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릿대잎 추출문의 탄수화물 소화효소활성 저해 및 식후혈당강하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8, 2007년, pp.989 - 994  

황지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와 혈당강하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의 저해활성과 STZ 유발 당뇨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조릿대잎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yeast ${\alpha}-glucosidase$ 활성을 18.61% 저해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ethylacetate층은 48.46%, buthanol층은 41.9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0.31%의 저해활성을 보인 acarbose보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alpha}-amylase$ 활성을 22.16% 저해하였으며, ethylacetate층은 56.31%, buthanol층은 43.6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1.14%를 나타낸 acarbose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조릿대잎 추출물 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 저해활성에서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 강하제로 처방되고 있는 acarbose보다 높은 저해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생쥐와 정상생쥐에게 시료의 수율 및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buthanol층을 전분과 함께 경구 투여한 후 혈당 증가를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조릿대 잎 추출물의 buthanol층을 경구 투여한 경우가 전분만 투여한 경우에 비해 투여 후 30, 60, 120분에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l), 식후혈당증가 곡선의 면적에서도 대조군보다 유의적(p<0.0l) 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조릿대잎 추출물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acarbose보다 높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hanol층은 STZ 유발 당뇨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SLE) may inhibit yeast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activiti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STZ-induced diabetic mice. Freeze-dried SLE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and fol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와 혈당강하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탄수화물 소화효소 인 a-glucosidase와 a-amylase의 저 해 활성 과 STZ 유발 당 뇨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조릿대잎 메 탄올 추출물은 0.
  •  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혈당강하제를 찾으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상엽, 상백피(24,25), 황금 (26) 등의 추출물이 a-glucosidase 저 해활성이 높았고 이들 추출물로부터 a-glucosidase 저해제를 분리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인 조릿대잎 추출물로부터 a-glucosidase의 저해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혈당강하제로서의 조릿대 잎 추출물의 기능성을 검정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 추출물이 a-glucosidase에 대한 높은 저 해활성을 나타냄을 밝혔을 뿐이기에, 앞으로 조릿대잎의 추출물 중 어떤 물질에 의해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아졌 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이러한 조릿대는 민간요법에서 당뇨병, 고지 혈증과 고혈압 등 대사성 질환에 사용되어 왔지만(20,21), 조릿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 저해활성과 STZ 유발 당뇨쥐에 있어서 식후 혈당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대조군으로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acarbose와 의 비교를 통해 조릿대 잎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를 규명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ung YA. 2000. The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J Korean Medical Assac 43: 1103-1109 

  2. Park SY. 2005. Effects of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behavior and serum levels of glucose and lipid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 Defronzo RA. 1981. The effect of insulin on renal sodium metabolism. Diabetologia 21: 165-171 

  4. Steiner G, Haynes F, Yoshino G. 1984. Hyperinsulinemia and in vivo very-low-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kinetics. Am J Physio 246: 187-192 

  5. Young IR, Stout RW. 1987. Effects of insulin and glucose on the cells of the arterial wall: Interaction of insulin with dibutyryl cyclic AMP and low density lipoprotein in arterial cells. Diabetes Metab 13: 301-306 

  6. Yu HJ, Song OG. 1985. Dietary therapy for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llitus 9: 21-25 

  7. Heo GB. 1985. Exercise therapy for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llitus 9: 5-10 

  8. Koivisto VA. 1993. Insulin therapy in type II diabetes. Diabetes Care 16: 29-39 

  9.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1988.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149-159 

  10. Haller H. 1998. The clinical importance of postprandial glucose. Diabetes Res Clin Pract 40: S43-S49 

  11. Lebovitz HE. 1998. Postprandial hyperglycemic state: importance and consequences. Diabetes Res Clin Pract 40: S27-S28 

  12. Bailey CJ. 1999. Insulin resistance and antidiabetic drugs. Biochem Phaumacol 58: 1511-1520 

  13. Zhang BB, Moller DE. 2000. New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Curr Opin Chem Biol 4: 461-467 

  14. Tattersall R. 1993.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as an adjunct to the treatment of type I diabetes mellitus. Diabet Med 10: 658-662 

  15. Mooradian AD, Thurman JE. 1999. Drug therapy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 Drugs 57: 19-29 

  16. Baron AD. 1998.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Diabetes Res Clin Pract 40: S54-S55 

  17. Hanefeld M. 1998. The role of acarbose in the treat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Diabetes Complications 12: 228-237 

  18. Jeong EY. 2006.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metabolic syndrome in C57BL/6J mice fed a high fat die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 Yoon KD, Kim CY, Huh H. 2000. The flavone glycosides of Sasa borealis. Kor J Pharmacogn 31: 224-227 

  20. Im MS. 1984. Studies on pharmacological actions on Sasa borealis Makino. M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21.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14-120 

  22. Watanabe H, Kobayashi A, Yamamoto T, Suzuki S, Hayashi H, Yamazaki N. 1990. Alterations of human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by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calcium. 8: 507?514 

  23. Kim JI. 2003. Hypoglycemic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oybean sprou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21-925 

  24. Asano N, Tomioka E, Kizu H, Matsui K. 1994. Sugars nitrogen in the ring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orus bomhycis. Carbohydr Res 253: 235-245 

  25. Goldman A, Milat ML, Ducrot PH. 1990. Tropane derivatives from Calystegia sepium. Phytochemistry 29: 2125-2128 

  26. Nishioka T, Kawabata J, Aoyama Y. 1998 Baicalein, an alpha-glucosidase inhibitor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J Nat Prod 11: 1413-1415 

  27. Lau AL, Failla ML. 1984. Urinary excretion of zinc, copper and iron in the streptozotocin-diabetic rats. J Nutr 114: 224-233 

  28. Forman LJ, Estilow S, Lewis M, Vasilenko P. 1986. Streptozotocin diabetes alters immunoreactive beta-endorphin levles and pain perception after 8 wk in female rats. Diabetes 35: 1309-1313 

  29. Inoue I, Takahashi K, Noji S, Awata T, Negishi K, Katayama S. 1997: Acarbose controls postprandial hyper- proinsulinemia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Diabetes Res Clin Prac 36: 143-151 

  30. Defronzo RA. 1981. The effect of insulin on renal sodium metabolism. Diabetologia 21: 16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