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진조기경보를 위한 신속 진앙위치 결정
Rapid Earthquake Location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8 no.6, 2008년, pp.73 - 79  

김광희 (한국해양연구원) ,  (한국해양연구원) ,  석봉출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제규모의 증가, 산업화, 도시화 등은 결과적으로 우리국민의 잠재적 지진 위험 증가를 야기하였다. 최근에는 비록 우리나라에서 지진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이 미비했지만, 과거 문헌 기록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대규모 피해를 야기한 지진이 발생한 바 있었으므로, 향후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지진발생 가능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 현재의 과학기술력으로는 단기 지진 예보가 불가능함을 고려할 때 지진재해 저감을 위하여 취할 수 있는 대비책의 하나로써 지진조기경보체계 확립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진조기경보체계 확립의 취지는 지진발생 후 강진동이 시작하기 전 수 초 혹은 수십 초의 지진대비시간을 확보하고 미리 계획된 조치를 취함으로써 지진재해를 저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지진 발생위치 결정을 위하여 진원 부근 2개의 지진 관측소에서 확보한 초동 도착시간과 주변의 다른 관측소에서는 아직 초동이 관측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우리나라 내륙 및 주변해역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의 신속한 진앙 위치결정에 이 기술을 적용하였다. 관측소 외부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이 기술로는 효과적인 지진위치의 결정이 어렵지만, 관측망 내부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본 기술을 이용하여 지진의 위치를 신속히 결정 할 수 있다. 수도권의 경우 $10{\sim}50$초의 지진대비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주어진 시간 내에 사전 준비된 조치를 취함으로써 유사시 지진재해저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nomic grow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made society more vulnerable than ever to seismic hazard in Korea. Although Korea has not experienced severe damage due to earthquakes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re is little doubt of the potential for large earthquakes in Korea as docum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진신속통보에서는 지진발생 후 수 분 이내에 지진발생사실, 지진의 발생위치, 규모, 해당지역에서의 진도 등 중요 정보를 관계기관과 이해당사자에게 신속히 제공한다.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위기상황에서의 매뉴얼 가동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사후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지진신속통보의 목적이다. 반면에 지진조기경보에서는 지진발생사실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재해 위험성 있는 지역에 강한 지진동이 시작되기 수초 혹은 수십 초 이전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계획된 사전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지진으로 인한 재해를 저감한다.
  • 황의홍(2007)은 P파 초기 파형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 추정이 가능함을 제시한 바 있다. 비록 이러한 기술이 초보 발전 단계에 있기는 하지만, 이 기술을 통하여 신뢰성 높은 지진 규모의 신속한 결정이 가능하다고 가정하고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지진조기경보에 함께 적용할 경우 확보할 수 있는 지진조기경보시간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 방법으로 구한 지진 발생위치는 지진학 심화연구를 위해서 사용될 수는 없지만, 지진조기경보를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지진재해대응책 마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반적인 지진위치 결정방법을 사용한다면, 최소 4개 이상의 관측소에서 지진의 발생이 감지되어야 하며, 결정된 지진위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7개 이상의 관측소에서 지진이 관측될 때까지 기다리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인자 결정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2개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P파의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지진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가능한 긴 경보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 본 논문의 서론에서 초동 도착 후 2~3초간의 파형 분석을 통하여 규모를 추정하는 최근 연구동향을 간단히 언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지진의 규모를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확보할 수 있는 지진조기 경보시간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한반도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 중 1978년 속리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 1978년 홍성 지진이 발생한 위치, 그리고 2007년 오대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서 한반도 전역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 논문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지진의 발생위치를 추정함에 있어서 그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 한반도에서 발생한 중규모 이상의 지진에 적용하였다. 