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g(001)에 성장된 NiO 극초박막의 화학 결함 연구
XPS study of NiO Growth on Ag(100)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6 no.5, 2007년, pp.311 - 321  

양설운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부 물리학과) ,  성시진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부 물리학과) ,  김재성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부 물리학과) ,  황한나 (포항 가속기 연구소) ,  황찬국 (포항 가속기 연구소) ,  장영준 (서울대학교 물리학부) ,  박수현 (서울대학교 물리학부) ,  민항기 (홍익대학교 물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O 극초박막을 Ag(001) 단결정 위에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결함들을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박막 두께, 산소 분압, 물 분압, 기판 온도 등을 잘 제어한 성장 환경에서 얻어진 O 1s, Ni 2p 스펙트라의 분석을 통하여 NiO 극초박막 성장 시 형성되는 화학 결함들의 정체를 일관성 있게 밝혀내었다. 이를 통하여 결함 밀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성장 조건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researched the chemical defects of NiO ultrathin films grown on Ag(001)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In particular, O 1s and Ni 2p spectra were analyzed consistently with control film thickness, $O_2\;and\;H_2O$ partial pressure and substrate temperature. As a result, w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면 연구의한 방법은 산화물 극초박막을 성장하여 계면에서 형성되는 결함 구조, 계면의 전자 구조 및 원자 구조 등을 연구하는 것이다.
  • 그러나 Ag2O 또는 AgO같은 산화물이 존재한다는 보고를[26~29] 고려하여, Ag(OOl) 표면과 산소와의 반응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상온에서 a) 평평한 Ag(001), b) 스퍼터링된 Ag(001)을 표준 조건의 산소 분압보다 높은 1X10-5 Torr.
  • 이는 극성 기판에 대한 극성 분자의 고착 계수와 반응성이 동질의 극성 분자 간에 대한 것보다 매우 높을 수 있음을 확인 시켜 준다. 따라서 화학 결함이 없는 NiO를 성장하기 위해서는 극성 분자의 극소화가 필요함을 본 연구로부터 알 수 있다.
  • 만약박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이상적인 NiO 박막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보자. 이 경우 금속 Ni이 많아지거나 screening에 기여할 수 있는 결함 상태를 제공하는 결함구조가 증대하여 unscreened 피크의 세기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 본 연구진은 잘 정의된 성장 환경에서 결정성 NiO 박막을 성장하고 각 경우에 얻어지는 결함 스펙트라를 분석하여 이들의 화학적 이동량 값을 박막 결함의 지문으로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서는 1.
  • 위와 같은 p2 피크 세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p2의원인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원인은 non-local screening 효과이다: 한 NiO 단위포 주변에 잘정의된 가장 가까운 NiO 이웃 분자가 존재하면 이들에 의한 screening에 의해 NiO 주 피크의 결합 에너지보다 +1.
  • [19, 36, 38]. 이를 감안하여, 챔버 내 주요 잔존 기체인 물 분자가 Ni 산화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 분자를 챔버에 주입한 후 펌핑을 하여 잔존 물 분압을 높게 만들었다.

가설 설정

  • 더 크다는 (그림 5 A (b) 4.1 ML) 것이다. 이는 110 K에서 이상적인 NiO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 shoulder-2의 원인은 이전의 주장들과는 달리 0-17]- 아님을 확인하였다. 한 가능성으로 4) 잔존한 물분자에 의한 NiO-OH의 형성이, [18] 1.3 eV 근방에 나타나는 피크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온에서는 위에 언급한 결함 구조 이외에도 표면에 5) ice가 물리 흡착되어 결합 에너지가 4 eV 가량 높은 위치에 새로운 피크가나타남을 관측하였다.
  • 그러나 Ag2O 또는 AgO같은 산화물이 존재한다는 보고를[26~29] 고려하여, Ag(OOl) 표면과 산소와의 반응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상온에서 a) 평평한 Ag(001), b) 스퍼터링된 Ag(001)을 표준 조건의 산소 분압보다 높은 1X10-5 Torr. 의 산소 분압에 30분간 노출시킨후 이들의 O Is 스펙트라를 비교하였다.
  • 그러므로 이들 결함 산소의 결합 에너지는 결합 에너지가 높은 쪽으로 이동할 것이며, 실제로 언급한 shoulder-1은 결합 에너지가 ~2 eV 정도의 높은 쪽으로의 이동을 보인다. 이는 이 shoulder-1 이 NiO 덩어리 상태가 아니라 초기 박막 성장 시 계면 근방에 국소화된 Ag-Ni 합금의 산화물에 기인한다는 가정을강화한다.
  • 증착된 NiO의 두께는 NiO 박막이 층별 성장을 한다고가정하고 정규화된 Ag 3d 피크의 세기 변화를 통하여 추정하였다. 증착 속도는 1 ML/10분 이었고, 수정 진동자미량 저울을 통하여 NiO 성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 [30]. 특히, Ag의 전기 음성도가 Ni에 비해 높아, Ag와의 합금상태에서 산소의 산화수는 NiO 덩어리 상태 보다 작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결함 산소의 결합 에너지는 결합 에너지가 높은 쪽으로 이동할 것이며, 실제로 언급한 shoulder-1은 결합 에너지가 ~2 eV 정도의 높은 쪽으로의 이동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 Altieri, L. H. Tjeng, F. C. Voogt, T. Hibma and G. A. Sawatzky, Phys. Rev. B 59, R2517 (1999) 

