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the Coastal Dunes near the Swimming Beaches on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6, 2009년, pp.499 - 505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  홍성철 (부산대학교 지역환경시스템공학과) ,  최덕천 (상지대학교 교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군락은 좀보리사초군락, 우산잔디군락, 왕잔디군락, 해당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통보리사초 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은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갯그령, 갯완두, 갯방풍의 식별종으로 보아 갯방풍군강(class)의 통보리사초군목에 포함되었다.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물군락 중 가장 이질적이었으며 왕잔디군락은 전형적인 해안사구 식물군락과 가장 가깝게 결합하였다. 해안사구의 배후지 근처에 나타나는 해당화군락과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인위적 간섭이나 교란 등에 의하여 사빈의 해안사구에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vegetations in the coastal dunes in the vicinity of swimming beaches on the East Sea, South Korea, and the vegetations that were investigated are as follows: Carex pumila community, Cynodon dactylon community, Zoysia macrostachya commun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동해안 해안사구의 자연지역과 간섭지역의 경계에 나타나는 식생변화가 다소 예상되어 그 양상을 파악함은 물론 그 양상파악은 훼손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해수욕장 주변의 식물군락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동해안의 특징은? 한반도 동해안은 강원도에만 101개 등 모두 150여개소의 해수욕장이 해안사구(coastal dune)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동해안은 2007년부터 해양관광지 조성을 위하여 해수욕장, 해안도로 등을 개선함과 아울러 2009년까지 106개소 61.
한반도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한반도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군락은 좀보리사초군락, 우산잔디군락, 왕잔디군락, 해당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통보리사초 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은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갯그령, 갯완두, 갯방풍의 식별종으로 보아 갯방풍군강(class)의 통보리사초군목에 포함되었다.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물군락 중 가장 이질적이었으며 왕잔디군락은 전형적인 해안사구 식물군락과 가장 가깝게 결합하였다. 해안사구의 배후지 근처에 나타나는 해당화군락과 순비기나무군락은 해수욕장 주변의 인위적 간섭이나 교란 등에 의하여 사빈의 해안사구에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해안의 해안사구 식생에 대한 기존 연구는? 동해안의 해안사구 식생에 대한 기존 연구는 Jung and Kim(1998, 2000)이 동해안 경북 사구식생의 군락분류와 더불어 한반도의 위도별 해안사구 식물군락을 구분하면서 동해안의 임연군락을 포함시킨 연구가 있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631pp 

  2. Hill, M.O.(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58pp 

  3. Ishikawa, S.I. and N. Kachi(1998) Shoot population dynamics of Carex kobomugi on a coastal sand dune in relation to its zonal distribution. Aust. J. Bot. 46: 111-121 

  4. Jung, Y.K. and J.W. Kim(1998)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Korean J. Ecol. 21(3): 257-262 

  5. Jung, Y.K. and W. Kim(200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Ecol. 23(3): 193-199 

  6. Jung, Y.K.(2000) The viticetea rotundifoliae in South Korea and Japan. Korean J. Ecol. 23(5): 383-389 

  7. Kachi, N. and T. Hirose(1979) Multivariate approaches of the plant communities related with edapic factors in the dune system at Azigaura, Ibaraki Pref. I . Association analysis. Jpn. J. Ecol. 29: 17-27 

  8. Kim, S.M., D.I. Shin, H.S. Song and S.T. Yoon(2006) Phytosociological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vegetation type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Korea. Korean J. Intl. Agri. 18(2): 121-127 

  9. Kim, S.M., D.I. Shin, H.S. Song, S.K. Kim and S.T. Yoon(2005)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South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4): 171-177 

  10. Lee, W. and S.K. Chon(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ean J. Ecology 6(3): 177-186 

  11. Lee, W. and S.K. Chon(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 Korean J. Ecology 7(2): 74-84 

  12. Maarel, E. van der(1979) Multivariate methods in phytosociology with reference to the Netherlands. in M. J. A. Werger(ed.), The study of vegetation. 225pp 

  13. McCune, B. and M.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14. Miyawaki, A.(1972) Reale vegetation der prafektur Kanagawa. The Board of Education of the Kanagawa Prefecture, Yokohama. 789pp 

  15. Miyawaki, A.(1981) Vegetation of japan Kyushu(vol. 2). Shibundo, Tokyo, 484pp 

  16. Miyawaki, A., K. Suzuki, K. Fujiwara and S. Okuda(1980)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des Chugoku-Gebietes(west Honshu). Bull. Ins. Enviro. Sci. Techno. Yokohama Univ. 6(1): 77-118 

  17. Nakanishi, H. and H. Fukumoto(1987) Zonation of coastal vegetation and coastal topography in southern Japan. Jpn. J. Ecol. 37: 197-207 

  18. Ohba, T., A. Miyawaki and R. Tuxen(1973) Pflanzengesellschaften der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Tokyo. 910pp 

  19. Song, H.S. and W. Cho(2007)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Kor. J. Env. Eco. 21(3): 290-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