1978년부터 2007년 사이에 한반도 및 그 주변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기상청 지진센터 홈페이지(기상청, 2008) 규모별 현황에 수록된 규모 4.7 이상의 지진 10개를 선택하였으며(표 1), 대부분의 선택된 지진에서 정확한 진원 깊이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므로, 지표면에서 발생하였음을 임으로 가정하였다. 지진파의 전파 속도는 깊이에 따라서 그리고 지역적으로 변화하므로 정확한 주파시간 계산을 위해서는 실제 지하구조를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1차원 혹은 3차원 속도 모델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정모 등(2008)이 제안한 지각에서 P파와 S파의 전파 속도 5.
  •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지진의 규모를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확보할 수 있는 지진조기 경보시간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한반도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 중 1978년 속리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 1978년 홍성 지진이 발생한 위치, 그리고 2007년 오대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서 한반도 전역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였다. 지진의 위치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결정하였고, 지진의 규모 결정을 위하여 2개의 관측소에서 4초간의 초기 P파 파형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 이를 위하여 한반도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 중 1978년 속리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 1978년 홍성 지진이 발생한 위치, 그리고 2007년 오대산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서 한반도 전역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였다. 지진의 위치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결정하였고, 지진의 규모 결정을 위하여 2개의 관측소에서 4초간의 초기 P파 파형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자료처리와 정보 전달을 위하여 2초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 지진의 위치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결정하였고, 지진의 규모 결정을 위하여 2개의 관측소에서 4초간의 초기 P파 파형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자료처리와 정보 전달을 위하여 2초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우리나라 인구분포와 주요도시의 위치를 참고하기 위하여 인구 밀도 분포도 위에 확보 가능한 지진대비시간을 표시하였다5).
  • 우리나라 인구분포와 주요도시의 위치를 참고하기 위하여 인구 밀도 분포도 위에 확보 가능한 지진대비시간을 표시하였다5). 속리산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그림 5, a), 지진 발생위치로부터 반경 30 km 내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지진 대비시간을 전혀 가질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수도권에서는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강한 지진동이 시작하기 이전에 약 20~50초의 시간을 확보하여 사전에 준비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조기경보체계에서 지진 발생을 인지한 후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지진조기경보체계에서 지진 발생을 인지한 후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일이 지진의 발생위치와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의 규모와 관심지역의 진도 결정에 앞서 지진의 발생위치를 결정한다.
지진조기경보체계 확립의 취지는 무엇인가? 현재의 과학기술력으로는 단기 지진 예보가 불가능함을 고려할 때 지진재해 저감을 위하여 취할 수 있는 대비책의 하나로써 지진조기경보체계 확립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진조기경보체계 확립의 취지는 지진발생 후 강진동이 시작하기 전 수 초 혹은 수십 초의 지진대비시간을 확보하고 미리 계획된 조치를 취함으로써 지진재해를 저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지진 발생위치 결정을 위하여 진원 부근 2개의 지진 관측소에서 확보한 초동 도착시간과 주변의 다른 관측소에서는 아직 초동이 관측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지진신속통보체계의 목적은 무엇인가? 여기에서 언급한 두 체계(지진신속통보와 지진조기경보)에는 목적과 방법에 차이가 있다. 지진신속통보에서는 지진발생 후 수 분 이내에 지진발생사실, 지진의 발생위치, 규모, 해당지역에서의 진도 등 중요 정보를 관계기관과 이해당사자에게 신속히 제공한다.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위기상황에서의 매뉴얼 가동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사후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지진신속통보의 목적이다. 반면에 지진조기경보에서는 지진발생사실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재해 위험성 있는 지역에 강한 지진동이 시작되기 수초 혹은 수십 초 이전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계획된 사전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지진으로 인한 재해를 저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수영, 김광희, 석봉출, 유해수 (2008) 경주지역 발생 지진에 대한 지진손실예측 시뮬레이션,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8호, pp. 95-103 

