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Safe 소방대응지원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to construct system for u-Safe fire management suppor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9 no.5, 2008년, pp.1201 - 1209  

전재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IT응용기술학과)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IT응용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에는 지상 60층이 넘는 초고층 건물과 시하 8층 이상의 초심층 건축물. 지하철과 상가, 백화점, 호텔, 전시장등이 연결된 대규모 복합유통시설 지역 등이 있다. 이런 지역이나 시설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가 발생시 진압작전을 위해 투입된 소방관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으면 투입된 소방관의 안전은 물론 효율적인 지휘통제가 제한되어 결국 더 많은 자체 피해와 더불어 화재 진압 및 시민구조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대형재난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투입한 소방력의 효율적인 운영과 과학적인 진압작전을 구사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소방대응지원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eoul, there are lots of skyscrapers that have above 60 stories and buildings that have more than 8 basement levels, as well as massive distribution complex region which is connected to subways, departments, malls, hotels, and exhibition halls. When an accident, such as fire and explosion, hap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SN 기반의 재난대응지원 시스템 구축이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 소방재난현장을 고려하여 IT 신기술을 특히, 무선통신,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형화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화재진압전술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적용시기를 제시하였으며,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영을 위하여 재난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인 소방용수의 위礼 건축물의도면 등을 보유하고 있는 타 기관의 전산시스템과 연동하여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연동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절에서는 서울특별시의 소방서급 소방관위치관리체계가 연동할 대상을 식별하고 이들 체계와 연동했을때 효과성을 판단하여 최적의 연동대상을 식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따라서 초고층과 같은 대형 재난현장의 주요 화재진압 2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IT응용기술학과 교수 ' 에서 무선통신과 센서 및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력의 현장배치상황 및 소방관의 생체상태를식별 . 분석하여 현장지휘관이 효율적인 작전판단 및 수행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며, 재난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관련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타기관의 정보시스템과상호연동을 통하여 실시간 제공이 가능한 체계 구축방안에 대하여 이론적 연구를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센서노드의 감지능력이다.
  • 단 지향성 센서의 감지범위 각은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어 여기서는 45。로 설정한다고 가정하였다.
  • 이중에서 정밀도를 위하여 센서노드의 기본방향이 있는 경우로한정하였다.
  • 그러나 RF 모듈의 통신거리가 일반적으로 센서의 김.지영역보다 넓으므로 센서의감지영역을 센서노드를 중심으로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소방력을 인식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중앙소방학교, “위험물성상 화재진압전술” pp313-341, 2006. 1. 

  2. 박상진, ”센서의 종류와 그 적용“, 제어계측, 2002. 4. 

  3. 김진태 권영미, ” RFID와 ZigBee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u-Health 시스템 구현”,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3권 제1호 통권 제343호, 2006. 1. 

  4. 김진수 등, “USN기반 육군 피아식별체계 구축방안”, 한국국방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12. 

  5. 서울소방방재본부, “특수지역 및 시설관리 대책, 2005. 

  6. ETRI, “센서 네트워킹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2007. 6. 

  7. ETRI, “무선센서 네트워크 노드 미들웨어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2007. 6. 

  8. ETRI, “USN 미들웨어 기술개발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2007. 6. 

  9. 소방방재청, “2007년도 소방공무원 순직공상 통계 분석결과”, 2008. 3 

  10. 서울소방재난본부, “2007년도 소방공무원 특수건강검진 결과”, 2008. 3 

  11. 서울시, “2008년도 서울시 정보화사업시행계획”, 2008. 2 

  12. S. Yi, H. Cha, "Active Tracking System using IEEE802.15.4-based Ultrasonic Sensor Devices", In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RFID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 2006, Seoul, Korea, August, 2006 

  13. Crossbow, "Crossbow Technology Release Security for Perimeter Monitoring, Intrusio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2005. 

  14. Martin Muller, "The ZigBee standard at glance", News from Rohde & Schwarz, 2005. 

  15. Anish Arora et al, "ExScal; Elements of an Extreme Scale Wireless Sensor Network", 2005. 

  16. 장동욱, “USN을 이용한 모바일 u-Health Care 시스템의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