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의 서식환경과 서식밀도의 변화
Changes in density and culture conditio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9 no.3, 2013년, pp.207 - 216  

박광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송재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최윤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안경호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안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0.8-31.2^{\circ}C$ 범위로 나타났으며, 염분은 22.5-33.7 psu, 용존산소는 4.4-12.0mg/L, pH는 7.39-8.99였다. 질소는 0.016-1.206mg/L, 인은 0.004-0.090mg/L, 규소는 0.016-1.592mg/L로 나타났다. 클로로필-a는 0.2-12.1 ${\mu}g/L$로 나타났다. 저질조성은 파도리는 니사질로 분급이 매우 불량하였으며, 선재와 황도는 니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였으며, 선감은 역니사질로 분급이 불량하였다. 서식밀도는 저질조성에 따라 선재와 선감에서 높았으며, 황도와 파도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치패가 자연발생하여 씨뿌림이 없는 바지락 양식장에서 서식밀도는 폐사, 어획에 따라 감소하고, 전년도의 서식량에 따라 가입량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식밀도는 비만도와 바지락 형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겨울철 수온이 높고 먹이생물인 클로로필-a가 높았던 황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재와 선감은 비슷하였고 파도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형태적 특성에서 선감이 가장 장형이었으며, 파도리는 단형에 가까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dens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to environment, catch and recruitment were studied in a few stations (Seonjae, Seongam, Hwangdo and Padori) in the West coast area of Korea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pH in the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지락 양식장의 서식환경과 서식밀도, 성장의 변화에 대한 정보는 바지락 양식에서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단기적인 연구가 대부분으로 장기적으로 조사한 연구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패가 자연적으로 가입되어 인위적으로 씨뿌림을 하지 않는 4개 바지락 양식장에서 어떤 요인이 서식밀도를 변화시키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3년 동안 수질환경과 저질환경을 조사하고 바지락의 서식밀도를 조사하였다.
  • 서해안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서해안이 여러 종의 패류가 서식하는 이유는? 서해안은 조석 간만의 차가 커서 넓은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어 여러 종류의 패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품종이 바지락이다. 우리나라 바지락 생산량은 1990년에 74,581톤으로 최고치를 나타낸 후 간척사업과 방조제 건설로 인한 서식처 감소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2년에 25,410톤였으며, 2006년에는 봄철 대량폐사로 21,886톤으로 최저치를 보인 후 2012년에는 25,028 톤을 나타내고 있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바지락이 분포하는 곳의 특징은?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 등을 비롯하여 유럽의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등과 미국 북서 해안의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바지락은담수의 영향을 받으면서 간출시간 3-4시간 되는 곳에서부터 수심 3-4m 사이인 조간대에 주로 분포하는 유용 양식 대상종으로서 양식은 경기도 연안의 간석지에서 1910년에 시작되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본격적인 양식은 1980년대로 알려져 있다 (Park et al., 2010b, 2011).
바지락 양식장의 서식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패가 자연발생하여 씨뿌림이 없는 바지락 양식장에서 서식밀도는 폐사, 어획에 따라 감소하고, 전년도의 서식량에 따라 가입량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식밀도는 비만도와 바지락 형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겨울철 수온이 높고 먹이생물인 클로로필-a가 높았던 황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재와 선감은 비슷하였고 파도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H.S., K.J. Park, K.C. Cho, H.S. Han and J.I. Myeong (2012) Genetic structure of Korean populations of the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ferred from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44: 186-195. 

  2. Cho, T.J., S.B. Lee and S.Y. Kim (2001)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J. Korean Fish. Soc., 34: 245-253 (in Korean). 

  3. Choi, S. (1965)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special feature of the elongated and the stunted forms in the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58: 56-63 (in Korean). 

  4. Choi, Y.S., Y.R. Cho and C.S. Lee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west coast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8: 56-63 (in Korean). 

  5. Folk, R. 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Texas, 170pp. 

  6. Ingram, F. 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 by Carver, R. E. Wiley-Interscience, 69-94. 

  7. Kang, K.H., J.Y. Chang and Y.H. Kim (2000) Growth comparison of short neck clams, Tapes philippinarum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Korea J. of Malacol., 16(1-2): 49-54 (in Korean). 

