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 색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hade of between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the Korean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6 no.4, 2008년, pp.343 - 350  

김태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구강생물학 연구소) ,  권긍록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구강생물학 연구소) ,  김형섭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구강생물학 연구소) ,  우이형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구강생물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상하악 치아 순면의 정중부의 색조를 분광측색장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로 비교분석을 하여, 실제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수복물이 없으며 치주적으로 건강한 정상적인 치관부의 형태의 상하악 12전치를 가진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10명씩 남녀 각 40명씩 총80명을 대상으로 색조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SpectroShade^{TM}$ MICRO (MHT S.p.A., Italy) 디지털 색조 분석 기구로서 대상 치아의 디지털 영상을 채득하여 이를 기계 내에 포함된 색조 분석시스템을 통해 shade map의 형태로 입력 분석하여 주는 장치이다. 결론: 1. 전치부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모두에서 ${\Delta}E^{*}$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상, 하악 견치 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간의 색조차이보다 더 두드러지고 중절치간 측절치간 색조차이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 성별에 따른 상, 하악 치아 간의 색조차이는 그 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연령대에 따른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의 정도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trophotometrically evaluate the shade difference betwee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the Korean by the standard of vita classical shade guide using $SpectroShade^{TM}$.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the shades of he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전체 연구대상자 80명 전체의 상하악 전치간의 색조차이와 남녀 성별에 따른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 및 연령대에 따른 상하악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CIE L*a*b* 색체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상하악 치아 순면의 정중부의 색조를 분광측색장치(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로 비교분석을 하여, 실제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 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조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접근가운데 시각적인 착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요인은 대조효과에 의한 색상차이이다. 대조효과(contrast effects)는 색의 인지, 색의 평가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시각현상이다.2 이중 상하악치아의 색조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조효과는 면적대조와 공간대조 두가지이다.
대조효과 중 면적대조는 무엇인가? 2 이중 상하악치아의 색조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조효과는 면적대조와 공간대조 두가지이다.2 면적대조 (area contrast)는 대상의 크기가 시각적 색상인지에 영향을 주어서 큰 대상은 동일 대상의 작은 대상보다 밝게 보이고 밝은 대상은 동일한 크기의 어두운 대상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이다. 상하악 치아간의 색상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이유가 이러한 면적효과에 의한 색조차이인지 아니면 실제 상하악치아간에 색조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치아의 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정성적 방법의 문제는 무엇인가? 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시각적 측정 방법인 정성적 방법과 기계에 의해 측정 하는 정량적 방법이 있다.3,6 가장많이사용하는기존의기성shade guide를기준으로술자가 비교 대조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주관적이며, 조건 등색현상(metamerism) 등의영향을받을수있다. 따라서 색 차이의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색차이를 정량화할 수 있는 3자극색체계 (tristimuluscolorimeter)와 분광측색장치(spectrophotometer)가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Gomun 1994:62-85 

  2. Choi YH. Study of color. Mijin. 1985:11 

  3. Pae AR, Woo YH, Kim HS, Choi DG. Spectrophotho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zirconia on the color of ceramic. J Kor Acad Prosthodont 2005;8:466-77 

  4. Price RB, Murphy DG, Derand T. Light energy transmission through cured resin composite and human dentin. Quintessence Int 2000;31:659-67 

  5. James LR, Femaree RG. Wolf G. Estimating within-group inter-rater reliability with and without bias. J Applied Psychology 1984;69:85-98 

  6. Seghi RR. Effects of instrumental-measuring geometry on colorimetric assessments of dental porcelains. J Dent Res 1990;69:1180-3 

  7. Jorgensen MW, Goodkind RJ. Spectrophotometic study of five porcelains relative to the dimensions of color, porcelain thickness, and repeated firings. J Prosthet Dent 1979;2:96- 105 

  8. Seghi RR, Hewlett ER, Kim J. Visual and instrumental colorimetric assessment of small color differences on translucent dental porcelain. J Dent Res 1989;68:1760-4 

  9. Van der Burgt TP, ten Bosch JJ, Borsboom PC, Kortsmit WJ. A comparison of new and conventional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tooth color. J Prosthet Dent 1990;63:155- 62 

  10. Paul S, Peter A, Pietrobon N, Hammerle CH.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shade analysis of human teeth. J Dent Res 2002;81:578-82 

  11. Bangston LK, Goodkind RJ. The conversion of chromascan designtions to CIE tristimulus values. J Prosthet Dent 1982;47:610-7 

  12. Kim YH. Study on the color stability of veneer resin. J Kor Acad Conservative Dent 1991;16:1-5 

  13. Kim HE, Cho IH, Lim JH, Lim HS. Shade analysis of anterior teeth using digital shade analysis system. J Kor Acad Prosthodont 2003;41:565-81 

  14. Munsell AH. Color Notaion. 2nd. Munsell color company. Inc. 1961:15-20 

  15. Johnston WM, Kao EC. Assessment of appearance match by visual observation and clinical colorimetry. J Dent Res 1989;68:819-22 

  16. O'Brien WJ, Groh CL, Boenke KM. A new, small-colordifference equation for dental shades. J Dent Res 1990;69:1762-4 

  17. Wozniak WT. Proposed guidelines for the acceptance program for dental shade guides. J American dental Ass. Chicago.1987;1-2 

  18. Chu SJ, Devigus A. Fundamentals of color shade matching and communication in esthetic dentistry. 2005;85-90. Mater Res 1993;27:729-34 

  19. Park HK, Chung CH. A Study on the Color of Korean Natural Teeth. J Kor Acad Prosthodont 1988;26:185-96 

  20. Campos EP, Tincoines Y. Coloracines De las Pieezas Dentarias. An Espan Odonto Stomat Mac-Pherson 1970;29:519-29 

  21. Clark EB. An Analysis of tooth color. J Amer Dent Ass 1931;18:2093-103 

  22. Clark EB. Selection of tooth color for edentulous patient. J Prosth Dent 1947;35:787-93 

  23. Clark EB. Tooth color selection. J Amer Dent Ass 1933;20:1065-73 

  24. Yeh CL. The color and optical properties of shade composites. Thesis Univ. of Michigan, 1945 

  25. McLean JW. The Science and art of dental ceramics. Chicago. Quintessence Publishing Co. Vol. 1, 1979 

  26. Gustafson G. Age determinations of teeth. J Am Dent Assoc 1950;41:45-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