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에스테르 중합폐수의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1,4-다이옥산 제거 및 16S rDNA에 의한 미생물 군집특성 평가
Assessment of 1,4-Dioxane Removal in Polyester Wastewater by Activated Sludge and Its Microbial Property by 16S rDNA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0 no.4, 2008년, pp.393 - 400  

한지선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소명호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창균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용제 안정제로 사용되는 1,4-다이옥산($C_4H_8O_2$)은 높은 용해도와 독성으로 인해 생태계에 유해하며 미국 EPA 의해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환경부에 따르면 2011년부터 수계로의 배출허용기준이 5 mg/L로 추진될 예정에 있다. 따라서 구미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현재 운전 중인 활성슬러지가 1,4-다이옥산을 기준에 적합하도록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일부 회사(K, H 및 T)를 대상으로 1,4-다이옥산의 제거율 및 미생물학적 속성이 평가되었다. 처리효율은 H사에서 98%로 가장 높았으며 K사는 77%로 두 개 사 모두 유출농도가 기준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T사 유출수의 1,4-다이옥산 농도는 23 mg/L로 기준보다 높았다. 한편, 각 업체의 활성슬러지를 100 ppm의 1,4-다이옥산이 포함된 BSM(Basal salt medium)에 식종하여 생물학적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7일간의 운전 후, H사의 슬러지를 이용한 시험에서 1,4-다이옥산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T사는 67%, K사는 52%로 이 처리효율의 차이는 1,4-다이옥산의 양이 아닌 주어진 활성 슬러지의 생분해능이 서로 다른 것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각 산업체의 미생물 다양성이 16s rDNA cloning 방법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Methylibium petroleiphilum PM1이 H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K사에서 적은 양이, 그리고 T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Methylibium petroleiphilum PM1은 methyl tertiary-butyl ether(MTBE)와 같은 에테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산업분야의 관점에서 H사의 활성 슬러지가 1,4-다이옥산의 생분해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4-Dioxane($C_4H_8O_2$), which is used as a solvent stabilizer, could make harmful effects on ecosystem because of its higher solubility, toxicity and carcinogenic by US EPA. From 2011, its discharge limit to waterbody will be regulated at 5 mg/L by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주목할 만 한 점은 이 미생물이 호기성 조건에서 methyl tertiary-butyl ether(MTBE)를 분해하는 미생물이며14) MTBE는 1,4-다이옥산과 같은 에테르 계열의 물질로서 서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1,4-다이옥산이 가장 분해가 잘되었던 H사의 활성슬러지에서 분석한 미생물 종 중 19.6%의 매우 높은 비율로 이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고 K사에서도 일부 발견되었으며 효율이 가장 낮았던 T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H1 및 K1그룹에 속하는 세균이 1,4-다이옥산의 분해에 관여할 수도 있다는 가정을 뒷받침 한다. 그 밖에도 T사에서만 발견된(전체의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4-다이옥산의 주된 발생 처는? 1,4-다이옥산은 주로 화학섬유업체에서의 폴리에스테르제조 공정에서 발생된다. 폴리에스테르의 주원료는 Telephathalic acid(TPA)와 Ethylene Glycol(EG)이며 에스테르반응과 중합반응의 1∼3 단계를 거쳐 폴리머(polymer)를 형성하게 된다.
1,4-다이옥산 제거 기술에 관한 연구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현재까지 개발되거나 연구된 1,4-다이옥산 제거 기술은 크게 물리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리화학적 처리법으로는 고급산화공정(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에 속하는 방법들이 주를 이루었다. UV와 H2O2를 이용한 방법1,4)과 펜턴(Fenton) 산화와 염소(NaOCl)에 의한 1,4-다이옥산의 산화가 연구된 바 있다.5) 최근에는 자외선에 TiO2를 촉매로 사용하는 1.4-다이옥산 분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6) 또한 1,4-다이옥산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려는 시도도 많이 이루어 졌다. 1,4-다이옥산의 분해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순수배양을 통한 시도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알려진 종으로는 Mycobacterium vaccae, Rhodococcus strain 및 nocardioform의 actinomycete류가 있다.7∼9) 뿐만 아니라 혼합배양에 의해 1,4-다이옥산을 분해, 제거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졌다.10) 그러나 실제 운전되는 1,4-다이옥산 함유 폐수의 생물학적 인자 또는 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 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었다.
1,4-다이옥산은 무엇으로 사용되는 어떤 물질인가? 1,4-다이옥산(Cas No. 123-91-1)은 유기용제 안정제로 사용되는 에테르계열의 유기물질로서 높은 용해도로 인해 수생태계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미국 EPA IRIS(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기준에 의해 발암가능물질인 B2(동물에 대한 충분한 발암성 증거확보/인체발암성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없음)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 방류기준(Discharge limit)이 30 µg/L로 규제되고 있다.1) 또한 1,4-다이옥산은 특히 인간과 동물에 눈의 염증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고농도의 1,4-다이옥산이 노출되면 신장과 간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tefan, M. I. and Bolton, J. R, "Mechanism of the degradation of 1,4-dioxane in dilute aqueous solution using the UV/hydrogen peroxide process," Environ. Sci. Technol., 32, 1588-1595(1998) 

