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 보리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분석 방법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열처리 후 건조(HD), 음건(SD)한 보리 잎에서 동결건조(FD), 전자레인지 건조(MW)와 비교해볼 때 클로로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갈변작용은 열의 작용을 가장 받지 않은 동결건조(FD)한 보리 잎에서 가장 적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Mg, Na, P, K가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K는 다른 원소들에 비해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2580.88{\sim}3616.20$ mg%) 음건(SD)한 보리 잎 시료에서 가장 높아 무기질 성분이 매우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이라 사료된다. 또한 보리 잎의 유기산ox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건조방법에 따라 각각 달랐다. 비타민 C 함량은 생엽(RL) 142.56 mg%, 열처리 후 건조(HD) 629.23 mg%, 음건(SD) 598.48 mg%, 동결건조(FD) 657.62 mg%, 전자레인지 건조(MW) 724.34 mg%으로 나타났고, 보리 잎은 무기질 외에도 비타민 C의 좋은 급원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건조방법별 보리 잎의 성분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외관상 품질은 동결건조(FD)를 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나, 음건(SD)으로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각 성분의 파괴가 가장 덜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were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Moisture contents of barley leaf were 75.22%, 7.54%, 2.57%, 6.74% and 8.91% for samples dried using raw, hot-air dryer, freeze dryer, shade dryer, vacuum freeze dryer and microwave dryer, respectively. Mineral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열처리 후 건조, 음건, 동결건조,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건조 등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보리 잎의 일반 성분 및 vitamin C, chlorophyll 함량, 색도를 측정하였고, 보리 잎의 성분 유지를 위해 적합한 건조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Each value is mean±SD of experimental grou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의 재배 특성은? 보리는 겨울작물로서 유휴경지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리 잎이 겨울에 재배되므로 병충해의 피해가 적고 농약을 뿌리지 않아 저농약 또는 무공해 원료라고 할 수 있으며, 생장할 때까지 노동력이 거의 들지 않으므로 생산원가가 낮아 가격 경쟁력이 있다. 보리 잎에는 강력한 항산화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가 풍부하고 vitamin C, vitamin E, β-carotene(provitamin A)과 같은 항산화 비타민류도 높은 수준으로 함유되어있다.
보리 잎의 효능은? 또한 어린 보리 잎이 백색광 등 저에너지의 광을 받을 시 C-glycosylflavone 생성이 증가하고, 색소체에 많이 축적된다고 한다(2,3). 보리 잎에는 효소,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염, 혈압강하, 항궤양작용, 에이즈, 암발생 억제 및 DNA 수복효과 등 약리작용이 밝혀지고 있다(3-5).
보리 잎은 계절적인 제약을 받아 겨울, 봄에 수확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최적의 품질로 공급되기 위해 저장, 유통되어야 하며, 생잎으로 저장, 유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건조해야 하는데, 건조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또한, 건조된 보리 잎은 간편성 뿐 아니라 식품산업에서의 다양한 가공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은 건조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영양소의 함량이 증가하나 식품의 품질은 원래 식품보다 저하되고, 특히 열, 공기, 빛 등에 약한 비타민류의 손실이 크다. 손실률은 건조 전 식품의 취급상태, 건조방법, 전처리 후의 저장상태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KT, Seog HM, Kim SS.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leaf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71-474 

  2. Jerry WM, Wilson KG. 1970. Photocontrol of C-glycosylflavone in barley seedlings. Phytochemistry 9: 763-773 

  3. James AS, Jerry WM. 1976. The occurrence and photoregulation of flavonoid in barley plastids. Phytochemistry 15: 805-807 

  4. Lee YC, Son JY, Kim TJ, Kim SS. 199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f. Korean J Food & Nutrition 7: 332-337 

  5. Hagiwara Y. 1978. Study of green juice powder of young barley leaf. The 98th Annual Assembly of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6. Kim BM. 2005. Foodstuffs Storage Study. Jin-ro Moon Wha Sa, Seoul. p137. 

  7. Kim KO, Kim JM, Lee YC. 2003. Effects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93-398 

  8. Lee HG, Lee KS, Park KH, Lee SH, Choe EO. 2003.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86-1092 

  9. Akyel C, Bosisio RG, Chahine R, Bose TK. 1983. Measurement of the complex permittivity of food products during microwave power heating cycles. J Microwave Power 18: 355-365 

  10. AACC. 199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Minnesota, USA. 08-01, 10-10b, 38-10, 44-15A, 46-10, 50-11, 54-21, 54-30, 56-81B 

  11. Sohn KS, Lee JH, Ha YS. 2002. Clarific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using enzyme treatment. Food Eng Prog 6: 241-247 

  12.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Foodstuffs ingredient table. 4th ed. p58-124 

  14. Kim KT, Seog HM, Kim SS, Hong HD, Lee YT, Kim JG.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from different varieties. Agric Chem Biotechnol 38: 431-434 

  15. Jang JH, Choi HS, Cheong HS, Kang OJ. 2007. A comparison of antioxidant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65-172 

  16.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247 

  17. Kim YD, Jeong MH, Koo RI, Cho IK.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Korea J Food Preserv 13: 186-199 

  18. Shin CS, Park SK, Lee JW, Lee JG, Jang CK, Kim YK. 1999. Analysis of components with freeze drying and steam drying of Gastrodia elata blu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58-1063 

  19. Park JW, Ha YS, Lee JH. 2002.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ushroom (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Food Eng Prog 6: 17-23 

  20. Kim KT, Kim SS, Lee SH, Kim DM. 2003.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f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6: 45-49 

  21. Schwartz SJ, Lorenzo. TV. 1990. Chlorophyll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9: 1-18 

  22. Garcia-Viguera C, Vallejo F, Tomas-Barberan FA. 2003.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edible parts of broccoli inflorescences after domestic cooking. J Sci Food Agric 83: 1511-1516 

  23. Choi YH, Han JS. 2001.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583-588 

  24. Lee BY, Lee OH, Lee HB, Lee JS, Son JY, Rhee SK, Kim HD. 2005.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03-5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