  2. V. E. Henrich and P.A. Cox, The Surface Science of Metal Oxi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4) 

  3. H.-J. Freund, Faraday Discuss. 114, 1 (1999) 

  4. C. Noguera, Physics and Chemistry at Oxide Surf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6) 

  5. T. Seto, K. Koga, H. Akinaga, F. Takano, K. Sakiyama, M. Hirasawa and T. Orii, Appl. Phys. A 79, 1165 (2004) 

  6. D. G. Hwang, C. M. Park and S. S. Lee, J. Magn. Magn. Mater. 186, 265 (1998) 

  7. H.-J. Freund, H. Kuhlenbeck and V. Staemmler, Rep. Prog. Phys. 59, 283-347 (1996) 

  8. D. T. Dekadjevi, a. Suvorova, S. Pogossian, D. Spenato and J. Ben Youssef, Phys. Rev. B 74, 100402 (2006) 

  9. J. M. McKay and V. E. Henrich, Phys. Rev. B 32, 6764 (1985) 

  10. G. Lee and S.-J. Oh, Phys. Rev. B 43, 14674 (1991) 

  11. G. A. Sawatzky and J. W. Allen, Phys. Rev. Lett. 53, 2339 (1984) 

  12. P. Luches, M. Liberati and S. Valeri, Surf. Sci. 532- 535, 409 (2003) 

  13. H. Ouyang, K. -W. Lin, C. -C. Liu, S. -C. Lo, Y. -M. Tzeng, Z. -Y. Guo and J. van Lierop, Phys. Rev. Lett. 98, 097204 (2007) 

  14. M. Caffio, B. Cortigiani, G. Rovida, A. Atrei, and C. Giovanardi, A. di Bona and S. Valeri, Surf. Sci. 531, 368 (2003) 

  15. P. Luches, S. Altieri, C. Giovanardi, T.S. Moia, S. Valeri, F. Bruno, L. Floreano, A. Morgante, A. Santaniello, A. Verdini, R. Gotter and T. Hibma, Thin Solid films 400, 139 (2001) 

  16. A. P. Grosvenor, M. C. Biesinger, R. St. C. Smart and N. S. McIntyre, Surf. Sci. 600, 1771 (2006) 

  17. A. F. Carley, S. D. Jackson, J. N. O'Shea, and M. W. Robert, Phys. Chem. Chem. Phys. 2, 274 (2001) 

  18. J. C. de Jesus, J. Carrazza, P. Pereira and F. Zaera, Surf. Sci. 397, 34 (1998) 

  19. St. Uhlenbrock, Chr. Scharfschwerdt, M. Neumann, G. Illing, and H.-J. Freund, J. Phys.: Condens. Matter 4, 7973 (1992) 

  20. J. Wollschlager, D. Erdos, H. Goldbach, R. Hopken, and K. M. Schroder, Thin Solid films 400, 1 (2001) 

  21. Y. J. Chang, S. H. Park. and T. W. Noh. (unpublished.) 

  22. Y. S. Kim et al. (unpublished.) 

  23. B. H. Park, B. S. Kang, S. D. Bu, T. W. Noh, J. Lee, W. Jo, Nature, 401, 682 (1999) 

  24. M. Caffio, B. Cortigiani, G. Rovida, A. Atrei, and C. Giovanardi, J. Phys. Chem. B 108, 9919 (2004) 

  25. FITT program, http://www.gtk.org 

  26. F. B. de Mongeot, A. Cupolillo, U. Valbusa and M. Rocca, J. Chem. Phys. 106, 9297 (1997) 

  27. S. Messerli, S. Schintke, K. Morgenstern, J. Nieminen and W. -D. Schneider, Chem. Phys. Lett. 328, 330 (2000) 

  28. M. Gajdo, A. Eichler and J. Hafner, Surf. Sci. 531, 272 (2003) 

  29. I. Costina, M. Schmid, H. Schiechl, M. Gajdos, A. Stierle, S. Kumaragurubaran, J. Hafner, H. Dosch and P. Varga, Surf. Sci. 600, 617 (2006) 

  30. H. P. Noh, T. Hashizume, D. Jeon, Y. Kuk, H. W. Pickering and T. Sakurai, Phys. Rev. B 50, 2735 (1997) 

  31. A. van Veenendaal and G. A. Sawatzky, Phys. Rev. Lett. 70, 2459 (1993) 

  32. D. Alders, F. C. Voogt, T. Hibma and G. A. Sawatzky, Phys. Rev. B 54, 7716 (1996) 

  33. S. Altieri, L. H. Tjeng, A. Tanaka and G. A. Sawatzky, Phys. Rev. B 61, 13403 (2001) 

  34. A. Galtayries and J. Grimblot, J. Electron Spectrosc. Relat. Phenom. 98-99, 267 (1999) 

  35. K. S. Lee, S. H. Kim, H. G. Min, J. Seo and J. ?S. Kim, Surf. Sci. 377-379, 918 (1997) 

  36. C. N. R. Rao, V. Vijayakrishnan, G. U. Kulkarni and M. K. Rajumon, Appl. Surf. Sci. 84, 285 (1995) 

  37. W. -S. Yoon, J. Hanson, J. McBreen and X. -Q. Yang, Electrochem. Commun. 8, 859 (2006) 

  38. G. U. Kulkarni, C. N. R. Rao and M. W. Roberts, Langmuir 11, 2572 (1995) 

  39. N.S. McIntyre, and M. G. Cook, Anal. Chem. 47, 2208 (1975) 

  40. K. T. Ng, and D. M. Hercules, J. Phys. Chem. 80, 2094 (1976) 

  41. P. S. Aggarwal and A. Goswami, J. Phys. Chem. 65, 2105 (1961) 

  42. M. A. Henderson, Surf. Sci. Rep. 46, 1 (2002) 

  43. S. ? J. Seong, J. ? S. Kim. (Unpublishe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