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 및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의 자원식물상
The Plant Resources of the Sand Dune on Southern Coast and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5, 2008년, pp.374 - 387  

오승환 (국립수목원) ,  김혁진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6년 2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51과 130속 152종 1품종 18변종 등 총 171분류군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출현종은 Calystegia soldanella(갯메꽃), Ischaemum anthephoroides(갯쇠보리), Imperata cylindrica va. koenigii(띠), Vitex rotundifolia(순비가나무), Carex pumila(좀보리사초), Carex kobomugi(통보리사초) 등으로 나타났다. 본 지역에서 조사된 171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113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dible source, E)은 73종류(40.5%), 약용자원(Medicinal source, M)은 61종류(33.9%), 초지자원(Pasture source, P)은 22종류(12.2%), 관상자원(Ornamental source, O)은 16종류(8.9%), 섬유자원 (Fiber source, F)은 7종류(3.9%), 목재자원(Timber source, T)은 1종류(0.5%)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분류군이 조사지역내 분포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 III IV V등급 식물은 24과 28속 2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171분류군의 16.9%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9과 16속 19분류군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71종류의 7.0%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useful resources plants and the flora of the sand dune on South Coast and Jeju Island. The flora of sand dune on South Coast and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from February to November in 2006.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

주제어

참고문헌 (36)

  1. Ahn, Y.H.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Sand Dune in Shindoori Seashor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6(6): 29-40 

  2. Beon,M.S. and J.M. Park. 2002. A Study on Flora and Biotope Conservation of the Sand Dune in Ui-Island, Korea. J. Korean. Ins. For. Rec. 6(4): 93-101 

  3. Choi, C.H., B.S.Seo, W.J. Park, S.H. Park. 2006. The Flora of Coastal Dune Area in Shinduri, Korea. Korean J. Plant Res. 19(2): 209-217 

  4. Chun, Y.M. 2007. Syn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Uido (Island),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1): 56-65 

  5. Davies, J.A. 1972. Geographical variation in coastal development. Oliver and Boyd, Edinburgh. 204pp 

  6. Han, T.H. 1998. A geomorphological study on beach and sand dune in Jeju island. J. Korean Geom. 5(1): 73-87 

  7. Jung, Y.K. and J.W. Kim. 1998. Coastal SandDuneVegetation inKyungpook Province. Korean J. Ecology. 21(3): 257-262 

  8. Kahng, T.H. 2003.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J. Korean Earth Sci. Soc. 24(6): 568-577 

  9. Kim, T.H. 2003. Geomorphological Land Classification of Coastal Zones in Jeju Island. J. Korean Geom. 10(1): 33-47 

  10. Lee, J.S., B.S. Ihm, D.S. Cho, J.W. Kim. 2007. Coastal Dune Vegetation of South Korea. J. Ecol. Field Biol. 30(2): 135-142 

  11. Lee, T.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 Pl. Tax. 14: 21-32 

  12. Lee, W.T. and S.K. Chon.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ean J. Ecology. 6(3): 177-186 

  13. Lee, W.T. and S.K. Chon. 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Korean J. Ecology. 7(2): 74-84 

  14.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anzenfamilien. Gebruder Berntraeger, Berlin. Band II 

  15. Min, B.M. 2004.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 Ohwi. Korean J. Ecology. 27(1): 49-55 

  16. Pye, K. 1982. Negatively skewed aeolian sands from a humid tropical coastal dune field, Northern Australia. Sediment. Geol. 31: 249-266 

  17. Short, A.D. and P. Hesp. 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ne Geology. 48: 259-284 

  18. Song, H.K, G.S. Park,H.R.Park, E.K. Seo, S.K. So, M.Y.Kim. 2005.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Gun.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8(6): 59-68 

  19. Wilson, E.O. 1988. Biodivers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521p 

  20.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282pp 

  21.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1.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 163-198 

  22.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327pp 

  23.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산림청 국립수목원. 255pp 

  24. 오용자. 1983. 한국산사초과식물(1). 성신여자대학출판부. 서울. 244pp 

  25. 오용자. 1984. 한국산 사초과 식물(2). 성신여자대학 출판부. 서울. 134pp 

  26. 오용자. 1986. 한국산 사초과 식물(3). 성신여자대학 출판부. 서울. 134pp 

  27. 이영로. 2006. 한국식물도감(상). 교학사. 서울. 973pp 

  28. 이영로. 2006. 한국식물도감(하). 교학사. 서울. 885pp 

  29.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316pp 

  30. 이창복. 1976. 한국의 관속식물과 유용성. 관악수목원연구보고. 1: 1-131 

  3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p 

  32. 임업연구원 . 국립수목원.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 국립수목원. 184pp 

  33. 조무현.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9 

  34. 홍원식. 1956. 한국서해안 해변식물군락의 연구. 생물학회보. 1:17-24 

  35. 환경부. 2001. 우리나라 사구 실태파악과 보전.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환경부. 263pp 

  36.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298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