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유역 저류지 위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28 no.5B, 2008년, pp.535 - 546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김호년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화는 유출량의 증가와 도달시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하류 지점의 빈번한 범람을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유역내에 침투시설과 저류시설 등 유출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설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각종 규모의 지체저류시설을 활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의 형태(세장형(SF=0.204), 집중형(SF=0.782), 중간형(SF=0.567))로 유역을 가정하여 일반적으로 유역 말단에 설치하던 유수지(저류지)를 유역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단일저류지와 복수 저류지에 대해 각각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이들 저류지의 위치관련변수와 수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단일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역의 형상에 따라 저류지의 위치는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이하 저류지 상류부 면적비, DUAR(Dimensionless Upstream Area Ratio)이라 한다)를 20%, 40%, 60%, 80%로 변동시키면서 모의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복수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단일 저류지 분석시 적용한 유역형상 중 중간형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방류구조와 유역의 제반사항은 단일 저류지의 모의시와 동일하게 가정하였고, 저류지가 분담하는 유역의 면적비를 바탕으로 하여 DUAR 60%, 80%, 100%, 120%, 140%의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때 저류지 바닥면적(Ab)의 크기는 유역면적에 대해 각각 1%와 0.5%를 취하는 경우의 두 가지로 구분지어 모의분석을 실시하였다.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세장형의 유역이 적은 저류량에 대해 유출저감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저류지의 위치 관련변수의 관계도 및 관계식을 제시하였고, 이를 시험유역에 적용시켜 검증하였다. 저류지 위치 관련변수의 관계도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단일 저류지와 복수 저류지의 개략적인 위치선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ization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The retardation structures are used to eliminate adverse downstream effects of urban stormwater runoff.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도시유역의 우수유출저감시설인 저류지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나, 국내의 경우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와 위치선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내의 저류지 설치에 대한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유역 말단에 위치하던 유수지를 유역내의 임의의 지점에 저류지로 설치하여 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저류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유역의 우수유출저감을 위한 저류지의 위치선정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일반적으로 저류지(유수지)가 설치되는 위치는 유역출구점이 아닌 그보다 상류부에 저류지가 위치할 때의 유역출구점에서의 유출저감효과를 모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한 유출총량 및 첨두유량 증대에 대처하는 유출저감시설로서 유역내에 설치되는 저류지의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저류지를 설계함에 있어서 대부분 유역의 말단에 위치하던 유수지가 아닌 유역내의 임의의 위치에 저류지를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할 때 저류지의 위치선정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장에서는 저류지 규모와 방류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유역의 저류지 설치 위치와 유역형상에 따른 관련 변수들의 변화와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 3장에서 제시한 각종 관련변수간의 관계도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저류지 설계 및 저류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들 관련변수간의 관계도 및 관계식을 활용할 경우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상유역 및 시험유역에 대한 검증 및 적용 결과를 간략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가설 설정

  • 복수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단일 저류지 분석시 적용한 유역형상 중 중간형 유역의 Case 3을 대상으로 하여 방류구조와 유역의 제반사항은 단일 저류지 모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그림 19~그림 23의 모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지가 분담하는 유역의 면적비를 바탕으로 하여 100%의 의미는 유출구에 저류지를 1개 설치한 것이고, DUAR 60%와 80%는 유출구지점보다 상류부에 2개의 저류지를 설치함을 의미하며, DUAR 120%와 140%는 유출구지점에 저류지 1개를 설치하고 그 상류부에 또 1개의 저류지를 설치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0.2의 면적을 가진 소유역 5개로 구성된 1.0의 가상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하천설계기준(2005)에 따라 홍수방어용 저수지의 설계빈도인 50년 빈도로 가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조사된 국내 저류지의 설계강우 임계지속기간은 대체로 40~230분 정도임을 감안하여 강우지속기간은 6시간인 설계강우량을 건설교통부(2000)의 “1999년도 수자원 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대도시유역인 대구지방에 대한 Huff 방법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첨두유량이 가장 크고 첨두도달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나는 분포형인 Huff-4분위 시간분포를 사용하였다.
  • 유역내의 임의의 지점에 시설되는 저류지의 단면 형태와 수는 사다리꼴형 1개소이며, 측면경사 1:2, 방류구조는 Box 형 culvert(2 m×1 m×1EA)로 저류지바닥으로부터 30 cm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저류지가 상류부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입니까? 유역내에 복수 저류지를 설치할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관련변수 관계는 저류지 상류부 면적비(DUAR)~유출구 첨두 유량비(α'), 유역저류비(Sr′)~저류지 상류부 면적비(DUAR)의 분석 결과로서 각각 표 2, 그림 24와 표 4, 그림 26과 같다. 일반적으로 저류지가 상류부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유출기여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하류부 혹은 유역 말단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보다 저류량의 규모가 작아지게 되고, 단일 저류지에 비해 개개 저류지의 저류량도 작아지게 된다. 또한 저류지의 용량이 작아짐으로써 저류지의 바닥면적도 하류부로부터 상류부로 가면서 작아지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최적화 기법 등을 통하여 적절한 저류량 규모와 위치 등을 정하여야 할 것이다.
유출저감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따라서 이러한 수리·수 문학적인 조건의 악화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고 지하수자원 확보 및 하천의 건천화 방지 등을 위한 우수유출저감 대책 및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유출저감시설은 이미 개발된 도시유역의 홍수량을 조절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새롭게 개발이 시행되는 유역에서는 개발로 인한 홍수 증가량을 분담하는 수단으로써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 따라서 최근에는 일률적으로 임시 및 상시 저류지 등의 빈도설계를 통하여 개발 이후의 첨두유량이 개발 이전의 첨두 유량 보다 크지 않도록 우수배제시스템을 설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시설을 유역출구에 설치함으로써 첨두유량만을 개발이전의 수준으로 유지할 뿐 여전히 유출량의 증가 및 홍 수도달시간이 빨라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화 사업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배수 시설의 확장은 급격한 유출변화를 초래하였는데 이로인한 부정적 측면은 무엇입니까?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등의 도시화 사업은 결과적으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배수 시설의 확장으로 인하여 기존의 자연 상태에 비해 급격한 유출변화를 초래하였다. 즉, 전체적으로 표면조도계수를 감소시키고 침투율을 급격히 감소시켜 우수와 생활 및 산업 용수의 유출 진행속도가 빠르게 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자연 녹지가 축소되어 자연 보유력이 감소되어 유역의 홍수방어능력이 떨어지게 되었을 뿐 아니라 유출이 집중되는 특성으로 재해위험의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따라서 이러한 수리·수 문학적인 조건의 악화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고 지하수자원 확보 및 하천의 건천화 방지 등을 위한 우수유출저감 대책 및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설교통부(2000) 1999년도 수자원 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보고서, 제2권, 부록II, pp. 169 

