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수유출 저류지 최적화 방안
Optimization of Detention Facilities by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1 no.12, 2008년, pp.1211 - 1218  

정재학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극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수유출 저류지를 소유역에 분담하여 설치 계획하는데있다. 이를 위해 우수유출 저류지의 위치 및 규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유역유출모형과 최적해를 구하기 위하여 도입한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MOGAs)이다. 이러한 최적화 모형을 모의하기 위하여 목적함수는 첨두유출량과 저류지 저류용량의 함수로 설정하고, 제한조건은 기본적으로 구조적 제한과 저류용량 및 운영목적에 따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최적화 모형은 안양시 관양유역에 실제 적용해 보았으며, 그 결과 주어진 제약조건내에서 상류지역에 저류지가 설치되는 경우가 최적값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적절하게 잘 모의된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On-line 및 Off-line 저류지가 동시에 건설되는 경우에도 함께 최적화 모의가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방법론은 향후 도시유역내의 홍수피해 저감계획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r design of the detention system distributed in a watershed by the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MOGAs). A new model is developed to determine optimal size and location of detention. The developed model has two primary interfaced components such as a rainfall runoff model to 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길성 등(2004)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낙동강수계의 월단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적함수는 전력생산을 최대로 하고 하천보장유량의 부족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알고리즘은 동적 계획법(DP)보다 더 효과적인 최적 운영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7과 같이 상류, 중류, 하류에 따라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Off-line 저류지를 각각 설치함에 따른 하류부 홍수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Off-line 저류지는 기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On-line 저류지의 최적화를 모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모의한 유출모형이 Off-line 저류지와 함께 연계되어 운영 시 유출모의가 적절하게 수행되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향후 On-line 저류지 및 Off-line 저류지가 혼용되어 운영될 경우에도 최적화가 가능할지 살펴보기 위하여 모의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상류지역 소유역에 대한 검토를 위해 상기에 제시된 목적함수 중 2번째 목적함수인 목표지점에 대한 유량의 함수와 저류지 저류용량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함수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유출 저류지의 위치와 규모의 최적해를 찾기 위해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목적함수와 제약조건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의 연산자의 설정을 통해 실제 대상유역에 대하여 적용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유역에 있어서 홍수량 분담을 위한 우수유출 저류지 설계를 위해 저류지의 설치위치와 규모를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유역의 저류지 위치와 규모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최적화 툴(optimizer)과 수치모형 툴(simulator)로 나누어 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적화 툴은 모형툴에 입력될 여러 가지 입력변수들의 모집단에서 가장 좋은 입력변수를 산출하게 되고, 모형툴에서는 이러한 입력변수에 대한 모의를 통하여 그 결과를 다시 최적화 툴로 전해줌으로써 최적화 툴이 가장 적정한 값을 구하는데 피드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소규모 유역에서의 우수유출량 저감을 위한 우수유출 저류지(detention)의 규모와 위치에 대한 최적화를 위해 유역과 저류지 네트워크를 모의할 수 있는 유역 유출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유출량 등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안양 관양유역에 대하여 저류지 1개소 및 2개소가 설치되는 경우를 설정하여 설치 소유역과 규모에 대한 최적화를 검토하여 보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적함수는 첨두유출량과 저류용량을 목적함수로 두는 것으로 하였으며, 설치되는 저류지는 On-line 홍수저류지이며 Fig.
  • 본 연구에서는 Off-line 저류지는 기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On-line 저류지의 최적화를 모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모의한 유출모형이 Off-line 저류지와 함께 연계되어 운영 시 유출모의가 적절하게 수행되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향후 On-line 저류지 및 Off-line 저류지가 혼용되어 운영될 경우에도 최적화가 가능할지 살펴보기 위하여 모의하여 보았다.
  • 최적화 문제를 분석하기 전에 먼저 안양관양지구에 대한 강우분석을 위해 수원기상대의 42개년(1964년~2005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강우분석은 FARD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50년빈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채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우유출모형을 모의하였는데, 이는 저류지 설계를 위해 재해영향평가제도에 의한 설계방식을 채택하여 설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적화를 위한 유전연산자는 염색체 개수 70, 세대수 100, 교배확률 0.

