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10년(2006~2015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fir Forest in Mt. Hallasan for the Past 10 Years(2006, 2015)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1 no.6, 2017년, pp.549 - 556  

김종갑 (제주특별자치도 산림휴양과) ,  고정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  임형택 ((주)동신지티아이) ,  김동순 (제주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10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6년과 2015년의 분포면적, 수관밀도를 조사하고 해발고도, 방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 구상나무림의 전체 면적은 626.0ha로 조사되었는데, 2006년 738.3ha에 비해 10년 동안 15.2%에 해당되는 112.3h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수관밀도가 41~70%에 해당되는 중밀도의 면적은 10년 동안 72.6ha가 감소하였고, 71% 이상의 조밀한 구상나무림도 21.3ha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1,510~1,600m 구간에서 전체 감소면적의 32.6%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방위별로는 남동쪽이 23.4ha가 감소하였으며, 동쪽을 중심으로 남동과 북동의 면적 변화가 전체 면적의 55.5%인 62.3ha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구상나무림의 분포 변화는 진달래밭에서 정상에 이르는 지역이 전체 감소면적인 117.9ha중 71.8%에 해당되는 84.6ha가 감소하였으며, 영실등산로일대가 21.5%인 25.3ha, 큰두레왓일대는 6.8%인 8.0ha가 줄어든 반면 방애오름일대는 5.6ha가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구상나무림의 면적 감소는 해발고도, 방위 및 지역별 변화 상황을 고려하면 태풍, 가뭄 등의 이상기후의 증가가 주요 요인이 되어 한라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 H. Wilson) in Mt. Hallasan for the past 10 years.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rown density between 2006 and 2015 and analyzed the elevation, direc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한라산에 분포하는구상나무림의 정확한 면적변화를 조사하고, 분포지역의 해발고도, 방위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관밀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구상나무림의 변화조사를 통해 향후 구상나무 보전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한라산에 분포하는구상나무림의 정확한 면적변화를 조사하고, 분포지역의 해발고도, 방위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관밀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구상나무림의 변화조사를 통해 향후 구상나무 보전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사진분석을 통한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면적은 어느정도 되는가?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면적은 2003년 항공사진분석을 통해 한라산 사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해발 약 1,300m부터 정상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그 면적은 603.3ha라고 보고하였다(Kim, 2006). 그리고 해발고 1,500m에서 1,800m사이에 전체 면적의 87.
구상나무는 주로 어디서 자라는가? H. Wilson)는 1920년에 우리나라의 특산식물로 보고된 종으로 분포 범위는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 남부지방의 해발 1,000m 이상의고산지대에 주로 자란다. 하지만 한라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숲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 면적이거나 소수의 개체만이 드물게 분포한다.
한라산 구상나무림이 집중되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3ha라고 보고하였다(Kim, 2006). 그리고 해발고 1,500m에서 1,800m사이에 전체 면적의 87.4%에 해당하는 526.9ha가 형성되었고, 방위별로는 동쪽과 북쪽사면에 걸친 지역에 집중되어있다고 하였다. Song(2011)은 2009년 2월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한라산 구상나무림은 해발 1,300m 구간에서부터 정상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면적이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H,Y., T. Mamoto, T. Kunihide, S.G. Hong and J.J. Kim(2007) Damage to Abies koreana seeds by soil-borne fungi on Mount Halla, Kore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7, 2; ProQuest Central Basic pp. 371(in English) 

  2. Cho, M.K.(2014)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and Pattern of Annual Ring Growth of Abies koreana E. H. Wilson Forest in Mt. Jirisan. Ph. 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Gyeongsangnam-do, 100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yun, H.N.(2006) Soils in Hallasan National Park.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2006. 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Jeju, pp. 87-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S.J.(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7(4): 185-19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E.S.(1994) Decline of tree growth and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high altitude mountains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Research Report KOSEF921-1500-081-2, pp. 8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C.S.(2006)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Abies koreana.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2006. 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Jeju, pp. 451-47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G.T., Choo, G.C. and T.W. Um(200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Kor. J. Env. Eco. 21(2): 161-16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N.S. and H.C. Lee(2013)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J. Korean Env. Res. Tech. 16(5): 49-5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h, J.G., Kim, D.S., Koh, S.C. and M.H. Kim(1996) Dynam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Society for Jeju Studies. No.13: 223-24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ng, W.S.(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73-9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o, K.A., W.K. Park and W.S. Kong(2001) Dendrochrono- 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Korean J. Ecol. 24(5): 281-28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66pp.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2011) The 6th National Forest Resources Survey and Forest Health and Vitality Surve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3pp.(in Korean) 

  14. Ministry of Environment(2015)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EGIS), https://egis.me.go.kr 

  15. Song, K.M.(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Forests on Mt. Halla. Ph. D. Dissertation, Univ. of Jeju National, Jeju-do, 96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ong, K.M., C.S. Kim, J.G. Koh, C.H. Kang and M.H. Kim(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4): 415-42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ong, K.M., Y.J. Kang and H.J. Hyeon(2014) Vegetation Structure at the Slop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edlings of Abies koreana in Hallasan Mountai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1): 39-4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ong, K.M., J. Kim, Y.J. Kang, H.S. Choi, S.C Jung, S.Y. Lee, J.H. Lee, J.G. Koh, J.G. Kim, K.H. Lee, Y.P. Hong, J.H. Lm and C.S. Kim(2016) Korea Fir Hallasan Mountain, Why Are They Dy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ervice (in Korean with English) 

  19. Wildi, B, and C. Lutz(1996) Antioxidant composition of selected high alpine plant species from different altitudes. Plant Cell and Environment 19: 138-1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