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방울꽃 개체군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0 no.4, 2007년, pp.292 - 297  

이세라 (국립수목원 식물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 군락으로 자라고 있는 은방울꽃 개체군의 개체 내 각 기관들간의 상호관계, 생식기관의 변화, 종자의 생산량과 개체의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 2리에서 2002년 4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하나는 생식기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였고, 다른 하나는 각 기관들의 상관관계와 종자생산의 에너지 분배를 파악하기 위해 채취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은방울꽂 개체군의 특성에서 영구 방형구 내 개화하는 개체의 잎 장수는 평균 2장이었고, 나중에 나온 잎의 크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당 평균 7.9개의 꽃을 피우며, 나중에는 평균 5.4개의 열매를 맺고, 평균 16.1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잎의 크기, 지하부의 크기 및 생식기관의 각 속성들간에는 1% 및 5%내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방울꽂의 개화 시기는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였으며, 이로부터 추정한 개화지속기간은 대략 $8{\sim}9$일이었다. 5월초에 개화한 개체 중 80%가 5월말에 열매로 남았고, 8월말에는 68%가 열매로 남아있었다. 넷째, 생산된 종자의 건중량은 총엽면적보다 지하부의 건중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 size and seed production, change of sexual organs, relationship between each organs of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which is located in Gwiyeo-2-ri, Namjong-myeon, Gwangju-si, Gyeonggi-do these were studied from April to August 2002. This study was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은방울꽃 개체군의 성장과 유지에 대한 개체군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개체군의 구조와 크기별 분포 형태를 파악하고 생장형태를 조사하였다. 첫째, 지상부에 초점을 맞춰서 개체 내 각 기관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둘째, 생식기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셋째, 개체의 크기와 종자 생산량 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shmun, J.W., R.L. Brown and L.F. Pitelka. 1985. Biomass allocation in Aster acuminatus: variation within and among population over 5 years. Can. J. Bot. 63: 2035-2043 

  2. Bailey, L.H. 1914. Standard cyclopedia of horticulture. Macmillan, New York. pp. 838-1879 

  3. Bazzaz, F.A., D.D. Ackerly and E.G. Reekie. 2000. Reproductive allocation in plants. In seeds: the ecology of regeration in plant communities. 2nd ed. Edited by M. Fenner.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pp. 1-29 

  4. Biere, A. 1995. Genotypic and plastic variation in plant size: effects on fecundity and allocation pattern in Lychnis flos-cuculi along a gradient of natural soil fertility. J. Ecol. 83: 629-642 

  5. Bierzychudek, P. 1982. The demography of jack-in-the-pulpit: a forest perennial that changes sex. Ecol. Monogr. 52: 335-351 

  6. Gatsuk, L.E., O.V. Smirnova, L.I. Voronyzova, L.B. Zaugolnova and L.A. Zhukova. 1980. Age state of plants of various growth forms: A Review. J. Ecol. 68: 675-696 

  7. Harper, J.L. 1977.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pp. 892 

  8. Harper, J.L. and J. White. 1974. The demography of plants. Ann. Rev. Ecol. Syst. 5: 419-463 

  9. Hartmann, H.T., D.E. Kester and F.T. Davies, Jr. 1990. Plant propaga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pp. 647 

  10. Yoon, H.S., B.M. Min, J.W. Bang and M.B. Sung. 1999. Morphology and Karyotype of Convallaria majalis (Liliaceae) in Korea. Korean J.Environ. Biol. 17(3): 371-378 (in Korean) 

  11. Kang, H.J. and B.M. Min. 1994. Population Dynamics of Symplocarpus renifolius 2. Seed Production. Korean J. Ecol. 17(4): 463-469 (in Korean) 

  12. Kim, J.H. and Y.S. Choung. 1991.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Some Clonal Plants in a Coastal Reclaimed Land 1. Rhizome Architecture, Patch Formation and Growth of Calamagrostis epigeios Plants. Korean J. Ecol. 14(3): 327-343 (in Korean) 

  13. Cho, K.H. and J.H. Kim. 1994. Comparison of Shoot Growth in the Populations of Zizania latifolia along Water Depth. Korean J. Ecol. 17: 59-67 (in Korean) 

  14. Kawano, S., A. Hiratsuka and K. Hayashi. 1982.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and survivorship of Erythronium japonicum. Okios. 38: 129-149 

  15. Reekie, E.G. and F.A. Bazzaz. 1987. Rrproductive effort in plants. 3. Effect of reproduction on vagetative activity. Am. Nat. 129: 907-919 

  16. Sestak, Z., J. Catsky and P.G. Jarvis. 1971. Plant photosynthetic production manual of mathods. Dr W. Junk N.V., Publisher, The Hague 

  17. Silvertown, J.W. 1982. Introduction to population ecology. Longman, New York 

  18. Stephenson, A.G. 1981. Flower and fruit absortion: proximate cause and ultimate functions. Ann. Rev. Ecol. Syst. 12: 253-279 

  19. Schmid, B. and F.A. Bazzaz. 1990. Plasticity in plant size and architecture in rhizome-derived vs. seed-derived Solodago and Aster. Ecology. 71: 523-535 

  20. Schmid, B. and J. Weiner. 1993. Plastic relationships between reproductive and vegetative mass in Solidago altissima. Evolution. 41: 61- 74 

  21. Schmid, B., F.A. Bazzaz and J. Weiver. 1995. Size dependency of sexual reproduction and of clonal growth in two perennial plants. Can. J. Bot. 73: 1831-1837 

  22. Choung, Y.S. 1996. Clonal strategy and integration of a rhizomatous perennial, Convallaria keiskei. I. Ramet growth and clonal structure. Korean J. Ecol. 19(6): 507-517 

  23. Choung, Y.S. and J.H. Kim. 1989. Clonal Growth and Shoot Modules Dynamics of Phragmites longivalvis in a Reclaimed Land. Korean J. Ecol. 12: 171-182 (in Korean) 

  24. Choung, Y.S. 1991. Growth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y of Polygonatum involucratum and Polygonatum humile Ramet Population. Korean J. Ecol. 14(3): 305-316 (in Korean) 

  25. 기상청. 2001. 기상연보 2000. 동진문화사. 서울 

  26. 김연주. 2000. 자연군락 내 둥굴레의 생장에 대하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7. 유진숙. 1996. 넓은잎천남성의 개체크기와 성.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8. 진국정. 1991. 김의털의 생육습성과 환경 조건에 따른 개체군의 동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9. 정지영. 2002. 안산습지에서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L.)개체 군의 구조와 동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30. 이용진. 2000. 천일사초 군락의 생장형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 학교 

  31.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32. 이창복. 199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33. 정연숙. 1989. 수 종 군반 형성 식물의 영양생장과 모듈의 동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4. 박병화. 화훼원예총론. 향문사. 1983 

  35. 김준석. 화훼학총론. 일조각. 1977 

  36. 김준석. 화훼학총론. 일조각. 19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