  2. 기상청 (2007) 2007년 1월 20일 강원지역 지진관련 정보. 기상청 보도자료 

  3. 기상청 (2008) 규모별 지진현황, http://www.kma.go.kr/gw.jsp?to/ weather_main.jsp, assessed on 2008년 9월 6일 

  4. 이정모, 문우일, 박창업, 정희옥, 김기영 (2008) Crustal Velocity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2008 

  5. 황의홍 (2007) P파를 이용한 신속한 지진 규모 결정, 박사학위논 문, 전북대학교 

  6. 황의홍, 이우동, 조봉곤 (2007) 단일 관측소에 기록된 P파형을 이용한 진앙거리 신속 결정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지질학 회, 제43호, pp. 99-106 

  7. Allen, R. M., and H. Kanamori (2003) The Potential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in Southern California. Science, Vol. 300, pp. 786-789 

  8. Chiu, J.-M., and S. G. Kim (2004) Estimation of Regional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storical Earthquake Data between A.D. 2 and 1995.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4, pp. 269-284 

  9. Cua, G. (2005) Creating the Virtual Seismologist: Developments in Ground Motion Characterization and Seismic Early Warning, Ph.D. thesi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0. Esteva, L. (1988) The Mexico Earthquake of September 19, 1985 Consequences, Lessons and Impact on Research and Practive. Earthquake Spectra, Vol. 4, pp. 413-426 

  11. Geller, R. J. (1997) Earthquake prediction: a critical review.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 131, pp. 425-450 

  12. Heaton, T. H. (1985) A Model for a Seismic Compurized Alert Network. Science, Vol. 228, pp. 987-990, DOI: 10.1126/science. 228.4702.987 

  13. Horiuchi, S., H. Negishi, K. Abe, A. Kaminura, and Y. Fujinawa (2005) An Automatic Processing System for Broadcasting Earthquake Alarms.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5, pp. 708-718 

  14. Kanamori, H. (2005) Real-Time Seismology and Earthquake Damage Mitigation.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 Vol. 33, pp. 195-214 

  15. Kim, K.-H., J.-M. Chiu, J. Pujol, and K.-C. Chen (2005) Earthquake Relocations, Fault Zone Geometry and Constraints on Lateral Velocity Variations using the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Method in the Taiwan Area. Earth, Planets and Space, Vol. 57, pp. 809-823 

  16. Kim, K.-H., S. Y. Kang, D.-J. Min, H. S. Yoo, B.-C. Suk, and Y.-G. Ryoo (2007) Enhanced Ground Motions and Seismic Hazards due to Crustal Structures in Korea. American Geophycal Union Fall Meeting, San Francisco, CA, USA 

  17. Lee, K., and W.-S. Yang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6, pp. 846-855, doi:10.1785/0120050050 

  18. Lee, W. H. K., and J. M. Espinosa-Aranda (2003)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Early Warning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J. Zschau and A. N. Kuppers (Editors), Springer, pp. 409-423 

  19. Lee, W. H. K., and S. W. Stewart (1981)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Microearthquake Networks. Academic Press 

  20. Pujol, J. (1988) Comments on the Joint Determination of Hypocenters and Station Correction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78, pp. 1179-1189 

  21. Rydelek, P., and J. Pujol (2004) Real-Time Seismic Warning with a Two-Station Subarray.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4, pp. 1546-1550 

  22. Waldhauser, F., and W. L. Ellsworth (2002) Fault structure and mechanics of the Hayward Fault, California, from double-difference earthquake loc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7, 2054, doi:10.1029/2000JB000084 

  23. Wells, D. L., and K. J. Coppersmith (1994) New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Magnitude, Rupture Length, Rupture Width, Rupture Area, and Surface Displacement.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4, pp. 974-1002 

  24. Wu, Y.-M., and H. Kanamori (2005) Experiment on an On-site Early Warning Method for th Taiwan Early Warning System.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5, pp. 347-353 

  25. Wu, Y.-M., and T.-L. Teng (2002) A Vritual Subnetwork Approach to Earthquake Early Warning.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2, pp. 2008-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