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goal of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is to replace bone, cementum, and periodontal ligament on a previously diseased root surface, which has suffered the loss of these supporting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regeneration, a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advocated througho...
Purpose: The goal of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is to replace bone, cementum, and periodontal ligament on a previously diseased root surface, which has suffered the loss of these supporting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regeneration, a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advocated throughout the years. There seems to be a potential for some spontaneous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 the bottom of periodontal defect following open flap debridement al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adiographic bone changes over 2-year after flap operation. Material and Methods: Pati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Patients had clinical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infrabony defect(s). forty two sites of 33 patients aged 26 to 65 (mean age 45.5) were treated by flap operation with or without osseous surgery. Baseline and over 2-year follow-up radiograph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this study. Radiographic assessment includes a bone fill, bone crest change,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Pre- and post-treatme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maxilla and mandible, gender, defect depth, defect angle) using the paired t-test were examined. Result: We observed 0.74 mm of bone fill, 0.66 mm of crestal resorption, 1.40 mm of defect resolution, and 27% of percentage of defect resolution. Mandible, women, deeper initial defect depth, narrower initial defect angle showed greater bone fill,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se of flap operation did enhance the outcome in terms of radiographically detectable bone fill. Both treatment resulted in some loss of crestal bone height.
Purpose: The goal of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is to replace bone, cementum, and periodontal ligament on a previously diseased root surface, which has suffered the loss of these supporting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regeneration, a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advocated throughout the years. There seems to be a potential for some spontaneous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 the bottom of periodontal defect following open flap debridement al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adiographic bone changes over 2-year after flap operation. Material and Methods: Pati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Patients had clinical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infrabony defect(s). forty two sites of 33 patients aged 26 to 65 (mean age 45.5) were treated by flap operation with or without osseous surgery. Baseline and over 2-year follow-up radiograph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this study. Radiographic assessment includes a bone fill, bone crest change,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Pre- and post-treatme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maxilla and mandible, gender, defect depth, defect angle) using the paired t-test were examined. Result: We observed 0.74 mm of bone fill, 0.66 mm of crestal resorption, 1.40 mm of defect resolution, and 27% of percentage of defect resolution. Mandible, women, deeper initial defect depth, narrower initial defect angle showed greater bone fill,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se of flap operation did enhance the outcome in terms of radiographically detectable bone fill. Both treatment resulted in some loss of crestal bone heigh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보고에서는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골내 결손부에서, 초진 시와 술후 2년 이상 경과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방사선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상악과 하악, 성별, 골내 결손부의 깊이와 각도가 방사선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5서였다 모든 환자는 1 개 또는 2개의 골연하 결손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치근의 중간 혹은 근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환자의 동의를 구한 후 삭제형 골수술을 시행하거나 하지 않고 33명 환자의 42개의 골연하 결손부(상악 21, 하악 21)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하였다. 위 연구는 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하였다(의연 74005- 657).
왜곡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부학적으로 변하지 않는 치근부의 길이 (백악법랑 경계에서 치근첨까지의 거리)를 두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보정인자를 계산하였다.
치근 길이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치관 길이를 측정하였다(치관의 절단부에서 치관의 백악법랑 경계까지의 거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방사선 사진상에서 2년 후의 골조직 획득양(BF), 치조정의 변화(BC change), 결손부 해소 (DR), 결손부 해소 비율이 계산되었다.
동일한 검사자에 의하여 방사선학적 골결손부의 각도,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치조정까지의 거리,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골내 결손부저까지의 거리가 각각 2번씩 측정되었다. 검사자의 측정값의 일치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의 차이와 표준오차(평균차이 士 표준오차)를 평가하였다.
이전의 연구로부터 골연하 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경우 유의할 만한 골조직의 획득이 증명되었다g).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골조직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선사진을 사용하여, 치주판막술을 골연하 결손부에 시행한 후 2년 이상의 치조골 변화를 관찰하였다.
Bragger 등分은 외과적 술식에 의한 부가적인 골흡수나 골충전은 치료 후 처음 2년 이내에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2년 이상의 관찰 기간은 외과적 술식을 평가하는데 충분하였다 33명 환자의 42개 골연하 결손부에 삭제형 골수술을 시행하거나 하지 않고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후 2년 이상의 방사선사진에서 골조직 획득 치조정 흡수 결손부 해소 결손부 해소 비율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데이터
진행된 치주 질환의 치료를 위해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33명의 환자(19명 남성, 14명 여성)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26~65세로 평균 45.
