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밀경작에 의한 논토양 내 아연존재형태 및 탈수소효소-활성도 변화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0 no.11, 2008년, pp.1154 - 1160  

남윤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이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배범한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연 폐광지 부근의 논토양에서 메밀(Fagopyrum esculentum)을 이용한 식물상추출공법 적용 전후에 대해 토양 내 아연 형태 및 탈수소효소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메밀을 식재한 논토양은 아연농도는 약 600 mg/kg인 고오염 구역과 약 300 mg/kg인 저오염 구역으로 구분되었다. 메밀을 재배한 결과, 메밀은 고농도 구역에서 아연에 의한 성장 저해를 입었으나 토양으로부터 식물유효성 형태의 아연을 흡수하여 식물체내에 축적하였고, 아연 독성으로 저해된 토양 내 탈수소효소활성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개월 동안 메밀을 재배한 후 근권 토양 내 식물유효성 아연 농도는 고오염 구역에서 약 25% 감소, 저오염 구역에서 약 70% 감소하였다. 근권 토양에서 감소한 식물유효성 아연의 양은 식물체내에 축적된 아연의 양과 유사하여(Recovery 92$\sim$107%), 메밀이 토양 내 식물유효성 아연을 제거 및 축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양 내 총 아연 농도와 토양 탈수소효소활성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에 고오염 토양에서는 저오염 토양에 비하여 토양 탈수소효소활성도가 약 2배 저해되었지만 메밀 재배 후 각각의 근권에서 약 35%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of zinc speciation and dehydrogenase activity in soil were studied before and after a field scale phytoextraction by Fagopyrum esculentum at a paddy soil near a closed zinc mine. The concentrations of zinc in paddy soil, in which Fagopyrum esculentum was planted, ranged from approximately 6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1) 실험에 사용한 메밀(Fagopyrum esculentum)은 생육기간이 짧고 꽃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가을에도 잘 성장하는 식물로, 추수 후 오염 논토양에 단기간으로 재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적용식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연으로 오염된 휴경지에서 메밀을 이용한 식물상추출 시식물에 의해 제거되는 토양 내 아연 형태 변화와 함께 식물이 토양미생물의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상 추출공법이란? 12)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아연에 의하여 저해된 토양 미생물 효소활성도의 지표로 탈수소효소활성도를 사용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방법 중에서 식물상 추출공법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식물의 뿌리를 통해 토양 내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지상부에 축적시키고, 지상부를 수확하는 방식으로 중금속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13) 이 때 토양과 결합한 중금속의 존재형태에 따라 식물상추출공법의 효율이 변화한다.
식물상추출공법으로 제거할수 있는 중금속 형태는 무엇인가? 13) 이 때 토양과 결합한 중금속의 존재형태에 따라 식물상추출공법의 효율이 변화한다. 토양 내 중금속은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이온교환형태(exchangeable fraction, F1), 탄산염 결합형태(carbonate bound fraction, F2), 산화물 결합형태(Fe-Mn oxide fraction, F3), 유기물 결합형태(organic matter bound fraction, F4) 및 기타 규산염 광물의 입자 격자 사이에 수반된 상태로 존재하는 잔류물 형태(residual fraction, F5)로 구분된다. 이러한 형태별 중금속은 각기 다른 용매를 단계별로 처리하는 연속추 출법으로 얻을 수 있다.
사람이 아연을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아연은 토양 내 중금속 중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중 하나이며 생물에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고농도로 존재할 때에는 독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토양 내 아연이 400 ppm 이상의 고농도로 존재할 때에는 식물의 성장 저해 및 생체량 감소 등의 독성작용이 나타나며, 1,2) 사람이 과다한 아연을 섭취할 경우에는 구토, 복통, 발열을 일으키게 된다. 3) 이러한 중금속 독성의 지표로는 토양 미생물의 효소활성도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탈수소효소활성 도는 가장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한기학, 박창규, 김복영, 김재정, 신제성, 엄기태, 이규승, 이영환, 정영상, 허종수, "농업환경화학," 동화기술, 169-214(1996) 

