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n compounds, scopoletin (1), p-hydroxyphenethyl trans-ferulate (2), $1-({\alpha}-L-rham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yloxy)-3,4,5-trimethoxybenzene$ (3), benzyl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4), suberic ac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 (C-4)을 관측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자료와 문헌 연구纳를 통해서 화합물 4의 구조를 benzyl-O-a-L- rhamnopyranosyl( 1 t 6)-|3-D-이ucopyranoside로 추정 하였고,문헌상의 data"과 비교하여 화합물 4의 구조를 확정하였다.
  • 3) 피크들도 관측 할 수 있었다. 이상의자료와 문헌 연* 구」')를 통해서 화합물 2의 구조를 p-hydroxyphenethyl 如"s-femlate로 확정하였다.
  • 이들 성분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MS 스펙트럼 자료를 문헌과 비교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즉, 화합물 1은 7-hydroxy-6-methoxy coumarin (scopoletin)어°으로, 화합물 5 는 suberic acid""로, 화합물 6은 sebacic acid"'로, 화합물 7은 scopolinW6)로 각각 확정하였다.
  • - 세포독성 실험은 Sulforhodamine-B (SRB) bioassay 방법为을 응용하여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암세포주들로 A549 (non smallcell lung carcinoma), SK-OV-3 (adenocarcinoma, ovay malignant ascites), SK-MEL-2 (malignant melanoma, metastasis to skin of thigh) 및 HCT-15 (colon adeno-carcinomaM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 하였다.
  • 나누었다. B1 분획 (20 g)을 chloroform: methanol :water (7:5 :1)로 현탁 시킨 후 B1 (5 g)을 80% methanol 를 유출용매로 하는 Sephadex LH-20 column 사iromato- graphy실시하였고, 이를 다시 chloroform:mathanol:water (7:5:0.5)를 유출용매로 하는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후, Econosil® RP C-18 HPLC (15% acetonitrile)로정제하여 무색 oil상 화합물 3 (6 mg)을 얻었다. B2분획(1.
  • 5)를 유출용매로 하는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후, Econosil® RP C-18 HPLC (15% acetonitrile)로정제하여 무색 oil상 화합물 3 (6 mg)을 얻었다. B2분획(1.7g)을 chloroform: methanol:water (12:5:1)를 '유출 용매로 하는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후 80% methanol# 유출용매로 사용하는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고, chloroform: methanol: water (12:5:1)의 유출용매를 사용하여 Lobar®-A column chrom* atography 사용한 후, Econosil® RP C-18 HPLC (22%acetonitrile)로 정제하여 노란색 oil상 화합물 4 (5 mg), 흰색 분 말상 화합물 5 (30 mg)를 각각 얻었다. B3분획 (1.
  • 7g)을 chloroform: methanol:water (12:5:1)를 '유출 용매로 하는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후 80% methanol# 유출용매로 사용하는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고, chloroform: methanol: water (12:5:1)의 유출용매를 사용하여 Lobar®-A column chrom* atography 사용한 후, Econosil® RP C-18 HPLC (22%acetonitrile)로 정제하여 노란색 oil상 화합물 4 (5 mg), 흰색 분 말상 화합물 5 (30 mg)를 각각 얻었다. B3분획 (1.6 g)을 80% methanol를 유출용매로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辽omatography 실시하여 6개의 분획 (B31-B36)으로 나눈 후, 그 중 B35 (150 mg)를 Econosil® RP C-18 HPLC (24% acetonitrile)로 정제하여 흰색 분말상 화합물 6 (12 mg)을 얻었고, 다시 B34 (200 mg)를 acetonitrile (23%) 을 유출용매로 사용하여 RP C-18 silica Lobar®-A column chromatography# 사용한 후, Econosil® RP C-18 HPLC (23% acetonitrile)로 정제하여 무색 oil상 화합물 7 (11 mg)을 얻었다.
  • Chloroform 분획 (13 g)을 chloroform: methanol (8:1) 의유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4 개의 분획 (C1-C4)으로 나누었으며, C2분획 (0.5 g)을 n- hexane :chloroform:ethyl acetate (15:13:1)의 전개 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실시 후, Econosil® RP C-18 HPLC (70% MeOH in water)로 정제하여 흰색 분 말상 화합물 1 (3 mg>을 얻었다. C4분획 (2.
  •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MeOH 엑기스 250 g를 얻었다. Methanol 추출물에 정제수 (1.6 L)를 가해서 현탁 시킨 후 n-hexane (55 g), chloroform (13 g), 및 n-BuOH (40 g)로 분획하였다.
  • n-Butanol 분획 (40 g)을 20% methanol ~100% methanol 를 전개용매로 사용하는 gradient방식으로 RP C-18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을 실시하여 4개의 분획 (B1- B4)으로 나누었다. B1 분획 (20 g)을 chloroform: methanol :water (7:5 :1)로 현탁 시킨 후 B1 (5 g)을 80% methanol 를 유출용매로 하는 Sephadex LH-20 column 사iromato- graphy실시하였고, 이를 다시 chloroform:mathanol:water (7:5:0.
  • rosea)의 뿌리를 methanol로 추출하여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에 의하여 5종의 페놀성 성분 과 2종의 suberic acids물질을 분리하여 이화 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적 방법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또한 화합물 7종에 대하여 SRB방법으로 4종의 암세포, A549 (비소세포 폐암주), SK-OV-3 (난소암주), SK-MEL-2 (피부 종양주) 및 HCT-15(직장 종양주) 에 대한 세포독성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실에서는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생물 활성, 특히 세포독성 성분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그의 계속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접시꽃 (A. rosea)의 뿌리를 methanol로 추출하여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에 의하여 5종의 페놀성 성분 과 2종의 suberic acids물질을 분리하여 이화 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적 방법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또한 화합물 7종에 대하여 SRB방법으로 4종의 암세포, A549 (비소세포 폐암주), SK-OV-3 (난소암주), SK-MEL-2 (피부 종양주) 및 HCT-15(직장 종양주) 에 대한 세포독성연구를 수행하였다.
  • 흔히 보고되는 잘 알려진 성분들이다. 이들 성분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MS 스펙트럼 자료를 문헌과 비교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즉, 화합물 1은 7-hydroxy-6-methoxy coumarin (scopoletin)어°으로, 화합물 5 는 suberic acid""로, 화합물 6은 sebacic acid"'로, 화합물 7은 scopolinW6)로 각각 확정하였다.
  • 0 (C-6") 관찰 됨으로써 *H- 및 bC-NMR 스펙트럼 통해서 a-rhamnosyl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자료와 문헌 연구均를 통해서 화합물 3의 구조를 l-(a-L-rhamnosyl(l 6)-P-D-glucopy- ranosyloxyA3, 4, 5-trimethoxybenzene로 추정하였고, 문헌상의 data均와 비교하여 구조를 확정하였다.
  • 접시꽃 뿌리의 MeOH 추출물로부터 7종의 성분을 분리하였고 이화학적 성상 및 기기 분석적 방법으로 구조를 동정하여, 화합물 Ie 7-hydroxy-6-methoxycoumarin (scopoletin), 화합물 2는 p-hydroxyphenethyl trans-ferulate, 화합물 3은 l-(a-L-rhamnosyl(l 6)-P-D-glucopy- ranosyloxy)-3, 4, 5-trimethoxybenzene, 화합물 4는 benzyl-O- a-L-rhamnopyranosyl(l 6)-P-D-glucopyranoside, 화합물 5 는 suberic acid, 화합물 6은 sebacic acid, 화합물 7은 l-O- P-D-glucopyranosyl-6-methoxycoumarin (scopolin)로 각각확인하였다. 이들 성분 1-7은 본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 보고되는 화합물이다.

