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시잎 분말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열풍건조동결건조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물량 기준으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일반성분 함량을 비교해 보면,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식이섬유소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이며,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 필수아미노산 함량 및 총 구성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 모두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rachidic acid, linolenic acid인 것으로 나타났고,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열풍건조로 인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감소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A 및 C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Ca, K, Mg, Mn, Fe, Na, Zn 순으로 검출 되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유기산oxalic acid, succinic acidcitr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고, 구성당은 glucose, fructose, galactose, rhamnos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총 유기산 및 총 구성당 함량 모두 열풍건조 시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hot air dried ramie leaf (HR) and freeze dried ramie leaf (F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but the di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시잎 분말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모시잎을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하여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 3)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시풀이란 무엇인가? 산채류 중 모시풀(ramie, Boehmeria nivea L.)은 쐐기풀목 쐐기풀과(Uritic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2), 「본초강목」에 의하면 모시풀은 흉년에 쪄먹기도 하고 설사나 몸이 찬 데에 치료제로 사용되며, 어혈과 뱀에 물린 데에 지혈제로서 예부터 민간요법의 약재나 구황식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3). 모시풀의 뿌리와 잎은 약재로 쓰이고 줄기는 모시라고 하는 전통 의류 등의 섬유 재료로 활용되며, 잎은 모양이나 크기가 깻잎과 비슷하고 독특한 향기를 가지며 음식으로도 이용되어 어리고 부드러운 잎을 채취하여 나물, 장아찌, 김치류, 떡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초강목에 기록된 모시풀에 용도는 무엇인가? 산채류 중 모시풀(ramie, Boehmeria nivea L.)은 쐐기풀목 쐐기풀과(Uritic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2), 「본초강목」에 의하면 모시풀은 흉년에 쪄먹기도 하고 설사나 몸이 찬 데에 치료제로 사용되며, 어혈과 뱀에 물린 데에 지혈제로서 예부터 민간요법의 약재나 구황식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3). 모시풀의 뿌리와 잎은 약재로 쓰이고 줄기는 모시라고 하는 전통 의류 등의 섬유 재료로 활용되며, 잎은 모양이나 크기가 깻잎과 비슷하고 독특한 향기를 가지며 음식으로도 이용되어 어리고 부드러운 잎을 채취하여 나물, 장아찌, 김치류, 떡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모시풀을 이용한 대표적인 요리로 전라도 영광지방의 향토음식은? 모시풀의 뿌리와 잎은 약재로 쓰이고 줄기는 모시라고 하는 전통 의류 등의 섬유 재료로 활용되며, 잎은 모양이나 크기가 깻잎과 비슷하고 독특한 향기를 가지며 음식으로도 이용되어 어리고 부드러운 잎을 채취하여 나물, 장아찌, 김치류, 떡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모시잎을 이용한 대표적인 음식인 모시잎송편은 전라도 영광지방의 향토음식으로, 현재 모시잎송편의 전통성과 우수성을 바탕으로 전통 웰빙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 Institute of Drug and Plant. 1998. Details of drug and plant. Revised version. Jimmeong Publish, Seoul, Korea. p 135. 

  3. Lee SJ. 1578. Boenchogangmeok. Wooribooks, Seoul, Korea. p 570-571. 

  4. Yoon SJ, Jang MS. 2006.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36-641. 

  5. Kim OS. 2010.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ry products added with mosi leaf powder.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HJ, Choi JH, Kim HD, Park CC. 199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rease resistance of Korean traditional hansan ramie fabrics. J Kor Soc Dyers & Finishers 6: 285-292. 

  7. Son MH. 2007.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 Gaudich.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 

  8. Kim IS, Park KS, Yu HH, Shin MK.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84-394. 

  9.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10. Oh SH. 2012. Effects of ramie leaf on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11.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63-772. 

  12.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 Nutr 23: 446-452. 

  13. Lee YJ, Woo KS, Jeong HS, Kim W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dukeum (pan-fired) ramie leaf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Culture 25: 810-819. 

  14. Park NH. 1995. General outline and status of application for freeze-drying. J Air-Condi Refr Eng 24: 338-345. 

  15. Lee WY, Lee SW, Lee BS, Cha WS, Park JH, Oh SL, Cho YJ, Kim JK, Hong JH. 2004. Diffusion of salt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Food Preserv 11:508-515. 