  2. 건설교통부(2005) 하천설계기준 

  3. 국립방재연구소(2005)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기법연구 종합보고서 

  4. 김지태, 권욱, 김영복, 김수전(2006) 도시유역의 분담저류 방식에 따른 유출저감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15-922 

  5. 윤여진, 이재철(2001) 계획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지용량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5호, pp. 415-426 

  6. 이정식, 이재준, 김규호, 오석호(1995) 도시유역에서 지체저류시설의 수문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8권, 제2호, pp. 159-173 

  7. 이종태, 윤세의, 이재준, 윤용남(1991) 도시화영향을 고려한 유수지 계획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4권, 제4호, pp. 73-83 

  8. 이재응, 위희상(2001) 선형결정규칙과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이용한 저수지 규모결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2-B호, pp. 93-100 

  9. 이재준, 이정식, 전병호, 이종태(1993) 우수관거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 49-57 

  10. 한국수문학회(1988) 87 수해백서 

  11. Baker, W.R. (1979) Stormwater detention basin design for small drainage areas, Public Works, Vol. 108, No. 3, pp. 75-79 

  12. Bennett, M.S. and Mays, L.W. (1985) Optimal design of detention and drainage channel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1, No. 1, pp. 99-112 

  13. Brater, E.F., King, H.W., Lindell, J.E., and Wei, C.Y. (1996) Handbook of hydraulics, 7th ed., McGraw-hill 

  14. Boyd, M.J. (1987) Preliminary design equation for multiple detention storag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IAHR, Lausanne, pp. 373-374 

  15. Guo, Y. and Adams, B.J. (1999) An analytical probabilistic approach to sizing flood control detention faciliti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8, pp. 2457-2468 

  16. James, W.P., Bell, J.F., and Leslie, D.L. (1987) Size and location of detenton storag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3, No. 1, pp. 15-28 

  17. Mays, L.W. and Bedient, P.B. (1982) Model for optimal size and location of detenti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ASCE. Vol. 108, No. WR3, pp. 270-285 

  18. Normann, J.M., Houghtalen, R.J., and Johnston, W.J. (1985) Hydraulic design of highway culverts, HDS No. 5,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cLean, Virginia 

  19. Ormsbee, L.E., Delleur, J.W., and Houck, M.H. (1987) Design of stormwater detention basins for multiple design frequencies, Journal of Hydraulics Engineering, ASCE, Vol. 113, No. 5, pp. 601-614 

  20. Ormsbee, L.E., Houck, M.H., and Delleur, J.W. (1987) Design of dual-purpose detention systems using dynamic programming,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3, No. 4, pp. 471-484 

  21. Phillips, D.I. (1987) On-site stormwater detention for small urban development projects,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Lausanne, Swiss, pp. 361-366 

  22. SCS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 Release 55, Washington, D.C. 

  23. Smith, D.P. Jr. and Bedient, P.B. (1980) Detention storage for urban flood control,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ASCE. Vol. 106, No. WR2, pp. 413-425 

  24. Thomas, M.W. and Thomas, E.B. (2002) Computer applications in hydraulic engineering fifth edition, Haestad Methods, Inc., pp. 153-194 

  25. Wang, M., Chuang, Y., and Huang, C. (1990) Size sensitivity of detention ponds for mountain areas,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Osaka, Japan, pp. 689-694 

  26. Whipple, W., Kropp, R., and Burke, S. (1987) Implementing dualpurpose stormwater detention progra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3, No. 6, pp. 779-7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