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의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 식물종의 분포 패턴 및 특성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1a - Case Study of Cheon-ju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5, 2008년, pp.505 - 513  

최일기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이은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 In order to achieve a comprehensive data acquisition of all autogenously introduced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the city of Cheon-ju, this study made an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city of Cheon-ju in southwest Korea, considered representative for many continuously growing citi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ssess human impact on the flora and sites in Korean urban area. First, which and how can influence anthropogenic impact on current flora? Thus, species richness, spectra of life forms, and the performance of non-native species are analysed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hemeroby of the sites.
  • Additionally,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was investigated with regard to land-use types and to the definite urban zone. This study is considered a contribution to the significant information for maintaining of biodiversity and nature conservation in Korean urban-industrial area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lume, H.P. and H. Sukopp(1976) Okologische Bedeutung anthropogener Bodenveranderungen. Schr.-R. f. Vegetationskde. 10: 75-89 

  2. Conell, J.H.(1978) Diversity in tropical rain forests and coral reefs. Science 199: 1302-1310 

  3. Grime, J.P.(1979) Plant strategies and vegetation processes. Wiley, Chichester, 417pp 

  4. Jackowiak, B.(1988) The hemeroby concept in the evaluation of human influence on the urban flora of Vienna. Phytocoenosis 10: 79-96 

  5. Jalas, J.(1955) Hemerobe und hemerochore Pflanzenarten.Ein terminologischer Reformversuch. Acta Soc. Fauna Flora Fenn. 72: 1-15 

  6. Kim, Y.M.(2001) Untersuchung von Flora, Vegetation und Biotoptypen in der dorflichen Kultur- landschaft Koreas. Dissertation. TU Berlin, 221pp 

  7. Kowarik, I.(1988) Zum menschlichen Einfluss auf Flora und Vegetation. Theoretische Konzepte und ein Quantifizierungsansatz am Beispiel von Berlin (West). Landschaftsentwicklung und Umwelt- forschung 56: 1-280 

  8. Kowarik, I.(1990) Some responses on flora and vegetation to urbanisation in Central Europe. In: Sukopp, H. S. Hejny and I. Kowarik(eds.), Urban ecology, pp. 45-74, SPB Acad. Publ., The Hague 

  9. Kowarik, I.(1999) Naturlichkeit, Naturnahe und Hemerobie als Bewertungskriterien.-In: Konold W., Boker R.& Hampicke U.(esd.), Handbuch Naturschutz und Landschaftspflege .-Ecomed, Landsberg, pp.1-18 

  10. Kunick, W.(1974) Veranderungen von Flora und Vegetation einer Grossstadt am Beispiel von Berlin (West). Dissertation. TU Berlin, 472pp 

  11. Kwon, W.Y. and K.J. Kim(2001) Urban management in Seoul. Policy issues and response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12. Lee, C.B.(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 Mun Sa, Seoul, 990pp 

  13.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1996) Project on the plan framework "Eco-City" 

  14. Park, S.H.(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 Cho Kak, 371pp 

  15. Park, T.Y.(1997)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policy in Korea. In: Han, W.J. and E.Y. Cho (Eds.): Environmental policies: International issues, case studies, and strategies, pp. 197-209 

  16.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rendon Press, Oxford, 630pp 

  17. Schmitz, S.(2000) Die spontane Gefasspflanzenflora zwischen Berlin-Mitte und Berlin Kopenick. Landschaftsentw. u. Umweltforsch. 116: 1-181 

  18. Schulte, W., H. Sukopp and P. Werner(1993) Flachendeckende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als Grundlage einer am Naturschutz orientierten Planung. Natur und Landschaft 68: 491-526 

  19. Seoul City(2000) Biotope mapping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in Seoul City. Seoul City, Seoul 

  20. Sukopp, H.(1969)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 17: 360-371 

  21. Sukopp, H.(1972) Wandel von Flora und Vegetation in Mitteleuropa unter dem Einfluss des Menschen. In: Berliner Landwirtschaft 50: 112-135 

  22. Sukopp, H.(1983) Okologische Charakteristik von Grossstadten. In: Grundriss der Stadtplanung. Akademie fur Raumforschung und Landesplanung, Hannover: 51-82 

  23. Sukopp, H.(1990) Stadtokologie. Das Beispiel Berlin. Reimer. Berlin, 455pp 

  24. Sukopp, H. and R. Wittig(1993) Stadtokologie.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402pp 

  25. Wittig, R., D. Diesing and M. Godde(1985) Urbanophob - urbanoneutral - urbanophil. Das Verhalten der Arten gegenuber dem Lebensraum Stadt. Flora 177: 265-283 

  26. Zerbe, S., U. Maurer, S. Schmitz and H. Sukopp (2002) Biodiversity in Berlin and its potential for nature conserv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2: 139-148 

  27. Zerbe, S. and H. Sukopp(1996) Ecological development in European cities with special regard to nature conservation - Berlin as an exampl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cal Agenda 21 and Eco-City Development, Seoul, Korea: 29-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