가설 설정

  • 8a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류에 Off-line 저류지를 상류와 중류 그리고 하류부에 설치한 결과 하류부에 Off-line 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이 저감효과가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상류와 중류 그리고 하류에 Off-line 저류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On-line 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최적 해를 산정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상기 Fig. 9와 같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출모형이 Off-line 저류지가 설치된 경우에도 함께 On-line 저류지의 최적해를 산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 5에서와 같이 설치가능한 소유역은 총 6개이다. 제약조건으로써, 저류지 규모는 1,000~19,000 ㎥, 방류관의 크기는 0.8~2 m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최소단위는 0.1 m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류지에 최적운영을 위한 시스템은 어떻게 나뉘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류지에 최적운영을 위한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최적화 목적에 따라 크게 저류지 운영시스템(reservoir operation system)과 저류지-하천 연계시스템(reservoir-river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저류지 운영시스템은 저류지의 방류량, 저류용량 및 발전량 등의 비용-편익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최적화로써, 저류지 자체 운영에 목적을 둔 것이라 한다면, 저류지-하천 연계시스템의 경우 저류지의 운영에 따라 하류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국내 수해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 수해의 특징은 하류부 하천에서 발생하는 것 보다는 중상류 지역의 하천에서 많이 발생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하류지역에 위치하는 국가하천에 비해 정비수준이 낮은 것도 하나의 원인이지만, 최근 이상기후 등으로 인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하여 설계 빈도를 상회하는 경우가 많아진 때문이기도 하다.
하천과 저류지가 연계된 체계에서 실시간 최적 홍수조절 방법론은 어떤 모형을 결합하였는가? Unver and Mays(1990)는 하천과 저류지가 연계된 체계에서 실시간 최적 홍수조절 방법론을 개발 하였다. 이 방법은 DWOPER와 비선형 프로그램인 GRG2 모형을 결합 하였다. 목적함수는 총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기초로 하였으며, 홍수 취약지구에서 홍수위와 홍수유출량의 함수로서 나타내었고 Texas의 콜로라도 강의 Travis 호수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태순, 허준행 (2005). “NSGA-II를 이용한 한강수계 저수지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69-2372 

  2. 박민규, 유철상, 박창열 (2007). “저류지 예비설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83-387 

  3. 박봉진, 차형선, 김주환 (1997).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47-355 

  4. 이길성, 정은성 (2004).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댐군의 최적운영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9-17 

  5. 이정식, 이재준, 김규호, 오석훈 (1995). “도시유역에서 지체저류시설의 수문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2호, pp. 159-173 

  6. 이재준, 곽창재, 김호년, 이상원 (2007). “도시유역 저류지의 위치관련 변수의 수문학적 해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405-1408 

  7. El-Said Mohamed, Said Ahmed (2006). Real time optimal operation of Reservoir-river system under flooding conditions, Arizona State University 

  8. Esat, V., and Hall, M. J. (1994). "Water resources system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informatics, A. Verwey, Delft, pp 225-232 

  9. Fahmy, H. S., King, J. P., Wentzel, M. W., and Seton, J. A. (1994). "Economic optimization of river management using genetic algorithms." Paper No. 943034, ASAE 1994 Int. Summer Meeting, Am. Soc. of Agricultural Engineers. St. Joseph, Mich 

  10. Mays, L.W., Unver, O.L. and Lansey, K.E. (1986). Report of real time flood management model for lower colorado river-highland lake systems, Bereau of Engineering Research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and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1. Unver, O.L. and Mays, L.W. (1990). "Model for real-time Optimal Flood Control Operation of a Reservoir System."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4. Kluwer. Dordrecht, The Netherlands. pp. 21-46 

  12. Wardlaw, R and Sharif, M(1999). "Evaluation of genetic algorithms for optimal reservoir system operati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 Management, ASCE, Vol. 125, No. 1, pp. 25-33 

  13. Windsor, J. S.(1973). "Optimization Model for the Operation of Flood Control Syste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9, pp. 1219-12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