대상 데이터

  • 사용하였다. EI-MS spectrume JMS700(Jeol, Japan)와 FAB-MS는 VG70-VSEG(VG Analytical, UK)를 사용하였고, nitrobenzyl alcoh사을 matrix 로 사용하였다. LPLC용 columne LobarB, -A LiChroprep Si 60 (Merck) column과 LobarLiChroprep RP C-18 (Merck) columne 사용하였고, pump는' FMI (QS¥0)을 사" 용하였다.
  •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은 Kiesel gel 60 (Merck)와 LiChroprep C28(Merck)를 사용하였고, molecular sieve column chromatography용 packing 물질은 Sephadex LH-20(Phamiacia)을 사용하였다. TLC plate는 Kiesel gel 60 F254 precoated p!ate(ArL552, Merck)를 사용하였고, TLC 발색시약은 10% H2SO4< 사용하였으며, 추출 및 column 산iromatography용 용매는 [급 시약을, 기타시약은 1 급 또는 특급을 각각 사용하였다.
  • 89 (3H, s, OCH, )를 통해서 methoxy group을 확인할 수 있었다. ljC-NMR spectrum에서 12개의 aromatic carbon 피크를 포함하여 , 1개의 ketone (8 168) 피크와 2개의 olefinic carbon (8 140.8, 117.6) 피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2개의 oxygenated carbon (5 55.2, 41.3) 피크들도 관측 할 수 있었다. 이상의자료와 문헌 연* 구」')를 통해서 화합물 2의 구조를 p-hydroxyphenethyl 如"s-femlate로 확정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접시꽃(4 rosed) 뿌리는 2002년 9월에 동두천시 근방에서 채집하여 정확히 감정한 후 사용하였고, 표본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SKKU-2002-CH6)에 보관되어 있다.
  • 실험에 사용된 암세포주들로 A549 (non smallcell lung carcinoma), SK-OV-3 (adenocarcinoma, ovay malignant ascites), SK-MEL-2 (malignant melanoma, metastasis to skin of thigh) 및 HCT-15 (colon adeno-carcinomaM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 하였다.
  • HPLC는 Gilson 306 pump 와 EconosH® RP C18 lOu (length: 250 mm, LD 10 mm) columne Shodex refractive index detecter(RL1(H)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은 Kiesel gel 60 (Merck)와 LiChroprep C28(Merck)를 사용하였고, molecular sieve column chromatography용 packing 물질은 Sephadex LH-20(Phamiacia)을 사용하였다. TLC plate는 Kiesel gel 60 F254 precoated p!ate(ArL552, Merck)를 사용하였고, TLC 발색시약은 10% H2SO4< 사용하였으며, 추출 및 column 산iromatography용 용매는 [급 시약을, 기타시약은 1 급 또는 특급을 각각 사용하였다.
  • 화합물 2는 노란색 oil상의 물질로써 10% H, SO4 (EtOH) 에서 연한 노란색으로 발색되었다. EI-MS 스펙트럼에서 molecular ion peak가 m/z 314에서 관찰 되 었으며 , *H- 및 13C-NMR 스펙트럼자료와 종합하여 molecular formula를(二8用8。5로 추정하였고, 이것으로부터 불포화도는 10으로예상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712, 향문사, 서울 