초진 시와 치주판막술 후 최소 2년(평균 3.4년)이 경과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방사선학적검사는 수술동안 관찰된 골결손부의 형태를 알지 못하는 동일한 검사자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5세, 26~65세)의 42개의 골연하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하였다 초진 시와 2년 이상이 경과한 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여 골조직 획득야 치조정 변화량 골내 결손부 해소, 골내 결손부 해소 바율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검사자가 측정한 2번의 측정값 사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재현성을 보였다(Table 1). 상익의 골내 결손부 21개(전치 1개, 소구치 6개, 대구치 14개), 하악의 골내 결손부 21개(소구치 7개, 대구치 14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방사선 사진은 고해상도 (1600x3200 dpi) 의 스캐너 (EPSON EXPRESSION 1600™, EPSON Corporate, Japan)에 의해 스캔되어 컴퓨터에 저장되었다. 방사선 사진상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Solution®(IMTechnology Inc., Daegeon, Korea)으로 분석, 측정되었다.
검사자의 측정값의 일치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의 차이와 표준오차(평균차이 士 표준오차)를 평가하였다.
상악과 하악, 성별, 골내 결손부 깊이, 골내 결손부 각도에 따른 방사선학적 골 변화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유의수준은 95% 신뢰구간을 설정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골연하 결손부에 대하여 다음의 해부학적 구조들이 스캔된 방사선 사진상에서 Bjorn 등과 Schei 등의 기준에 기초하여 식별되었다(Fig. 1严9).
드。)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왜곡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부학적으로 변하지 않는 치근부의 길이 (백악법랑 경계에서 치근첨까지의 거리)를 두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보정인자를 계산하였다.
성능/효과
t-test를 시행하였다. 유의수준은 95% 신뢰구간을 설정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33명 환자(평균나이 45.5세, 26~65세)의 42개의 골연하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하였다 초진 시와 2년 이상이 경과한 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여 골조직 획득야 치조정 변화량 골내 결손부 해소, 골내 결손부 해소 바율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검사자가 측정한 2번의 측정값 사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재현성을 보였다(Table 1). 상익의 골내 결손부 21개(전치 1개, 소구치 6개, 대구치 14개), 하악의 골내 결손부 21개(소구치 7개, 대구치 14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33명 환자의 42개 골연하 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후 2년 이상의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0.74 mm의 골조직 획득 0.66 mm의 치조정 흡수 1.40 mm의 결손부 해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체 결손부 깊이의 27%가 해소되었다 (Table 2). 15%의 결손부 해소를 보인 상악보다 39%를 보인 하악에서 결손부가 더 많이 해소되었다(Table 3).
40 mm의 결손부 해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체 결손부 깊이의 27%가 해소되었다 (Table 2). 15%의 결손부 해소를 보인 상악보다 39%를 보인 하악에서 결손부가 더 많이 해소되었다(Table 3). 님 성과 여성 사이의 결손부 해소 비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남성 24%, 여성 31%) (Table 4).
33명 환자의 42개 골연하 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2년 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0.74 nun의 골조직 획득 0.66 mm의 치조정 흡수, 1.40 mm의 결손부 해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체 결손부 깊이에 대해 27%의 해소가 관찰되었다(Table 2). 골연하 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많은 문헌들에 의하면, 술 후 0.
1 mm의 골조직 획득이 보고되고 있다23).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초기 골연하 결손부의 깊이가 깊고 좁을수록 더 많은 골 충전과 골연하 결손부 해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Table 3~6).
상악 치아에서 평균 0.24 mm의 골조직 획득 및 0.83 mm 와 15%의 결손부 해소를 보인 반면, 하악 치아에서 1.23 mm의 골조직 획득 및 1.96 mm와 39%의 골내 결손부 해소 등의 더 큰 개선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3). 골조직 획득에 있어서의 0.
0.71 mm의 골조직 획득과 1.30 mm 및 24%의 결손부가 해소된 남성과 0.76 mm의 골조직 획득과 1.52 mm 및 31% 가 결손부가 해소된 여성 사이에서 어떠한 유의성 있는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Table 4). 하지만 여성에서 7% 정도의 결손부 해소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양호한 구강위생관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0.15 mm의 골조직 획득과 0.53 mm 및 14%의 결손부 해소를 보인 2~4 mm의 결손부보다 1.03 mm의 골조직 획득과 1.68 mm 및 34%의 결손부 해소를 보인 4~6 mm의 초기결손부 깊이에서 더 나은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결손부 해소 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전체 결손부 해소 비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5). Laurell 등金은 치주판막술만을 시행한 경우 골충전은 결손부 깊이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하였다 하지만 결손부 깊이와 임상적 부착 수준 획득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으며, 여러 다른 연구에서 결손부의 깊이와 관련없이 치주판막술 후 제한된 임상 부착 수준 획득을 보고하였다*28).
