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기땅빈대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8 no.3 = no.150, 2007년, pp.291 - 295  

안인파 (연변대학교 약학원) ,  권지웅 (원광대학교 생명자원대학) ,  권태오 (원광대학교 생명자원대학) ,  정완태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이혜숙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  김윤철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Euphorbiaceae) through repeated silica gel, YMC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7-hydroxy-6-methoxycoumarin (scopoletin) (1), p-hydroxybenzaldehyde (2), methyl gall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r. 2(100.0mg)를 다시 MeOH-H, O(40%50% →60%)혼합용매를 용출용매로 하는 YMC gel CC에의하여 7개의 소분획 (Fr. 21~27)으로 나누었다. Fr.
  • 이 추출물을 증류수 (500 ml)에 현탁하고 1-hexane, C HC1 EtOAc, n-BuOH 순으로 극성에 따라 분획하였다. CHC13 가용부(1.2 g)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CC)에 의하여 CHeCL-MeOH (40:1 →20:1 →8:1)을 용출용매로 분획(Fr. 1 ~6)으로 나누었다. Fr.
  • 0 mg)을 분리하였다. EtOAc 가용부(29.4 g)를 silica gel CC에 의하여 CH2C12-MeOH(8:li4:l)을 용출용매로 분획 (Fr. 1~7)으로 나누었다. Fr.
  • 25 mm, Merck)를 각각 사용하였다. NMR spectrume JEOL JNM-ECP 500(1H, 500 MHz; 13C, 125 MHz)을, ESI-MS는 API-2000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4 Hz)에서는 meta-coupling하는 proton signal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kaempferol moiety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8 5.42 (1H, brs)에서 anomeric proton 및 δ 3.40-4.30 부근에서 당의 기타 proton signals를 관찰하였다. Anomeric proton이 broad 한 single signal로 나타나므로 1개의 당이 a 위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13C-NMR spectrum 에서는 20개 탄소의 chemical shift를 문헌에 보고된 data와 비교한 결과 kaempferol 3-O-a-L-arabinofuranoside (Juglanin)로 동정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우리나라에 흔히 자생하는 애기땅빈대의 생리활성물질 발견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일차적으로 이 식물의 성분분리를 수행하고자, 애기땅빈대 전초를 methanol로 추출하여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8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화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적 방법으로 구조를 동정하였다.
  • 애기땅빈대 전초로부터 얻은 MeOH 엑스를 n-hexane, CHCI3, EtOAc 및 n-BuOH 순으로 극성에 따라 분획하였다. 이 중에서 CHCI3과 EtOAc 가용부를 silica gel, YMC gel 및 Sephadex LH-20 CC를 반복 실시하여 8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 유용 천연화합물의 탐색목적으로 애기땅빈대 전초의 MeOH 추출물을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8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1h-nmr, 13c-nmr, MS등 분광학적 방법으로 그 구조를 결정한 결과 이들 화합물의 구조는 7-hydroxy-6-methoxycoumarin (scopoletin)(1), p- hydroxybenzaldehyde (2), methyl gallate (3), gallic acid (4), quercetin (5), quercetin 3-O-a-L-arabinofuranoside (avicularin) (6), kaempferol 3 -O-a-L-arabinofuranoside (juglanin) (7), kaempferol 3-O-β-D-glucopyranoside (astragaline) (8)로 동정하였다.
  • 분획하였다. 이 중에서 CHCI3과 EtOAc 가용부를 silica gel, YMC gel 및 Sephadex LH-20 CC를 반복 실시하여 8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 1g)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증류수 (500 ml)에 현탁하고 1-hexane, C HC1 EtOAc, n-BuOH 순으로 극성에 따라 분획하였다. CHC13 가용부(1.

대상 데이터

  • 시약 및 기기 - Column chromatography용 딤체는 Kiesel gel 60(70 ~230 mesh, Merck, No, 7734), YMC-GEL ODS-A(S-75 ㎛, YMC Kyoto, Japan)과 Sephadex LH-20 (Pharmacia, Uppsala, Sweden)을, thin layer chromato- graphy는 precoated Kiesel gel 60 F254(Merck, No. 5735)및 RP-18 F254S(0.25 mm, Merck)를 각각 사용하였다. NMR spectrume JEOL JNM-ECP 500(1H, 500 MHz; 13C, 125 MHz)을, ESI-MS는 API-2000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실험재료 - 본 실험에 사용한 애기땅빈대 전초는 2005년 7 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채집하여 감정한 후 사용하였으며, 시료의 일부는 표준품(WK05-529)으로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에 보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가중의약관리국 편위회 (1999) 중화본초(전집), 4, 789-792.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상해 

