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고,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격자크기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최적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의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지형인자가 소나무 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소나무 공간분포를 지형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m 격자크기의 DEM은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세밀하게 구분하고 소나무도 모든 방위에 분포한 한 반면,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과 같이 단순화시켜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나무 또한 특정 방위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 출현빈도 분석결과 격자크기가 100m일 때 소나무 공간분포 특징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방위, 경사, TWI가 소나무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를 통해서는 방위의 영향력이 경사의 영향력보다 크고 경사와 TWI 사이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고,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격자크기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최적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의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지형인자가 소나무 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소나무 공간분포를 지형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m 격자크기의 DEM은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세밀하게 구분하고 소나무도 모든 방위에 분포한 한 반면,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과 같이 단순화시켜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나무 또한 특정 방위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 출현빈도 분석결과 격자크기가 100m일 때 소나무 공간분포 특징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방위, 경사, TWI가 소나무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를 통해서는 방위의 영향력이 경사의 영향력보다 크고 경사와 TWI 사이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estimated Pinus densiflora distribution and suggested an optimal grid size of DEM for ecologically better explaining spatial distribution and appearance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analyze appearance frequency of Pinus densiflora by topographical factors. And this work ultimately a...
This research estimated Pinus densiflora distribution and suggested an optimal grid size of DEM for ecologically better explaining spatial distribution and appearance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analyze appearance frequency of Pinus densiflora by topographical factors. And this work ultimately aimed at topographically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y comparing impact of topographical factors. The aspect was analyzed in detail, east, west, south, north, from DEM with 1m grid size, and simply, east, west, south or east, south from DEM with bigger grid size. As a result of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y aspect, Pinus densiflora appeared in all aspect with smaller grid size, while distribution in specific aspect decreased with bigger grid size. The analysis of appearance frequency with 100m grid size represente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as visual interpretation showed. The results of comparing impact of aspect, slope, TWI proved that aspect have more impact on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than slope and there was not enough a difference between impact of slope and TWI.
This research estimated Pinus densiflora distribution and suggested an optimal grid size of DEM for ecologically better explaining spatial distribution and appearance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analyze appearance frequency of Pinus densiflora by topographical factors. And this work ultimately aimed at topographically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y comparing impact of topographical factors. The aspect was analyzed in detail, east, west, south, north, from DEM with 1m grid size, and simply, east, west, south or east, south from DEM with bigger grid size. As a result of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y aspect, Pinus densiflora appeared in all aspect with smaller grid size, while distribution in specific aspect decreased with bigger grid size. The analysis of appearance frequency with 100m grid size represente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as visual interpretation showed. The results of comparing impact of aspect, slope, TWI proved that aspect have more impact on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than slope and there was not enough a difference between impact of slope and TWI.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