pp. 219-32, 2002. DOI: https://doi.org/10.1016/S0301-6226(01)00323-2 

  7. A. R. Lehrer, G. S. Lewis, E. Aizinbud, "Oestrus detection in cattle: recent developments", Animal Reproduction Science, Vol.28, pp.355-61, 1992. DOI: https://doi.org/10.1016/0378-4320(92)90121-S 

  8. J. B. Roelofs, F. J. van Eerdenburg, N. M. Soede, B. Kemp, "Pedometer readings for estrous detection and as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in dairy cattle", Theriogenology, Vol.64, No.8, pp.1690-1703, 2005. DOI: https://doi.org/10.1016/j.theriogenology.2005.04.004 

  9. H. M. Zebari, S. M. Rutter, E. C. Bleach, "Characterizing changes in activity and feeding behaviour of lactating dairy cows during behavioural and silent oestrus",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Vol.206, pp.12-17, 2018. DOI: http://dx.doi.org/10.1016/j.applanim.2018.06.002 

  10. B. F. Silper, I. Robles, A. M. L. Madureira, T. A. Burnett, M. M. Reis, A. M. de Passille, R. L. A. Cerri, "Automated and visual measurements of estrous behavior and their sources of variation in Holstein heifers. I: Walking activity and behavior frequency", Theriogenology, Vol.84, No.2, pp.312-320, 2015. DOI: https://doi.org/10.1016/j.theriogenology.2014.12.029 

  11. K. Maatje, S. H. Loeffler, B. Engel, "Predicting optimal time of insemination in cows that show visual signs of estrus by estimating onset of estrus with pedometer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0, pp.1098-105, 1997.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7)76035-1 

  12. S. P. M. Aungier, J. F. Roche, M. Sheehy, M. A. Crowe, "Effects of management and health on the use of activity monitoring for estrus detection in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5, pp. 2452-2466, 2012. DOI: https://doi.org/10.3168/jds.2011-4653 

  13. S. Reith, H. Brandt, S. Hoy, "Simultaneous analysis of activity and rumination time, based on collar-mounted sensor technology, of dairy cows over the peri-estrus period", Livest. Sci. Vol.170, pp.219-227, 2014. DOI: https://doi.org/10.1016/j.livsci.2014.10.013 

  14. S. L. Walker, R. F. Smith, J. E. Routly, D. N. Jones, M. J. Morris, H. Dobson, "Lameness, activity time-budgets, and estrus expression in dairy cattle",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1, pp.4552-4559, 2008. DOI: https://doi.org/10.3168/jds.2008-1048 

  15. C. Yoshida, T. Nakao, "Some characteristics of primry and secondary oestrus signs in high-producing dairy cows", Reproduction in Domestic Animal, Vol. 40, pp.150-155, 2005. 

  16. G. Sveberg, A. O. Refsdal, H. W. Erhard, E. Kommisrud, M. Aldrin, I. F. Tvete, F. Buckely, A. Waldmann, E. Ropstad, "Sexual active groups in cattle-a novel estrus sign,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95, pp.7115-7127, 2013. DOI: https://doi.org/10.3168/jds.2012-6407 

  17. F. J. C. M. Van Eerdenburg, D. Karthaus, M. A. M. Taverne, I. Merics, O. Szenci, "The relationship between estrous behavioral score and time of ovulation in dairy cattle",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5, pp.1150-1156, 2002.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02)74177-5 

  18. W. L. Walker, R. L. Nebel, M. L. McGilliard, "Time of ovulation relative to mounting activity in dairy cattle", Journal of Dairy Science, Vol.79, pp.1555-61, 1996.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6)76517-7 

  19. S. M. Piggott, D. R. Fitkin, A. J. Steffen, L. Timms, "Evaluation of accuracy and characterization of estrus activity as monitored by an electronic pressure sensing system for estrus detection in dairy cows and heifers",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74(Suppl. 1), pp.70(Abstr.), 1996. 

  20. E. E. At-Taras, S. L. Spah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strus in dairy cattle with an electronic heatmount detector and an electronic activity tag",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4, No.4, pp.792-798, 2001.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01)74535-3 

  21. M. G. Diskin, J. M. Sreenan, "Expression and detection of oestrus in cattle", Reproduction Nutrition Development, Vol.40, pp.481-491, 2000. DOI: https://doi.org/10.1051/rnd:2000112 

  22. L. Badinga, W. W. Thatcher, T. Diaz, M. Drost, D. Wolfenson, "Effect of environmental heat stress on follicular development and steroidogenesis in lactating Holstein cows", Theriogenology, Vol.39, No.4, pp. 797-810, 1993. DOI: https://doi.org/10.1016/S0378-4320(96)01638-7 

  23. D. Wolfenson, B. J. Lew, W. W. Thatcher, Y. Graber, R. Meidan, "Seasonal and acute heat stress effects on steroid production by dominant follicles in cows", Animal Reproduction Science, Vol.47, No.1-2, pp.9-19, 1997. DOI: https://doi.org/10.1016/S0378-4320(96)01638-7 

  24. A. Orihuela, "Some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ural manifestation of oestrus in cattle: a review", Applied Animal Behavior Science, Vol.70, No.1, pp.1-16, 2000. DOI: https://doi.org/10.1016/S0168-1591(00)00139-8 

  25. P. C. Schon, K. Hamel, B. Puppe, A. Tuchscherer, W. Kanita, G. Manteuffel, "Altered vocalization in rate during the estrus cycle in dairy cattle",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0, pp.202-206, 2007. DOI: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07)72621-8 

  26. S. Dreschel, Untersuchungen zur zyklusabhangigen vokalisation und charakterisierung von verhaltensparametern im periostrischen zeitraum von jungrinder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Roctock, Germany, 2014. 

  27. S. Yin, B. McCowan, "Barking in domestic dogs: context specificity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Animal Behavior, Vol.68, pp.343-355, 2004. DOI: https://doi.org/10.1016/j.anbehav.2003.07.016 

  28. C. H. Barfield, Z. Tang-Martinez, J. M. Trainer, "Domestic calves (Bos taurus) recognize their own mothers by auditory cues", Ethology, Vol.97. pp.257-264, 1994. DOI: https://doi.org/10.1111/j.1439-0310.1994.tb01045.x 

  29. S. C. Yeon, J. H. Jeon, K. A. Houpt, H. H. Chang, H. C. Lee, H. J. Lee, "Acoustic features of vocalizations of Korean native cows (Bos taurus coreanea) in two different conditions", Applied Animal Behavior Science, Vol.101, pp.1-9, 2006. DOI: https://doi.org/10.1016/j.applanim.2006.01.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