  2.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511. 향문사, 서울 

  3. Tanaka, R. and Matsunaga, S. (1991) Fernane and multiflorane triterpene ketols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30: 4093-4097 

  4. Tanaka, R. and Matsunaga, S. (1991) Fernane and unusually migrated fernane triterpene-triones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30: 293-296 

  5. Tanaka, R., Kurimoto, M., Yoneda, M. and Matsunaga, S. (1990) $17{\beta},21{\beta}-Epoxyhopan-3{\beta}-ol\;and\;{\beta}$ -alnincanol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9: 2253-2256 

  6. Tanaka, R. and Matsunaga, S. (1989) Supinenolones A, B and C, fernane-type triterpenoids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8: 3149-3154 

  7. Tanaka, R., Matsunaga, S., Ishida, T. and Shingu, T. (1989) Four novel 3,4-seco-triterpenoids, espinendiols A and B, espinenoxide, and trisnor-isoespinenoxide from Euphorbia supina. Tetrahedron Lett. 30: 1661-1664 

  8. Tanaka, R. and Matsunaga, S. (1988) Triterpene constituents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7: 3579-3584 

  9. Tanaka, R., Matsuda, M. and Matsunaga, S. (1987) 3 ${\beta}$ - Hydroxyhexanordammaran-20-one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6: 3365-3366 

  10. Chung, B. S. and Kim, H. G. (1985) Studies on the terpenoid constitue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Kor. J. Pharmacogn. 16: 155-159 

  11. Matsunaga, S. and Morita, R. (1983) Hopenol-B, a triterpene alcohol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2: 605-606 

  12. Tanaka, R. and Matsunaga, S. (1989) Loliolide and olean-12-en-3 ${\beta},\;9{\alpha},\;11{\alpha}$ -triol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8: 1699-1702 

  13. Agata, I., Hatano, T., Nakaya, Y., Sugaya, T., Nishibe, S., Yoshida, T. and Okuda, T. (1991)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f Euphorbiaceous plants. VIII. Eumaculin A and eusupinin A, and accompanying polyphenols from Euphorbia maculata L. and E. supina Rafin. Chem. Pharm. Bull. 39: 881-883 

  14. Lee, S. H., Tanaka, T., Nonaka, G. and Nishioka, I. (1991)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CV. Monomeric and dimeric hydrolyzable tannins having a dehydrohexahydroxydiphenoyl group, supinanin, euphorscopin, euphorhelin and jolkianin, from Euphorbia species. Chem. Pharm. Bull. 39: 630-638 

  15. Fang, Z., Zeng, X., Zhang, Y. and Zhou, G. (1993) Chemical constituents of spotted leaf euphorbia (Euphorbia supina). Zhongcaoyao 24: 230-233 

  16. Chang, B. S., Kwon, Y. S. and Kim, C. M. (2004) The chemical structur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Kor. J. Pharmacogn. 35: 80-87 

  17. Nam, J. H., Choi, S. Z. and Lee, K. R. (2004)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ynurus excelsus. Kor. J. Pharmacogn. 35: 116-121 

  18. Jang, D. S., Han, A.-R., Park, G., Jhon, G.-J. and Seo, E.-K. (2004) Flavonoids and aromatic compounds from the rhizomes of Zingiber zerumbet. Arch. Pharm. Res. 27: 386-389 

  19. Redwane, A., Lazrek, H. B., Bouallam, S., Markouk, M., Amarouch, H. and Jana, M. (2002) Larvicidal activity of extracts from Quercus lusitania var. infectoria galls (Oliv.). J. Ethnopharmacol. 79: 261-263 

  20. Lee, S. H., Tanaka, T., Nonaka, G. and Nishioka, I. (1990)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XCV.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lioscopinins and helioscopins, four new hydrolyzable tannins from Euphorbia helioscopia L. (1). Chem. Pharm. Bull. 38: 1518-1523 

  21. Shen, C. C., Chang, Y. S. and Ho, L. K. (1993)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ies of 5,7-dihydroxyflavonoids. Phytochemistry 34: 843-845 

  22. Zhang, X. F., Thuong, P. T., Jin, W. Y., Su, N. D., Sok, D. E., Bae, K. H. and Kang, S. S.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and flavonoids from flower of Reynoutria sachalinensis. Arch. Pharm. Res. 28: 22-27 

  23. Jung, H. A., Kim, A. R., Chung, H. Y. and Choi, J. S. (2002)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elected Prunus species in Korea. Arch. Pharm. Res. 25: 865-872 

  24. Jung, H. A., Kim, J. E., Chung, H. Y. and Choi, J. S.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mens. Arch. Pharm. Res. 26: 279-2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