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생물의 최적생산을 위해서는 적극적 관리 외에도 환경 개선과 지속적으로 최대생산을 위하여 수산자원학적 관리방안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어느 시기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생물을 선택적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인가는 양식생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중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_c$와 F를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46 g에 해당하였지만, $t_c$의 경우 3.48 세까지, F의 경우 0.9295/yr까지 증가시키면 약 5% (3.63 g)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식생물의 최적생산을 위해서는 적극적 관리 외에도 환경 개선과 지속적으로 최대생산을 위하여 수산자원학적 관리방안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어느 시기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생물을 선택적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인가는 양식생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중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_c$와 F를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46 g에 해당하였지만, $t_c$의 경우 3.48 세까지, F의 경우 0.9295/yr까지 증가시키면 약 5% (3.63 g)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stimate the ecological parameters of the populatio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collected from Jindu coast at Hansan Islan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5. The growth of the clam was estimated by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each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In order to estimate the ecological parameters of the populatio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collected from Jindu coast at Hansan Islan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5. The growth of the clam was estimated by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each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as $L_{\infty}\;=\;48.8\;mm$, k = 0.28 and $t_0\;=\;-0.88\;(R^2\;=\;0.994)$.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Z) and fishing mortality (F) was calculated to be 0.8614/yr. and 0.6122/yr, respectively. The age at the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2.88 year. Using the present parameter for clam fishing, the yield-per recruit (Y/R) was estimated to be 3.44g. Although the maximum Y/R was obtained under the parameters ($t_c\;=\;3.48\;yr$. and F = 0.9295/yr), it is favorable to maintain the current fishing effort considering the annual fluctuation of the parameters.
In order to estimate the ecological parameters of the populatio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collected from Jindu coast at Hansan Islan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5. The growth of the clam was estimated by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each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as $L_{\infty}\;=\;48.8\;mm$, k = 0.28 and $t_0\;=\;-0.88\;(R^2\;=\;0.994)$.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Z) and fishing mortality (F) was calculated to be 0.8614/yr. and 0.6122/yr, respectively. The age at the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2.88 year. Using the present parameter for clam fishing, the yield-per recruit (Y/R) was estimated to be 3.44g. Although the maximum Y/R was obtained under the parameters ($t_c\;=\;3.48\;yr$. and F = 0.9295/yr), it is favorable to maintain the current fishing effort considering the annual fluctuation of the paramet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 연구는 최근 추봉도와 연도a 공사로 인하여 양식장 판리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한산도 진두연안의 바지락 양식장의 자원 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여 적정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산도 진두어촌계 바지락 양식장의 적정어획사망계수와 어획개시연령을 구하기 위하여 Beverton and Halt (1957)의가입당 생산량모델을 적용하여 양식장 적정관리 방안에 대해논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어느 시기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생물을 선택적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인가는 양식생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틀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죽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 입당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c와 F틀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
제안 방법
이 인근해역은 예로부터 각종 양식이 성행하고 있어 다양한 양식장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한산도와 인근 추봉도를 연결하는 연도교 가설공사로 인하여 인근연안의 자원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산면은 2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32 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채집된 바지락은 각장 (shell length, mm) 및 각고 (shell height, mm) 를 0.01 mm까지 측정하였고, 전중 (total weight, g) 은 전자저울로 0.01 g까지 측정하였다. 샘플 중 일부는 패각 연륜을 이용하여 연령 사정하였고, 이를 표준 age-length key를 작성하였다.
01 g까지 측정하였다. 샘플 중 일부는 패각 연륜을 이용하여 연령 사정하였고, 이를 표준 age-length key를 작성하였다. 그 외 개체의 연령을 연령 조성표로부터 환산하였다.
각장 자료를 이용하여 von Bertalanffy (1938) 성장식을 추정하였다. 채집된 개체의 각장와 전중간의 상관관계는 최소자승법으로 회귀선을 취하였고, 이를 성장식에 대입하여 체중에 대한 성장 식을 구하였다 (Eq. 1).
