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유전자전달을 위한 표적성 리간드가 도입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Water Soluble Chitosan Nanoparticle Modified with Cell Targeting Ligand for Efficient Gene Delivery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5, 2007년, pp.454 - 459  

허선행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  장민자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  김동곤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  정영일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  장미경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  나재운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나노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folic acid(FA)가 복합화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SC) 나노입자(water soluble chitosan-folic acid nanoparticle, WSCFA)를 제조하고, 또한 DNA와 나노복합체 합성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in vitro에서 세포내 독성을 평가하였다. WSCFA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광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WSCFA 나노입자는 110 nm 이하의 입자 크기인 구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vitro 세포내 독성 실험에서, WSCFA-DNA 복합체는 세포내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음으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전기영동 실험을 통해 WSCFA의 DNA 응축능력을 확인하였고, in vitro에서의 전이효율은 형광 광도계에 의해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 therapy using low molecular weight water soluble chitosan (LMWSC) as polycationic polymer shows good biocompatibility, but low transfection efficiency. The mechanism of folic acid (FA) uptake in the cells to promote targeting and internalization could improve transfection rates. The objectiv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FRe 선택적으로 종양 조직에만 특이적인 수용체일 뿐만 아니라 가장 적합한 종양 마커 (marker)로서의 역할을 제공한다.'이러한 FA의 장점을 이용해서 FA가 복합화된 LMWSC 나노입자 (water soluble chitosan-folic acid nanoparticle, WSCFA) 를 제조하였고 또한 LMWSC의 양전하와 DNA의 음전하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 (complex)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세포내로 안전하게 전달시켜 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인 유전자 전달체를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인 항암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WSCFA2I 합성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Figure 1에서와 같이 LMWSC의 아민기와 FA의 카복실기를 EDC 반응을 이용하여 FA 가 3, 5, 10, 및 15% 치환된 WSCFA# 각각 제조하였고, 유전자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ure 2는 제조된 WSCFA 3, 5, 10, 및 15%의 FT-I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제조된 유리 아민기 (free-amine group) 를 가진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ow molecular water soluble chitosan, LMWSC) 을 이용하여 생체 적합하고 체내 독성이 전혀 없는 유전자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폴레이트(folate) 수용체 (receptor) 에 의해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세포의 표적성을 높이고 유전자 발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전자 전달체로서 fa의 카복실기와 LMWSC의 아민기를 결합하여 WSCFA를 제조하였다. WSCFA의 입자크기를 측정한 결과 110 nm 정도이고, 입자형태는 구형의 나노입자를 DLS와 TEM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체 내의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R. S. Kevin, Gene Ther., 34, 247 (2003) 

  2. E. Marshall, Science, 269, 1050 (1995) 

  3. K. Morimoto, M. Nishikawa, S. Kawakami, T. Nakano, Y. Hattori, S. Fumoto, F. Yamashita, and M. Hashida, Mol. Therpy, 7, 254 (2003) 

  4. M. D. Brown, A. G. Schatzlein, and I. F. Uchegbu, Int. J. Pharm., 229, 1 (2001) 

  5. C. Y. Choi. M. K. Jang, and J. W. Nah, Polymer (Korea), 30, 279 (2006) 

  6. R. A. A. Muzzarelli, Natural chelating polymers, Pergamon Press, Oxford, p 83 (1973) 

  7. C. J. Brine, P. A. Sanford, and J. P. Zikakis, Advances in Chitin and Chitosan,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p 30 (1992) 

  8. G. Skjak-Braek, T. Anthonsen, and P. Sanford, Chitin and Chitosan,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p 30 (1989) 

  9. C. H. Kim, H. S. Park, Y. J. Gin, Y. Son, S. H. Lim, Y. J. Choi, K. S. Park, and C. W. Park, Macromol. Res., 12, 367 (2004) 

  10. Y. Shigernasa, H. Sashimoto, and I. Azuma, Chitin Derivatives in Life Science, Japanese Society for Chitin/Chitosan, p 86(1992) 

  11. I. Ikeda, M. Sugano, K. Yoshida, E. Sasaki, Y. Iwamoto, and K. Hatano, J. Agric. Food Chem., 41, 431 (1993) 

  12. R. A. A. Muzzarelli, C. Lough, and M. Emanuelli, Cabohydr. Res., 8, 433 (1987) 

  13. M. K. Jang, Y. I. Jeong, C. S. Cho, S. H. Yang, Y. E. Kang, and J. W. Nah, Bull. Korean Chem. Soc., 23, 914 (2002) 

  14. J. W. Nah and M. K. Jang, J. Polyrn, Sci.; Part A: Poiym. Chem., 40, 3796 (2002) 

  15. P. Caliceti, S. Salmaso, A. Semenzato, T. Carofiglio, R. Fornasier, M. Ferrneglia, M. Ferrone, and S. Priel, Bioconjugete Chem., 14, 899 (2003) 

  16. S. Wang, R. J. Lee, C. J. Mathias, M. A. Green, and P. S. Low, Bioconiuzste Chem., 7, 56 (1996) 

  17. K. M. Kamruzzaman Selim, J. H. Lee, S. J. Kim, Z. Xing, and I. K. Kang, Macromol. Res.. 14, 64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