본 연구에서 골연하 결손부에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후 2 년 이상의 방사선 사진에서 유의할만한 골조직의 획득과 결손부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Bragger 등分은 외과적 술식에 의한 부가적인 골흡수나 골충전은 치료 후 처음 2년 이내에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2. 상악보다 하악에서, 남성보다 여성에서, 초기 결손부의 깊이가 깊을수록, 초기 골내 결손부의 각도가 작을수록 더 큰 결손부 깊이 감소가 관찰되었다
3. 골내 결손부의 치료로서의 치주판막술의 결과 결손의 기저부에서 골조직의 획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우수한 구강위생 관리 능력과 정기적 내원에 의한 계속적인 구강 상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재생적 치료를 연구할 때 치료반응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이며 안전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조직학적 평가, 재수술, 연조직 탐침에 의한 방법 등의 한계를 고려할 때 빙사선학적 방법이 분석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잠재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해부학적 구조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골수준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心.
넓은 골결손부는 보다 많은 경조직 결손이 존재하며, 표층부분이 더 넓어서 구강 내 노출로 인한 세균 诳과 저작에 의한 미세외상 등과 같은 부작용에 노출되기 쉽다'5即). 따라서, 방사선학적 골연하 결손부의 각도는 임상가로 하여금 치주판막술에 앞서 골연하 결손부의 골수준 획득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골내 결손부의 치료로서의 치주판막술의 결과 결손의 기저부에서 골조직의 획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우수한 구강위생 관리 능력과 정기적 내원에 의한 계속적인 구강 상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29)
Goldman HM. A rationale for the treatment of the intrabony pocket; one method of treatment, subgingival curettage. J Periodontol 1949;20:83
Froum SJ, Coran M, Thaller B et al. Periodontal healing following open debridement flap procedures. I. Clinical assessment of soft tissue and osseous repair. J Periodontol 1982;53:8-14
Becker W, Becker BE, Berg L. Repair of intrabony defects as a result of open debridement procedures. Report of 36 treated case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6;6:8-21
Garrett S. Periodontal regeneration around natural teeth. Ann Periodontol 1996;1:621-666
Hausmann E, Allen K, Carpio L, Christersson LA, Clerehugh V. Computerized methodology for detection of alveolar crestal bone loss from serial intraoral radiographs. J Periodontol. 1992;63:657-662
Falk H, Laurell L, Ravald N, Teiwik A, Persson R. Guided tissue regeneration therapy of 203 consecutively treated intrabony defects using a bioabsorbable matrix barrier.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J Periodontol 1997;68:571-581
Mellonig JT.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 as an implant material in human periodontal defec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4;4:40-55
Tonetti MS, Prato GP, Cortellini P. Periodontal regeneration of human intrabony defects. IV. Determinants of healing response. J Periodontol 1993;64:934-940
Steffensen B, Webert HP.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ographic periodontal defect angle and healing after treatment. J Periodontol. 1989 May;60:248-254
Tonetti MS, Prato GP, Williams RC, Cortellini P. Periodontal regeneration of human infrabony defects. III. Diagnostic strategies to detect bone gain. J Periodontol 1993;64:269-277
Cortellini P, Tonetti MS. Radiographic defect angle influences the outcomes of GTR therapy in intrabony defects 77th General Session of the IADR, Vancouver, Canada, March 1999;10-13
Laurell L, Gottlow J, Zybutz M, Persson R. Treatment of intrabony defects by different surgical procedures. A literature review. J Periodontol. 1998;69:303-313
Mellonig J, Seamons Bm Gray J, Towle H. Clinical evaluation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the treatment of grade II molar furcation invasion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4;14:255-271
Nyman S, Rosling B, Lindhe J. Effect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on healing after periodontal surgery. J Clin Periodontol 1975;2:80-86
Pihlstrom BL, McHugh RB, Oliphant TH, Ortiz-Campos C. Comparison of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 review of current studies and additional results after 61/2 years. J Clin Periodontol 1983;10:524-541
Bragger U, Hammerle CH, Mombelli A, Burgin W, Lang NP. Remodelling of periodontal tissues adjacent to sites tre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J Clin Periodontol 1992;19:615-62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