측정된 자료로부터 한산진두연안의 바지락 양식장에서 서식하고 있는 바지락의 성장식을 산정하기 위하여 연령별 평균 각 장을 가중평균하여 각 연령별 평균 각장을 산출하였다. 연령별 평균 각장으로부터 Bertalanffy 성 장식을 구한 걸과는 Fig.
그러나 해당양식장의 경우 매년 종패 살포량에 대한 자료가. 빈약하여 바지락의 현존량으로부터 가입 량을 추정하였다. 평균밀도를 P, 자연사망계수를 M, 연령조성에서 나타난 3세군의 개체수 비율을 t3으로 하면, 가입량 R은
진두 어촌계의 경우, 내규로 체포 사이즈를 규제하고 있으므로 (대부분 30 mm 이상), 이 해역의 최초 어구가입연령 (ic) 은 각장 30 mm를 초과하는 크기로 판단된다. 채취한 표본의 연령조성에서 우점연령군의 연령 (tb) 과 조성비 (R)및가장 어린 연령군의 연령 (ta) 과 조성비 (Pa)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식을 적용하여 구하였고 (Eq. 17), 또한 채집된 샘플의 연령조성을 통해 분석한 전사망계수와 산출 연역한 자연사망계수가 서로 일치하는 연령을 추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바지락 표본을 채집하기 위하여 간조시에 한산도 진두연안해역의 간석지에서 임의의 6 개 조사정점을 설정하고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3회 채집을 실시하였다 (Fig. 1). 샘플채집은 1 X 1 m의 방형구를 설치하고 방형구내에 서식하고 있는바지락을 채 (망목 3 mm) 에 걸러 전량 채취하였다.
1). 샘플채집은 1 X 1 m의 방형구를 설치하고 방형구내에 서식하고 있는바지락을 채 (망목 3 mm) 에 걸러 전량 채취하였다. 채취한바지락은 전량 실험실로 옮겨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이행하는 경계를 연륜으로 간주하였다. 각장 자료를 이용하여 von Bertalanffy (1938) 성장식을 추정하였다. 채집된 개체의 각장와 전중간의 상관관계는 최소자승법으로 회귀선을 취하였고, 이를 성장식에 대입하여 체중에 대한 성장 식을 구하였다 (Eq.
채집된 샘플의 각 연령별 조성비율은 age-length key를 활용하여 구하였고, 그 걸과는 Fig. 2와 같다. 채집된 개체 중 3 세군이 46.
성능/효과
이틀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죽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 입당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c와 F틀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46 g에 해당하였지만, 의 경우 3.48 세까지, F의 경우 0.9295/yr까지 증가시키면 약 5% (3.63 g) 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 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두지역의 간석지중 바지락 양식장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면적 5024.4 Ji"로 채집기간동안 최고 868 개체/n『 (5, 912.5 g/m2) 가 채집되었고, 해당 양식장의 평균 서식밀도는 429 개체/n" (1, 035 g/m2) 로 상당히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Table 1).
어획개시연령 (Tc)은 각각의 방법에 따라 2.93 세 및 2.88세로 계산되었고, 이를 성장식에 대입하여 각 연령별 크기를검토한 걸과 2.88 세가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에서 추정된 parameters를 대입하여 진두해역의 연간 단위생산량을 구하면, 1.
88 세가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에서 추정된 parameters를 대입하여 진두해역의 연간 단위생산량을 구하면, 1.3 kg/m2로 양식장 면적전체로 환산하면년간 약 6.6 ton/yr의 생산량을 기록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어획사망계수 (F) 에 대한 가입당 생산량 (Y/R) 과 어획개시연령 (ic) 과의 관계는 Fig.
후속연구
63 g) 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 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느 어장의 현존하는 자원량은 그 어장에서 일어나는 모든자연 및 인위적인 현상을 포함하고 있는 연대기적 의미를 지 니므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조사하여 얻은 자원생물학적 특성치로부터 자원동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