  2. 이우철(1996)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705, 아카데미서적, 서울 

  3. 배기환(2000) 한국의 약용식물, 332, 교학사, 서울 

  4. Feng, Y., Xu, L., Yang, S. and Zou, Z. (2005) 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flowers of Althaea rosea (I). Zhongcaoyo., 36: 1610-1612 

  5. Matlawska, I. K. Z., Akad, M. I. K. M. and Poznan, P. (1992) Flavonoids in the flowers of Althaea rosea Cav. var. nigra (Malvaceae). Herba Polonica., 38: 163-172 

  6. Asrea, K., Bucar, F., Witvrouw, M., and Pannecouque, C. (2001) Antiviral activ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HIV-1) and type 2 (HIV-2) of ethnobotanically selected Ethiopian medicinal plants. Phytother. Res. 15: 62- 69 

  7. Wang, D., Shang, J., Yu, Q. H. and Zhongguo, Z. Y. Z. Z. (1989)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lower of Althaea rosea (L.) Cav. Zhongguo Zhongyao Zazhi, 14: 46-48 

  8.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bon, J., Vistica, D., Warren, J. T., Bokesch, H., Kenney, S. and Boyd, M. 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 

  9. Kwon, Y. S., Shin, S. J., Kim, M. J. and Kim, C. M.(2001) A new coumarin from stem of Angelica dahurica. Arch. Pharm. Res., 25: 53-56 

  10. Kim, J. S., Kim, J. C., Shin, S. H., Lee, E. J., Jin, W. Y., Bae, K. W., Son, K. H., Kim, H. P., Kang, S. S. and Chang, H. W. (2006)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 of Dystaenia takeshimana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Arch. Pharm. Res., 29: 617-623 

  11. Razdan, T. K., Qadri, B., Harkar, S. and Waight, E. S.(1987) Chromones and coumarins from Skimmia laureola. Phytochemistry, 26: 2063-2069 

  12. Junichi, K., Akiko, M., Yasuko and M., Yasuko, T. (198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richosanthes root. III. Constituents of roots of Trichosanthes bracteata Vougt. Yakugaku Zasshi, 109: 265-270 

  13. Junichi, K. and Yasuko, T. (198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richosanthes root. I. Constituents of roo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var. japonicum Kitam. Yakugaku Zasshi, 109: 250-255 

  14. Awasthi, K. K., Misra and M. K. (1977) Chemical constituents of Caesalpinia pulcherrimas stem bark and flowers. J. Indian Chem Soc., 54: 646-647 

  15. Kwon, Y. S. and Kim, C. M. (1996)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from Leaves of Fraxinus rhynchophylla. Kor. J. Pharmacogn., 27: 347-349 

  16. Chang, B. S. and Kim, C. M. (2004) The Chemical structur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Kor. J. Pharmacogn., 35: 80-87 

  17. Hiroyuki, K., Yutaka, S., and Hiroko, S. (1982) A new phenolic compound from Heracleum lanatum Michx. var. nippinicum Hara. Chem. Pharm. Bull., 30: 4554-4556 

  18. Faten M, M. D. and Manfred, G. R. (2003) Ecdysteroid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Sida spinosa L. Phytochemistry, 62: 1179-1184 

  19. Jaconnet, O. A., Christian, T., Sevser, S., Jocelyne, R. and Kurt, H. (1999) A phenolic glycoside and N-(p-coumaroyl)- tryptamine from Ravensara anisata. Phytochemistry, 52: 1145-1148 

  20. Toshio, M., Akira, U., Nobuo, T., Hiromi, K. and Hiroko, K. (1987) Studies on the glycosides of Epimedium grandiflorum MORR. var. thunbergianum (MIQ.) Nakai. I. Chem. Pharm. Bull., 35: 1109-1117 

  21. Nunziatina, D. T., Luca, R., Jativa, C., Giovanna and S., Cosimo, P. (1996) Aryl and triterpenenic glycosides from Margyricarpusetosus. Phytochemistry, 42: 163-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