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 기법에 의한 낙동강 하구역의 토사이동경로 예측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Pathway using the STA Method in Nakdong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0 no.6, 2008년, pp.540 - 552  

윤은찬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이종섭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 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토사이동경로를 예측하였고 기존의 STA 기법들을 유연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eCSedtrend 모형을 사용하였다. 계절적인 토사이동 경로의 분석 결과 낙동강 하구역에서 탁월하게 나타나는 경향은 CB+와 CB-의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CB+ 경향의 경우 니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넓게 나타났고 북쪽으로 향하는 수송벡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CB- 경향의 경우 사질퇴적물이 분포하는 사주 부근에서 대부분 나타나며 계절별로 차이를 보이지만 주로 북쪽으로 향하는 경향벡터를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dicted to seasonal sediment transport pathway of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river using the STA method. The eCSedtrend model was used to flexible application of the previous STA methods. The analysis of the seasonal interpretation of sediment transport pathway showed that the most domin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윤·이(2008)에 의해 계절적으로 관측된 퇴적물의 입도상수들을 활용하여 낙동강 하구사주 남쪽의 계절적인 토사이동 경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기존에 제시된 STA 기법의 이론들을 폭넓게 적용하여 토사이동경로를 해석하였다.

가설 설정

  • 즉, φ 값이 증가할수록 입경은 세립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1의 종축은 입경, 횡축은 함유율을 나타내며 중앙입경이 평균입경보다 조립할 경우 양성왜도를 가진다고 정의하고(Fig. 1b), 반대의경우음성왜도를가진다고정의한다(Fig. 1c).
  • STA 기법의 기본적인 가정은 토사의 수송을 야기하는과정들은 퇴적물의 통계학적인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퇴적물의 분포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사경향분석(Sediment Trend Analysis)법은 무엇인가? 토사경향분석(Sediment Trend Analysis)법은 φ스케일로 측정된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의 세 가지 퇴적물 입도상수를 공간적으로 비교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퇴적물의 순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입도경향분석법은 퇴적물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퇴적물 입도상수들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 간편하고 수치모델링과 같은 다른 연구들과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지닌다(Hughes,2005).
토사경향분석(Sediment Trend Analysis)법과 같은 입도경향분석법은 어떠한 장점을 가지는가? 토사경향분석(Sediment Trend Analysis)법은 φ스케일로 측정된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의 세 가지 퇴적물 입도상수를 공간적으로 비교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퇴적물의 순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입도경향분석법은 퇴적물의 이동경로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퇴적물 입도상수들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 간편하고 수치모델링과 같은 다른 연구들과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지닌다(Hughes,2005).
대표적인 토사이동경로 해석법은 무엇이 있는가? 토사경향분석법은 McLaren(1981)에 의해 최초로 기본적인 아이디어가 제안된 이후에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대표적인 토사이동경로 해석법은 McLaren and Bowles(1985)에 근거한 McLaren-Bowles 방법(MB법), Gao and Collins(1992)의 이론에 근거한 Gao-Collins 방법(GC법) 그리고 Le Roux(1994)의 이론에 근거한 Le Roux 방법(Rx법) 등이 있다. 이러한 입도경향분석법은 만, 대륙붕,조간대 등 다양한 퇴적환경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2. 김성환, 류호상, 유근배 (2007). 퇴적물 이동경로 식별을 위한 입도경향 분석법의 가능성과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42(4), 469-487 

  3. 김성환, 류호상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의 지형 변화에 대한 입도경향 분석의 활용도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119-128 

  4.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연 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427 

  5. 박순, 박효봉, 윤한삼, 유창일, 류철로 (2008). 낙동강 하구역 파랑분포특성 수치모의. 한국해양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72-76 

  6. 신동혁, 이희일, 한상준, 오재경, 권수재 (1998). 황해 가로림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한국해양학회지, 3(2), 59-70 

  7. 유규철, 오재경 (1999). 동해 연안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1), 50-55 

  8. 윤은찬, 이종섭 (2008).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4), 382-389 

  9. 이상화, 신동수, 김진후, 박운용 (1997). 낙동강 하구 사주의 지형 조사와 해저토 이동 방향에 관한 연구(I).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7(2-6), 553-558 

  10. 이종섭, 탁대호, 윤은찬, 김석윤 (2007). 표층퇴적물 및 표사수지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계절별 표사 이동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6), 547-556 

  11. 이종섭, 김가야, 박일흠, 주귀홍 (1994). 낙동강 하구둑 건설 후의 하구사주 변천과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II), 171-174 

  12. 추용식 (2001). Sediment dynamics and maintenance of processes of linear tidal sand body: Jangan sandbank in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Baas, J. (2000). EZ-ROSE: a computer program for equal-area circular histograms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wo-dimensional vectorial data. Computers & Geosciences, 26, 153-166 

  14. Chang, Y.H., Scrimshaw, M.D., and Lester, J.N. (2001). A revised Grain-Size Trend Analysis program to define net sediment pathways, Computers and Geosicences, 27, 109-114 

  15. Davis, R.A., Hayes, M.O. (1984). What is a wave-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29 

  16. Gao, S. (1996). A fortran programming for grain-size trend Analysis to define net sediment transport pathways. Computers & Geosciences, 22(4), 449-452 

  17. Gao, S. and Collins, M. (1994). Analysis of grain size trends, for defining sediment transport pathways in marine environment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1), 70-78 

  18. Gao, S. and Collins, M. (1992). Net sediment transport patterns inferred from grain size trends based upon definition of "ransport vectors" Sedimentary Geology, 80, 47-60 

  19. Hughes, S. A. (2005). Use of Sediment Trend Analysis for Coastal Projects, CHETN-6-40 

  20. Le Roux, J.P. and Rojas, E.M. (2007). Sediment transport patterns determined from grain-size parameters: overview and state of the art. Sedimentary Geology, 202, 473-488 

  21. Le Roux, J.P., O'Brian, R.D., Rios, F. and Cisternas, M. (2002).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paths using grain-size parameters. Computers & Geosciences, 28, 717-721 

  22. Le Roux, J.P. (1994). A spredsheet template for determining sediment transport vectors from grain-size parameters. Computers & Geosciences, 20(3), 433-440 

  23. McLaren, P. (1981). An interpretation of trends in grain size measure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1(2), 611-624 

  24. McLaren, P. and Bowles, D. (1985). The effects of sediment transport on grain-size distribution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5(4), 457-470 

  25. Poizot, E. and Mear, Y. (2008). eCSedtrend : A new software to improve sediment trend analysis. Computers & Geosciences, 34, 827-837 

  26. Poizot, E., Mear, Y. and Biscara, L. (2008). Sediment Trend Analysis through the variation of granulometric parameters: A review of theories and applications. Earth-Science Reviews, 86, 15-41 

  27. Poizot, E., Mear, Y., Thomas, M. and Garnaud, S. (2006). The application of geostaticstics in defining the characteristic distance for grain size trend analysis. Computers & Geoscience, 32(3), 360-370 

  28. Self, R. (1977). Longshore variation in beach sands, Nautla area, Veracruz, Mexico. Journal of Sedimentology Petrology, 47, 1437-14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