  16. Hong JH, Lee W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osmotic dehydrated sweet pumpkin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73-1579. 

  17. AOAC. 199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No. 934.06), Arlington, VA, USA. 

  18.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9. Waters Associates. 1990. Analysis of amino acid in waters.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 p 41-46. 

  20. Wijngaarden DV. 1967. Modified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9: 848-849. 

  21.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22.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67-368, 383-385. 

  23. Park MR. 2010.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4. Kim EM. 2011.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s and components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nd Cirsium setidens Naka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71-876. 

  25. Lee BY, Hwang JB. 200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s by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8. 

  26. Park JA, Kim MK. 1999. Effect of Korean native plant diet on lipid metav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cadmium detoxification in rats. Korean J Nutr 32: 353-368. 

  27. Park JS, Lee WJ. 1994. Dietary fiver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3:120-124. 

  28. Jin TY, Quan WR, Wang MH. 2008.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Codonopis lanceolata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21-725. 

  29. Vidal-valverde C, Frias J. 1991. Legume processing on dietary fiber components. J Food Sci 56: 1350-1357. 

  30. Huges JC, Grand A, Faulks RM. 1975. Texture of cooked potatoes: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oked potato disks and release of pectic substance. J Sci Food Agric 26: 731-738. 

  31. Son SM, Kwon HO, Lee JH. 201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82-1588. 

  32. Park MR, Lee JJ, Kim AR, Jung HO, Lee MY. 2010.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Korea J Food Preserv 17: 853-860. 

  33. Kim JG. 1995. Nutritional properties of ChOl-PyOn preparation by adding mugwort and pine leaves. Korean J Soc Food Sci 11: 446-455. 

  34. Ahn B, Yang CB. 1991. Chemical composition of Bangah (Agastache rugosa O. Kuntze)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75-378. 

  35. Hitchcock C, Nicholas BW. 1971.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pecific tissues. In Plant Lipi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59. 

  36. Lee YR, Nho JW, Hwang IG, Kim WJ, Lee YJ, Jeong HS.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mie leaf (Boehmeria nivea L.). Food Sci Biotechnol 18:1096-1099. 

  37. Kwon JH, Lee GD, Lee SJ, Chung SK, Choi JU. 1998.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with freeze drying and hot air-drying of Dioscorea batat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08-913. 

  38. Kim DW, Choi KJ. 1985. Changes in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mugwort (Artemisia asiatica Nakai). J Korean Soc Food Nutr 14: 95-98. 

  39. Kim JH, Kim MK. 1999.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540-551. 

  40. Choi YH. 2003. Changes in vitamin c and minerals content of perilla leav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74-180. 

  41. Park SS, Jang MS, Lee KH. 1994.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pinach grown in winter greenhouse. J Korean Soc Food Nutr 23: 62-67. 

  42.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J Korean Home Econ Assoc 42: 193-203. 

  43. Choi HM. 2011. 21th nutrition. 4th ed. Kyomunsa, Paju, Korea. p 276. 

  44. Lee BY, Choi HS, Hwang JB. 2002.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Gastrodiae Rhizoma and changes of sever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ous dry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7-43. 

  45. Kim JA, Lee JM.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Harve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19-226. 

  46. Nieves JW, Komar L, Cosman F, Lindsay R. 1998. Calcium potentiates the effect of estrogen and calcitonin on bone mass: review and analysis. Am J Clin Nutr 67: 18-24. 

  47. Fennema OG. 1996. Food Chemistry. 3rd ed. Marcel Deckker, New York, NY, USA. p 547-551. 

  48. Lee JS, Ahn YS, Kim HS, Chung MN, Boo HO. 2007.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s, phenolics, anthocyanins pigment characteristics on the parts of sweetpotato. Korean J Intl Agric 19: 196-204. 

  49.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50. Aida TM, Tajima K, Watanave M, Saito Y, Kuroda K, Nonaka T, Hattori H, Smith Jr RL, Arai K. 2007. Reactions of d-fructose in water at temperature up to 400 $^{\circ}C$ and pressures up to 100 MPa. J Supercrit Fluid 42: 110-119. 

  51.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0-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