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4, 2021년, pp.496 - 503  

권기철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  한성안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  이돈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인권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  서용진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  홍의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  최환석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자원조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us densiflora is an essential tree species native to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covers most of the total natural forest areas in the RO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 densiflora forests distributed at sites where P. densiflora cov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의 입지 환경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며 분포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에 따른 소나무림의 분포 현황을 보면, 해발고가 올라갈수록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해발고에서 남사면과 서사면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한 편이었다.
  • 소나무는 가장 높은 상대피도를 보이고 있는 상층의 주요 우점수종이며, 흉고직경 12 cm 이상 24 cm 미만에 가장 많으나 흉고직경 30 cm 이상에서도 다수 분포하고 있다(Figure 3). 소나무림에서 자라는 다른 활엽수종들은 대경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비교적 높은 상대밀도와 그보다 다소 낮은 상대피도로 중층의 주요 수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리기다소나무, 곰솔, 상수리나무 등은 상대피도가 상대밀도보다 높아 중층과 상층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 등은 상대피도에 비해 상대밀도가 높아 하층에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의 입지 환경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며 분포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nes, B.V., Zak, D.R., Denton, S.R. and Spurr, S.H. 1998. Forest ecology (4th ed). John Wiley & Sins. New York. pp. 762. 

  2. Chung, T.H. and Lee, W.C. 1965. A study of the Korean woody plant zone and favorable region for the growth and proper species. Journal of Sung Kyun Kwan University 10: 329-366. 

  3.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ogy 31: 434-455. 

  4. Kim, T.M., Lee, W.K., Son, Y., Yoo, S. and Kim, S.R. 2009. Topographical analysi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8(6): 764-771. 

  5. Kim, Y. and Lee, D.K. 2000.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daptation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the canopy gap.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9(3): 452-460. 

  6. Kimmins, J.P.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 Hall. New Jersey. pp. 596. 

  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2.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pp. 562. 

  8. Korea Forest Service. 2020. Report on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Health Monitoring. pp. 324. 

  9. Kwon, K.C. 1996. Community-ecological tending method of natural forest in Mt. Worak for natural regeneration. MS. Thesi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p. 85. 

  10. Kwon, K.C. 2006. Biomass, carbon storage,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orea with respect to latitude, altitude and aspect. PhD.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26. 

  11. Kwon, K.C., Han, S.A., Chae, S.K., Ko, E.J., Kim, G.S. and Jeon, C.S. 2020a.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Stand in Rep. of Korea. pp. 97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rest Science Research.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Seoul. 

  12. Kwon, K.C., Han, S.A., Seo, Y.J., Chae, S.K., Kim, G.S. and Jeon, C.S. 2020b.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Stand in Rep. of Korea. pp. 96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rest Science Research.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Seoul. 

  13. Lee, D.K., Kwon, K.C., Kim, Y.S. and Um, T.W. 2006.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ackia amurensis Rupr. et Max. Stand at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4): 443-452. 

  14. Lee, D.K., Um, T.W. and Chun, J.W. 2004.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Betula costata growing at Joongwangsan (Mt.) in Pyungchang-gun, Kangwon-do.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1): 86-94. 

  15. Lee, D.K., Um, T.W., Chun, J.H., Kwon, K.C., Choi, S.H. and Lee, Y.G. 1999.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s sites suitable for trees growing at high mountain areas. pp. 85-155. In Lee, D.K. (Ed.). A Collaborative and Practical Study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National Forests (X). Korea Forest Service. 

  16. Lee, K.S., Kim, S.K., Bae, S.W., Lee, J.H. and Jung, M.H. 2010.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amcheok and Taebaek of Kangwon southern reg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6): 855-862. 

  17. Lee, S.W. 1985.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natural ecosystem in Kangwondo,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1: 74-81. 

  18. Park, N.C., Lee, K.S. and S.Y. Jung. 2009. Estimation of site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by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3): 160-166. 

  19. Song, H.K and Jang, K.K. 1997.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6(2): 223-232. 

  20. Um, T.W. and Lee, D.K. 2006. Distribution of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I).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1): 91-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