  8. Kasuya, T. (2005) Larval abundance, distribution and size composition of the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okyo Bay. Bulletin of Fisheries Research Agency, 51-58 (in Japanese). 

  9. Kim, Y.H. (1978) Study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DESHAYES). Bull. Gunsan Fish. J. Coll., 12(2): 23-26 (in Korean). 

  10. Kwon, J.Y., J.W. Park, Y.H. Lee, J.Y. Park, Y.K. Hong and Y.J. Chang (1999) Morphological variation and genetic relationship among populations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different habitats. J. Fish. Sci. Tech., 2(1): 98-104. 

  11. Lee, Y.H., Y.J. Chang, H.K. Lim and G.S. Chung (1996)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 i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different seedling production areas. Journal of Aquaculture, 9(3): 223-232 (in Korean). 

  12. Lee, C.S., Y.S. Choi and Y.R. Cho (1999) Stocking density and culturing environ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6: 177-186 (in Korean).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Marine environmental test method. 495pp (in Korean).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http://www.fips.go.kr/ 

  15. Park, K.I., K.S. Choi and J.W. Choi (1999) Epizootiology of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2: 303-309 (in Korean). 

  16. Park, K.I. and K.S. Choi (2001)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 Aquaculture, 203: 9-22. 

  17. Park, K.I., H.S. Yang, D.H. Kang and K.S. Choi (2010a). Density dependent growth and mortalit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ared in cages in Gomso-bay, Korea. Korean J. Malacol., 26: 91-95. 

  18. Park, K.J., Y.S. Choi, S. Heo, H.W. Kang, H.S. Han and H.C. O (2010b) Report on the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parameters, density and biometr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Malacol., 26: 267-273 (in Korean). 

  19. Park, K.J., J.H. Song, H.S. Han and H.C. O (2010c). Spring mass mortality and caus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ds in the West coast of Korea. 2010 Fisheries Societies Association of Korea (FSAK) annual meeting abstract book. 39pp. (in Korean). 

  20. Park, K.J., S.P. Yoon, J.H. Song, H.S. Han and H.C. O (2011) Improve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bitat condition by adding crushed oyster (Crassostrea gigas) shells to the substratum. Korean J. Malacol., 27: 291-297 (in Korean). 

  21. Park, K.J., H.S. Yang, H.D. Jeung and K.S. Choi (2013a) Pathologic condition of the strand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storm-originated sediment erosion in spring 2007 in Incheon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Malacol., 29: 147-154 (in Korean). 

  22. Park, S.K., B.Y. Kim, H.G. Choi, J.S. Oh, S.O. Chung, K.H. An and K.J. Park (2013b)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icriphytobenthos at Jinsanri, Tae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6(2): 176-185 (in Korean). 

  23. Robert, R., G. Trut and J.L. Laborde (1993) Growth, reproduction and gross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Bay of Arachon, France. Marine biology, 116: 291-299. 

  24. Sekiguchi H. and Ishii R. (2003) Drastic decreasing of annual catch yields of the manila clam in Ariake Sound, southern Japan. Oceanogr. Jap. 12:21-36 (in Japanese). 

  25. Shin, Y.K, Y. Kim, E.Y. Chung and S. B. Hur (2000)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 Korean Fish. Soc., 33(3): 213-218 (in Korean). 

  26. Toba M., Kosemura T., Yamakawa H., Sugiura Y. and Kobayashi Y. (2008) Field and laboratory observations on the hypoxic impact on survival and distribution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larvae in Tokyo Bay, Plankton Benthos Res., 3(3): 165-173. 

  27. Won, M.S. and S.B. Hur (1993) Fatness index and spat occurrence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Aquaculture, 6(3): 133-146 (in Korean). 

  28. Yoo, S.K., Y.J. Chung and H.Y. Ryu (1978) Biological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important bivalves. 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Bull. Nat'l. Fish. Univ. Busan Nat. Sci., 18(1-2), 89-9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