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피나무(Z. piperitum) 열매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으며, 과피 용매추출물은 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어, 간장과 된장제조에 초피를 첨가하여 생리활성효과를 조사하였다. 초피를 간장제조에 1%, 2%, 4% 첨가하여 제조하고, 간장추출물을 식중독균(Sta. aureus, Sal. typhimurium, V. parahemolyticus, E. coli 0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했다. 초피를 2% 첨가한 간장은 E. coli 0157:H7과 V. parahemolyticuS 의 생육을 각각 70%와 50% 억제했으며, Sal. typhimurium 과 Sta.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는 농도와 간장제조시기에 따라 40% ${\sim}$ 60% 의 생육을 억제했다. 초피된장의 용매추출물에서는 약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피간장의 추출물을 백혈병세포 U-937에 처리하여 caspase-3 활성으로 항암활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초피의 량을 1%, 2%, 4% 첨가한 간장의 추출물은 초피를 침가하지 않은 간장보다 caspase-3 활성이 각각 4배, 12배, 15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어졌다. 이는 초피간장의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며, 된장의 용매추출물은 caspase-3 활성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초피간장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죽음이 necrosis인지 apoptosis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내의 DNA fragmentation을 확인한 결과, 초피간장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는 DNA 단편화가 형성되어졌다. 초피틀 1% 첨가한 것에서는 fragmentation을 확인하기 힘들었고, 2%와 4%초피를 첨가한 간장추출물은 DNA fragmentation을 강하게 일으켰다. 초피를 첨가한 간장추출물이 caspase를 활성화시키고, DNA fragmentation을 일으키는 apoptosis 기작에 의해 암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초피간장의 항암효과를 입증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uits of Zanthoxylum piperitum are known as having various physiology vitality, and the abstraction ingredient of the pericarp is also known as having strong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various bacteria.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ffect of physiology vitality whe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된장과 간장제조시 초피 과피를 첨가하여, 식중독 유발균이나 기타 세균성질환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식중독사고의 예방을 위한 식품개발의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necrosis와 apop- tosis는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apoptosis가 일어나면 염색질의 응축, 핵의 응축, 세포의 축소, antibody의 출현, 대식세포에 의한 탐식작용과 같은 현상이 관찰되어진다 [32], 또한 apoptosis의 결정적인 증거가 되는 것이 DNA의 fragmentation이다. 초피간장 추출물처리에 의한 세포사가 necrosis인지 apoptosis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내의 DNA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와 일반간장을 처리한 대조구세포의 DNA는 fragmentation0] 일어나지 않았으나, 초피간장의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는 endonuclease 가 활성화되어 DNA가 일정한 크기로 단편화되어 전형적인 DNA ladder가 형성되어졌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S. K. and K. W. Hong. 2005.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doenjang, chungkookjang and mis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 1119-1123. 

  2. Cheigh, H. S., J. S. Lee and C. Y. Lee.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5), 570-575. 

  3. Cheigh, H. S., J. S. Lee, G. S. Moon and K. Y. Park. 1993. Antioxidative activity of browning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5), 565-569. 

  4. Cho, E. J., S. H. Rhee, K. S. Kang and K. Y. Park. 1999.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chinese cabbage Kinuhi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326-1331. 

  5. Choi, S. Y., M. J. Cheigh, J. J. Lee, H. J. Kim, S. S. Hung, K. S. Chung and B. K. Lee. 1999.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Doenjang) on the various tumo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458-463. 

  6. Chung, M. J., J. S. Jo, H J. Kim and N. J. Sung. 2001. The component c. of the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nd bamboo sap. Korean J. Food & Nutr. 14(2), 167-174. 

  7. Cui, C. B., E. Y. Lee, D. S. Lee and S. S. Ham. 2002.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Doenjang added sea tangle, J. Korean Soc. Sci. Nutr. 31(2), 322-328. 

  8. Hwang, K. M., S. H. Oh and K. Y. Park. 2007. Increased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by adding green tea extract and bamboo salt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 1-7. 

  9. Jung, B. M. and S. B. Roh.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 132-139. 

  10. Kang, I. J., S. S. Ham, C. K. Chung, S. Y. Lee, D. H. Oh and J. J. Do. 1999.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 sauce from mountain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 1203-1210. 

  11. Kang, I. J., S. S. Ham, C. K. Chung, S. Y. Lee, D. H. Oh, K. P. Choi and J. J. Do. 1997. Development of fermented soysauce using Cirsium setidens Nakai and comfr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 1152-1158. 

  12. Kim, J., Y. S. Cho, K. I. Seo, O. S. Joo and K. H. Shim. 200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jolium and Zanihoxdum piperitum leav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2), 195-200. 

