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어디자인요소의 변화에 따른 헤어스타일이미지
Hair Style Image by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1, 2008년, pp.1782 - 1791  

이효숙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박숙현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hair style image about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tion. The twelve color photographs of manikins with various hair style were used as the stimulus. As measuring instrument, a likert scale composed of...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고영주. (2003). 헤어칼라가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헤어칼라 선호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미영. (1996).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양휴. (1996). 패션헤어스타일의 선호와 성격간의 상관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재숙, 류지원. (2004). 헤어길이와 헤어컬러가 남성의 패션이 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8(9/10), 1320?1328 

  5. 김희숙. (2002). Cut Design. 서울: 수문사 

  6. 도주연. (1991). 헤어스타일 변화에 의한 얼굴이미지와 형태의 비교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류지원. (2005). 남성착용자의 의복격식차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의 인상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서윤경. (2003). 여대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과 헤어컬러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서장일. (2005). 의상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 조사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안주영. (2004). 헤어컬러에 따른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 성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유태순. (1998). 패션과 여성. 대구: 도서출판효성 

  12. 윤소영. (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윤영미. (2000). 디자인기초교육에서 입체조형과 모듈학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윤지성. (2000). 헤어컬러에 따른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경희. (1991). 의복형태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이명희. (2004).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와 헤어스타일 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 연구. 복식문화연구, 12(6), 971?983 

  17. 이영미. (1997). 헤어스타일과 네크라인이 얼굴이미지 및 형태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은지. (2002). 모발색이 체형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창렬. (2004). 신체미술을 통한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효숙, 박숙현. (2006). 헤어스타일 선호도와 행동에 관한 연령별 비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1), 168?176 

  21. 임남영, 강승희. (2003). 의복유형과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1(3), 340?351 

  22. 임연웅. (2000). 디자인방법론 연구. 서울: 미진사 

  23. 최영진. (2004). 헤어스타일과 신체.심리 특성과의 연관성.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하경연. (2006). 색채와 질감에 따른 남성헤어스타일이미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한국미용학회편저. (2003). 미용학사전. 서울: 신영출판사 

  26. 小林重順. (1984). イメツ 戰略. 東京: 鳳山社 

  27. 田元二美. (2004). HMへアモド エデュケシヨソ ムツワ. 東京: 株式會社女性 モド社 

  28. Donna, F. (1991). Color with style. Tokyo: Graphic-Sha Publishing Co, Ltd. 

  29. Kaiser, S. B. (1990). The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30. Mcjimsey, H.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Ames. Iowa: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1. Milady. (2003). Milady's standard textbook of cosmetology. New York: Thomosn 

  32. Nothrup, B. (1936). Am approach to the problem of costume and personality. Art Eduaction Today, 2, pp. 30?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