  2. National Industrial Chemicals Notification and Assessment Sheme(NICNAS), 1,4-Dioxane Priority Existing Chemical, 7(1998) 

  3.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Home Page, http://www.me.go.kr, December(2007) 

  4. Safarzadeh, A. A., Bolton, J. R. and Caster, S. R, "Ferrioxalate-mediated photo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in contaminated water," Water Res., 31(4), 787-798(1997) 

  5. Klecka, G. M. and Gonsoir, S. J., "Removal of 1,4-dioxane from wastewater," J. Hazard. Mater., 13, 161-168(1986) 

  6. Roger, R. H., Graham, E. J., and David, R. 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1.4 dioxane in aqueous solution," J. Photochem. Photobiol., A, 108, 55-58(1997) 

  7. Burback, B. L. and Perry, J. J., "Biodegradation and bio-transformation of groundwater pollutant mixtures by Mycobacterium vaccae," Appl. Environ. Microbiol., 59, 1025-1029(1993) 

  8. Bernhardt, D. and Diekmann, J., "Degradation of dioxane, tetrahydrofuran and other cyclic ethers by an environmental Rhodococcus strain," Appl. Environ. Microbiol., 36, 120-123(1991) 

  9. Parales, R. E., Adamus, J. E., White, N., and May, H. D., "Degradation of 1,4-dioxane by an actinomycete in pure 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60, 4527-4530 (1994) 

  10. Sock, S. M.,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biodegradation as a treatment alternative for the removal of 1,4-dioxane," Master of Science Thesis, Clemson University (1993) 

  11.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Washington D. C., USA(1988) 

  12. Park, Y. M., Pyo, H. S., Park, S. J., and Park, S. K.,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method for 1,4-dioxane in water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al. Chim. Acta, 548, 109-115(2005) 

  13. Rabus, R., Kube, M., Heider, J., Beck, A., Heitmann, K., Widdel, F., and Reinhardt, R., "The genome sequence of an anaerobic aromatic-degrading denitrifying bacterium strain EbN1," Arch. Microbiol., 183(1), 27-36 (2005) 

  14. Kane, S. R., Chakicherla, A. Y., Chain, P. S., Schmidt, R., Shin, M. W., Legler, T. C., Scow, K. M., Larimer, F. W., Lucas, S. M., Richardson, P. M., and Hristova, K. R., "Whole-genome analysis of the methyl tert-butyl ether-degrading beta-proteobacterium Methylibium petroleiphilum PM1," J. Bacteriol., 189(5), 1931-45(2007) 

  15. Rendulic, S., Jagtap, P., Rosinus, A., Eppinger, M., Baar, C., Lanz, C., Keller, H., Lambert, C., Evans, K. J., Goesmann, A., Meyer, F., Sockett, R. E., and, Schuster, S. C., "A predator unmasked: life cycle of Bdellovibrio bacteriovorus from a genomic perspective," Science, 303(5658), 89-92(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