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적 이미지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여성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Korean Wome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Imag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1, 2008년, pp.1715 - 1725  

김하연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domestic women consumer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image and also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openness towar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braham-Murali and Littrell(1995)과 Littrell et al.(1994)의 속성평가문항을 통하여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로 하며, 또한 의도적 요소로서 추후에 구매의도를 태도와 관련 시 켜 살펴봄으로써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 그 외 소비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인 연령과 소득 및 해외경험의 유 · 무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소비자 변인들이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상품의 태도는 소비자 변인에 의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다양성 추구성향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호의적 태도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 다양성 추구성향에 따른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성 추구성향의 요인을 추출하고, 이 결과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새로움을 추구하고 혁신적인 성향이 첫 번째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고유치는 3.
  •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아직까지 명확한 문화상품에 대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는 않으며, 아직까지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문화상품과 관련하여서는 문화적 가치가 경제적 가치와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상품의 의미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이미지를 가진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만큼, 매일경제연구소(1997)와 심 영섭(2000), 조선대학교 산업대자인 특성화 사업단 (2000)이 제시한 문화상품의 정의에 가까운 개념으로, 한 국가의 고유한 문화적 가치가 경제적 효용가치와 결합되어 생산되는 상품으로 문화상품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패션문화상품은 앞에서 정의한 문화상품 중에서 패션 특성을 가진 상품을 말한다.
  • 따라서 소비자들이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를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변인을 찾고,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아직 초기적 단계에 있는 패션문화상품 시장에 소비자들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비자 연구의 기본적 요소인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도 살펴보고자 한다.
  • 패션문화상품은, 문화상품의 특성을 지닌 제품으로서, 소비자들이 평소에 흔히 접할 수 없는 참신함과, 문화적 특수성을 내포한 독특함의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성 추구성향을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변수의 하나로서 볼 때, 혁신성(innovativeness)으로서 연구한 Rogers and Shoemaker(1971)과 같이 다양성 추구성향의 개념을 새롭고 독특한 것을 찾고, 혁신추구를 지향한다는 맥락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해외경험의 유.무에 의한 집단에 따라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태도 및 구매의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패션문화상품의 개념을 밝히고, 소비자 변인을 통한 구매행동에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크게 소비자 변인 부분, 태도 및 구매의도 부분, 해외경험 유 · 무에 따른 태도 및 구매의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이러한 외국에 대한 개방성의 변인은 조윤진(2007), Kim and Littrell(2001)의 연구에서도 변인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에 대한 개방성차원을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에 관련되는 변인으로 예측한다.
  • 이러한 문화차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문화적 브랜딩을 통해 국가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이라는 가정하에 출발한 선행연구로는 이윤진(2006)의 연구가 있다. 본 연구의 경우도 이윤진(2006)과 Anholt(2005)의 연구에서와 같은 맥락에서, 패션문화상품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소비자 특성 변인(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외국에 대한 개방성, 다양성 추구성향, 인구통계적 변인)이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내 문화상품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수요의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대상인 한국인 소비자에 대하여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산업 시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를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변인을 찾고,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이와 같이 패션문화상품에는 패션의 영역에 포함되는 모든 상품이 포함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패션문화상품의 가장 대표적 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적 이미지의 의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김민자(2001)는 한국적 이미지는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이는 역사적 발전 속에서 형성되어 온 규범적 힘을 발휘하는 미적 가치를 바탕으로 창조 혹은 재생산된 가시적 형상을 지칭하며, 이로부터 느껴지는 분위기, 연상, 심상, 감각 등의 총체적인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 따라서 소비자들이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를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변인을 찾고,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아직 초기적 단계에 있는 패션문화상품 시장에 소비자들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비자 연구의 기본적 요소인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패션문화상품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문화상품 시장에 연관된 업체들을 위한 전략적 제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2.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외국에 대한 개방성과 해외 경험 변인, 패션상품 소비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의 태도를 측정한 후, 같은 상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자극물에 대한 구매의도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매할 의사가 있다, 자신을 위해 구매할 의사가 있다, 제품이 마음에 든다, 타인을 위한 선물로 구매할 의사가 있다의 네 항목이 하나의 요인 차원임이 밝혀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병희, 조희래, 김영인. (1998).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2(3), 384?395 