  2. Chaney, R.L., "Zinc phytotoxicity," In A. D. Robson Eds., "Zinc in Soils and Plants," Kluwer, London, UK, 135-150(1993) 

  3. 임연풍(최석원, 김억수 역), "의학환경 지구화학,"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총서, 춘광출판, 127-325(1996) 

  4. Nannipieri, P., Gregos, S., and Ceccanti, B., "Ecological significance of the biological activity in soils," In Bollag J.M. and Stotzky G. Eds., Soil Biochemistry, Vol. 6, Marcel Dekker, NY., 293-355(1990) 

  5. Welp, G., "Inhibitory effects of the total and water-soluble concentrations of nine different metals on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a loess soil," Bio. Fertil. Soil, 30, 132-139(1999) 

  6. Obhard, J.P., "Ecotoxicologic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sewage sludge amended soils," Appl. Geochem., 16, 1405-1411(2001) 

  7. Moreno, J. L., Hernandez, T., Perez, A., and Garcia, C., "Toxicity of cadmium to soil microbial activity: effect of sewage sludge addition to soil on the ecological dose," Appl. Soil. Ecol., 21, 149-158(2002) 

  8. Irha, N., Slet, J., and Petersell, V., "Effect of heavy metals and PAH on soil assessed via dehydrogenase assay," Environ. Int., 28, 779-782(2003) 

  9. Tabatabai, M. A., "Soil enzymes," In Mickelson, S.H., Bighan, J .M., Eds.,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sconsin, USA, 775-826(1994) 

  10. Baath, E., "Effects of heavy metals in soil on microbial processes and populations (a review)," Water, Air, Soil Pollut., 47, 335-379(1989) 

  11. Giller, K.E., Witter, E., and McGrath, S.P., "Toxicity of heavy metals to microorganisms and microbial processes in agricultural soils," Soil Biol. Biochem., 30, 1389-1414(1998) 

  12. Kizilkaya, R., "Dehydrogenase activity in Lumbricus terrestris casts and surrounding soil affected by addition of different organic wastes and Zn," Biores. Technol., 99, 946-953(2008) 

  13. Nanda, Kumar, P.B.A., Dushenkov, V., Motto, H., and Raskin, I., "Phytoextraction: the use of plants to remove heavy metals from soils," Environ. Sci. Technol., 29, 1232-1238(1995) 

  14.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 845-850(1979) 

  15. Kersten, M. and Forstner, H., "Chemical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in anoxic estuatrine and coastal sediment," Water Sci. Technol., 18, 121-130(1986) 

  16. Baruah, N. K., Kotoky, P., Bhattacharyya, K.G., and Borah, G.C., "Metal speciation in Jhanji River sediments," Th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193, 1-12(1996) 

  17. Perin, G., Fabris, R., Manente, S., Wagener, A.R., Hamacher C., and Scotto S., "A five-year study on the heavymetal pollution of Guanabara Bay sediments(Rio de Janeiro, Brazil) and evaluation of the metal bioavailability by means of geochemical speciation," Water Res., 31, 3017-3028(1997) 

  18. Robinson, B. H., Brooks, R.R., H. Gregg, P.E., and Kirkman, J.H., "The nickel phytoextraction potential of some ultramafic soils as determined by sequential extraction," Geoderma, 87, 293-304(1999) 

  19. Maiz, I., Arambarri I., Garcia, R., and Millan, E., "Evaluation of heavy metal availability in polluted soils by two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using factor analysis," Environ. Pollut., 110, 3-9(2000) 

  20. Dold, B., "Speciation of the most soluble phases in a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dapted for geochemical studies of copper sulfide mine waste," J. Geochem. Explor., 80, 55-68(2003) 

  21. Li, B., Wang Q., Huang, B., and Li, S, "Evaluation of the results from a Quasi-Tessier's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heavy metal speciation in soils and sediment by ICP-MS," Anal. Sci., 17, i1561(2001) 

  22. 장주연, 장윤영, 배범한, 이인숙,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4, 309-313(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