  13. Kim, K. K., H. J. Son, H. S. Kim, Y. G. Kim, K. Y. Kang, B. G. Son and Y. W. Choi.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Zanthoxylum piperitum. J. Agri. Tech. & Dev. Inst. 2, 58-64. 

  14. Kim, K. K., Y. Kawano and Y. Yamazaki. 2003. A novel porphyrin photosensitizer from bamboo leaves that induces apoptosis in cancer cell lines. Anticancer Research. 23, 2355-2362. 

  15. Kim, M. J., Y. S. Song and Y. O. Song. 1998.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 633-638. 

  16. Kim, S. J., C. W. Park, S. J. Park, Y. S. Kim, H. J. Cho, D. K. Lim, J. O. Kim, J. H Lee and Y. L. Ha. 2003. Enhanced antitumori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Doenjang prepared from mushroom mycelia-cultured traditional Mej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 143-148. 

  17. Kim, S. H., and K. Y. Park. 1993. Inhibitory effects of chinese pepper on the mutagenicity and the growth of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Kor.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1(6), 628-634. 

  18. Kwon, M. J., J. H Chun, Y. S. Song and Y. O. Song. 1999. Daily Kimchi consumption and its hypolipidemic effect in middle-aged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5), 1144-1150. 

  19. Lee, E. H., Cho, S. Y., Ha, J. H, Oh, K. S., and Kim, C. Y., 1984, Processing of sardine sauce from sardine scrap, Bull. Korean Fish. Soc., 17(2), 117-124. 

  20. Lee, K. H., N. D. Kim and J. Y. Yoo.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Korean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 390-396. 

  21. Lee, S. J., S. H. Ryu, Y. S. Lee. Y. S. Song and G. S. Moon. 2003. Protective effect of soybean sauce and melanoidin on lipid oxidation in rats fed high PUFA o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 913-920. 

  22. Lee, S. L., J. G. Kim 2005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soyean extracts on the growth of KB cells. Kor. J. Hlth. 31(5), 444-450. 

  23. Lim, S. Y., K. Y. Park and S. H. Rhee. 1999.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in in vitro su1forhodamine B(SRB) assay, J. Korean Soc. Sci. Nutr. 28(1), 240-245. 

  24. Lim, S. Y. S. H. Rhee and K. Y. Park. 2005. Effct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inhibition of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ournal of Life Science 15(5), 685-691. 

  25. Lim, S. Y., S. H. Rhee and K. Y. Park. 2004.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 936-940. 

  26. Oh, G. S., K, J. Kang, Y. P. Hong, Y. S. An and M. H. Lee. 2003.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 1177-1185. 

  27. Park, K. Y., K. M. Hwang, K. O. Jung and K. B. Lee. 2002.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1.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Doenjang by lit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2), 343-350. 

  28. Ryu, S. H, Y. S. jeon, M. J. Kwon, J. W. Moon, Y. S. Lee and G. S. Moon. 1997. Effect of kimchi extracts to reactive oxygen species in skin cell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5), 814-821. 

  29. Sakai, T., K. Yoshihara and Y. Hirose. 1968. Constituents of fruit oil from Japanese pepper. Bull. Chem. Soc. Jap. 41, 1945-1950. 

  30. Seo, E. Y. and W. K. Kim. 2006. Effect of [6]-gingerol on Bcl-2 and Bax express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 671-676. 

  31. Seo, K. L., H. J. Lee, and K. H. Koh.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volatile components from fruit peel of Chopi(Zanthoxylum poperitum DC).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3), 179-183. 

  32. Shin, S. H., D. S. Kim, M. J. Kim, S. H. Kim, S. K. Jo, M. W. Byun and S. T. Yee. 2006. Protective effects of a herbal composition (HemoHIM) against apoptos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of hydrogen perox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 1127-1132. 

  33. Wu-Yin, M. Shimoda and Y. Osajima. 1996. Volatile aroma compounds in young leaves and green fruits of Japanese pepper. Nippon-Nogeikagaku-Kaishi. 70(9), 1001-1005. 

  34. Yamazaki, Y., M. Tsuruga, D. Zhou, Y. Fujita, X. Shang, Y. Dang, K. Kawasaki and S. Oka. 2000. Cytoskeletal disruption accelerates caspase-3 activation and alters the intracellular membrane reorganization in DNA damage-induced apoptosis. Exp. cell Res. 259, 64-78. 

  35. Yi, S. D,. J. S. Yang, J. H. Jeong, C. K. Sung and M. J. O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ybean past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230-123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