  2. 김민자. (2001). 현대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한국적 이미지의 계승과 발전방안. 한국복식문화 2000년 세미나 발표, 서울 

  3. 매일경제연구소. (1997). 지식기반경제와 한국문화. 명지대학교 경제연구소 주최 학술발표, 서울 

  4. 박유연. (2005). 만족과 충성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 지각된 개인화, 전환비용, 다양성 추구성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현희, 구양숙, 구동모. (2007). 소비자의 쇼핑 가치가 패션 제품 속성 평가 및 브랜드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2), 236?246 

  6. 심영섭. (2000). 주류산업과 문화상품. 한국의류산업학회, 20(3), 178?191 

  7. 유혜경, 김찬주. (2004). 해외체류경험이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의 경우. 한국의류학회, 28(12), 1644?1654 

  8. 이윤진. (2006). 영국에서의 한국국가이미지와 문화브랜드- 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한.중.일 문화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영미문화학회, 6(2), 227?261 

  9. 이준웅. (2003). 중국의 한류 현상에 대한 '매개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검증 연구-중국인의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문화상품 이용에 따른 신념, 감정, 태도의 형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3), 277?323 

  10. 이진화. (2006). 한국 패션문화상품 소비자에 대한 시장세분화와 구매행동연구-방한 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8(4), 427?432 

  11.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12.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1994). 소비자 행동론-이해와 마케팅에의 전략적 활용. 서울: 경문사 

  13.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669?680 

  14. 조선대학교 산업디자인 특성화 사업단. (2000). 21세기 전남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전통문화 상품화 계획. 광주: 전남발전연구소 

  15. 조윤진. (2007). 한국 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17. Abraham-Murali, L. & Littrell, M. A. (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3(2), 65?74 

  18. Adler, P. (1977). Beyond cultural identity: Reflections upon cultural identity: Reflections upon cultural and multicultural man. In R. Brislin (Ed.), Cultural learning: Concepts, applicationd, and research (p. 68). Hawaii: East-West Center 

  19. Anholt, S. (2005). How the world sees the world, The Anholt-GMI Nation Brands Index, 2nd Quarter. GFK Custome Research North America. Retrieved October 16, 2007, from http://www.nationbrandindex.com 

  20. Bennett, M. J. (1993). Cultural marginality: Identity issues in intercultural training. In R. M. Paige (Ed.),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el yarmouth (pp. 34-35). ME: Intercultural Press 

  21. Bhawuk, D. P. S. & Brislin, R. (1992).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6(4), 413?436 

  22. Brislin, R. (1981). Cross-cultural encounters: Face-to-face interaction. NY: Pergamon Press 

  23. Eagley, A. H. & Chaiken, S. (1993). The psychology of attitudes. Orlando, FL: Harcourt Brace Jovanovich 

  24. Holt, D. B. (1998).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 1?25 

  25. Holt, D. B. (2004). How brands become icons: The principles of cultural branding.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6. Kahn, B. E., Kalwani, M. U., & Morrison, D. G. (1986). Measuring variety-seeking and reinforcement behaviors using panel data.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May), 89?100 

  27. Kim, S. & Littrell, M. A. (2001). Souvenir buying intentions for self versus other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3), 638?657 

  28. Littrell, M. A., Baizerman, S., Kean, R., Gahring, S., Niemeyer, S., Reilly, R., & Stout, J. (1994). Souvenirs and tourism styl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3(1), 3?11 

  29. Menon, S. & Kahn, B. A. (1995). The impact of external context on variety seeking in product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Dec), 285?295 

  30. Rogers, E. M. & Shoemaker, F. F. (1971).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Mankato: The Free Press 

  31.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32. Steenkamp, E. M. & Baumgartner, H. (1992). The role of optimum stimulation level in exploratory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Dec), 434?448 

  33. Yu, H. & Littrell, M. A. (2003). Product and process orientations to Tourism shopping. Journal of Travel Research, 42(20), 40?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