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제제와 살균제에 의한 인삼 점무늬병의 방제
Control of Alternaria Leaf Blight of Ginseng by Microbial Agent and Fungicid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4 no.2, 2008년, pp.102 - 106  

이상국 (충남대학교 농업생물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한진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물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김현길 (충남대학교 농업생물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윤대붕 (충남대학교 농업생물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최재을 (충남대학교 농업생물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subtilis QST713(BS QST713)의 단독, 살균제와 혼합 및 교호처리하여 인삼 점무늬병의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BS QST713를 10일 간격으로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 인삼 점무늬병에 대한 방제가는 83.3%, azoxystrobin, chlorothalonil copper sulfate basic, copper sulfate basic, kresoxim-methyl, difenoconazole, mancozeb 단독 처리구는 $80.4{\sim}83.7%$로 나타났다. BS QST713와 mancozeb를 혼합하여 14일 간격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방제가는 83.6%, BS QST713와 azoxystrobin 혼합 처리구는 82.6%이었으나, difenoconazole, kresoxim-methyl, copper sulfate basic 및 chlorothalonil copper sulfate basic와 혼합 처리구는 $61.1{\sim}76.4%$로 방제효과가 약간 감소하였다. 대전에서 BS QST713와 copper sulfate basic를 10일 간격으로 교호처리시 방제가가 85.9%이었으나, 다른 살균제와의 교호처리 시는 $55.5{\sim}78.2%$로 낮아 졌다. 그러나 무주에서 모든 교호처리에서 방제가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BS QST713의 단독, 혼합 및 교호처리는 살균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제법으로 이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ngle application of Bacillus subtilis QST713(BS QST713) mixed application with fungicides and alternate application were treated to examine the control of alternaria leaf blight of Panax ginseng. Control value of alternaria leaf blight by single application of BS QST713 at 10 days interval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오이 흰가루병, 딸기 잿빛곰팡이 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방제용으로 등록된 바실러스 서부틸러스 QST713 수화제를 단독, 혼합, 교호처리하여 인삼 점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saka, O. and Shoda, M. 1996. Biological control Rhizoctonia solani damping-off of tomato with Bacillus subtilis RB14. Appl. Environ. Microbiol. 62: 4081-4085 

  2. Brannen, P. M. and Kenney, D. S. 1997. Kodiak-A successful biological-control product for suppresion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of cott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19: 169-171 

  3. Ferreira, J. H. S., Matthee, F. N. and Thomas, A. S. 1991. Biological control of Eutypa lata on grapevine by an antagonistic strain of Bacillus subtilis. Phytopathology 81: 283-287 

  4. Hervas, A., Landa, B., Datnoff, L. E. and Jimenez-Daiz, R. M. 1998. Effects of commercial and indigenous microorganisms on Fusarium wilt development in chickpea. Biol. Control 13: 166-176 

  5. 조재성, 목성균, 원준원. 1998. 최신 인삼재배. 선진문화사. pp. 240 

  6. 정우철, 신택수, 도기석, 김원극, 이재호, 최기현. 2006. 잔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미생물의 선발과 효력 검정. 식물병연구 12: 260-266 

  7. Keinath, A. P. and DuBose, V. B. 2004.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on watermelon. Crop Protection 23: 35-42 

  8. Korsten, L., De Villiers, E. E., Wehner, F. C. and Kotze, J. M. 1997. Field sprays of Bacillus subtilis for control of preharvest fruit diseases of avocado in South Africa. Plant Dis. 81: 455-459 

  9. 이상엽, 이상범, 김용기, 황순진. 2006. Bacillus subtilis 122와 Trichoderma harzianum 23에 의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적 방제. 식물병연구 12: 81-84 

  10. Leifert, C., Chidburee, S., Hampson, S., Workman, S., Sigee, D., Epton, H. A. S. and Harbour, A. 1995. Antibiotoc production and bicontrol activitiy by Bacillus subtilis CL27 and Bacillus pumilus CL45. J. Appl. Bacteriol. t8: 97-108 

  11. 농약사용지침서. 2007. 농약공업협회. 1031 pp 

  12. 오승환. 1980. 인삼병 발생과 방제. 인삼연구 2: 11-20. 고려인삼연구소 

  13. 오승환, 유연현, 김영호, 김기황, 이장호. 1987. 인삼 주요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p. 144-294.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4. 오승환, 유연현, 김영호, 김기황, 이장호. 1988. 인삼 주요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 및 육종분야) pp. 3-137.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5. Scherm, H., Ngugi, H. K., Savelle, A. T. and Edwards, J. R. 2004. Biological control of infection of blueberry flowers caused by Monilinia vaccinii-corymbosi. Biological Control 29: 19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