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Natural Enemies of Thrips, Orius strigicollis (Poppius) and O. laevigatus (Fieber) (Hemiptera: Anthocorida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7 no.4, 2008년, pp.421 - 428  

김정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김황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변영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김용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evigatus Feiber(미끌애꽃노린재)는 겨울철 비휴면 종으로 알려져 있어(Malais and Ravensberg, 1992) 2006년부터 수입하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두 종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하여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에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 Means in a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MR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총채벌레 방제 농약을 대체할 천적곤충으로 이용되는 것은? 최근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총채벌레 방제 농약을 대체할 천적곤충으로 애꽃노린재류(Orius spp.)와 이리응애류가(Amblyseius spp.)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애꽃노린재류는 노린재목(Hemiptera), 꽃노린재과(Anthocoridae)에 속하는 포식성 천적으로(Anonymous.
총채벌레란? 총채벌레는 크기가 1 mm내외의 미소곤충으로 국내에 3과 34속 67종이 기록되어 있으며(Anonymous. 1994.), 오이, 파프리카, 고추, 가지 등 과채류는 물론 거베라, 국화  등의 화훼류에도 많은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Lee et al., 1996; Park et al.
애꽃노린재류의 습성은? ), 총채벌레는 물론 진딧물, 응애, 나방의 알 등을 포식하는 광식성 천적이다. 성충의 체장은 2 mm내외이며, 총채벌레와 같이 꽃을 선호하는 습성이 있어 총채벌레 천적으로 적합한 습성을 갖고 있다. 총채벌레 1령 유충에서 성충까지 모든 태를 포식할 뿐만 아니라 포식량도 하루에 5~25마리를 포식할 정도로 뛰어나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auzet, C., D. Darganon and C. Malausa. 1994. Bionomics of a polyphagous predator: Orius laevigatus (Heteroptera: Anthocoridae). Entomophaga 39(1): 33-40 

  2. Anonymous. 1994. Check list of insect from Korea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Korea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on-kuk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744 

  3. Brodsgaard, H. F., and L. S. Hansen. 1992. Effect of Amblyseius cucumeris and Amblyseius barkeri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Thrips tabaci on glasshouse Cucumbers. Biocontrol science and technology 2: 215-223 

  4. Chambers, R. J. and N. L. Helyer. 1993. Effectiveness of Orius laevigatus (Hem.: Anthocoridae) for the control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cucumber and pepper in the UK. Biocontrol Science and Technology 3: 295-307 

  5. Cho, J.R., J H. Kim, M.H. Lee and H.S. Kim. 2005. Induction and termination of the reproductive diapause in the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J. Asia-Pacific Entomol. 8(2): 167-174 

  6. Frescata, C. and A. Mexia. 1996. Biological control of thrips (Thysanoptera) by Orius laevigatus (Heteroptera: Anthocoridae) in organically_grown strawberries. Biological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13: 141-148 

  7. Herring, J.L. 1966. The genus Orius of western hemisphere (Heteroptera; Anthocoridae). 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59(6): 1093-1109 

  8. Kelton, L. A. 1963. Synopsis of the genus Wolff in America north of Maxico (Hemiptera: Anthocoridae). Can. Entomol. 95: 631-636 

  9. Kelton, L. A. 1978. The Anthocoridae of Canada and Alaska (Heteroptera: Anthocoridae). The insects and arachnids of Canada. Part4. pp.97 

  10. Kim J. H., M. W. Han, G. H. Lee, Y. H. Kim, J. O. Lee and C. J. In. 1997.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reared on three different insect preys. Korean J. Appl. Entomol. 36(2); 166-171 

  11. Kim, J.H., G.S. Lee, Y.H. Kim, K.J. Yoo. 2001. Species composition of Orius spp. (Hemiptera : Anthocoridae) and their seasonal occurrence on several plants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0(3): 211-217 

  12. Kim, J.H., Y.H. Kim, H.W. Han and K.S. Lee. 1998. Researches on the mass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rius sp.. Ann. Res. of NIAST (Dept. Crop Protection): pp. 461-479 

  13. Kim, J.H., Y.H. Kim, H.W. Han, K.S. Lee and J.O. Lee. 1999.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Korean J. Appl. Entomol. 38(1): 29-33 

  14. Kim, J.H., Y.W. Byoun, H.Y. Kim and Y.H. Kim. 2006. Application of natural enemies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arthropod pests on sweet pepper. Ann. Res. of NIAST (Agricultural biology research): pp. 769-787 

  15. Lattin, J. D. and N.L. Stanton. 1992. A review of the Anthocoridae (Heteroptera; Heteroptera) found on Pinus contorta. J. New York Entomol. Soc. 100(3): 424-479. 

  16. Lee, G.S. K.B. Um, K.J. Cho, J.E. Song, S.H. Kang. 1996. Seasonal occurrence of Thrips palmi (Thysanopyera: Thripidae). Ann. Res. of NIAST (Dept. Crop Protection): pp. 694-717 

  17. Malais M. and W. J. Ravensberg. 1992. The biology of glasshouse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Koppert Biological Systems: pp. 288 

  18. Moon, H.C., I.K. Cho. J.R. Im, B.R. Goh, D.H. Kim and C.Y. Hwang. 2006.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 by thrips on open red pepper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Appl. Entomol. 45(1): 9-13 

  19. Ohno K. and H. Takemoto. 1997. Species composition of Orius spp. (Hemiptera: Anthocoridae), predacious natural enemies of Thrips palmi (Thysanoptwra: Thripidae), in eggplant fields and surrounding habitats. Appl. Entomolo. Zool. 10: 89-91 

  20. Ohta, I. 2001.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Orius strigicollis (Heteroptera: Anthocoridae) fed on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Appl. Entomol. zool. 36(4): 483-488 

  21. Paik, C.H., C.Y. Hwang, G.H. Lee, D.H. Kim, M.Y. Choi, S.Y. Na and S.S. Kim. 2003. Development, reproduction and logivity of predator Orius sauteri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when reared on three different preys. Korean J. Appl. Entomol. 42(1); 35-41 

  22. Park, J.D, D.I. Kim and S.G. Kim. 2002. Seasonal occurrence damaged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by cultural environments and varieties of chrysanthemum. Korean J. Appl. Entomol. 41(3): 177-181 

  23. Salas-Aguilar, J. and L. E. Ehler. 1977. Feeding habits of Orius tristicolor. Ann. Entomol. Soc. Am. 70: 60-62 

  24. Sanchez, J,A. and A. Lacasa. 2002. Modelling population dynamics of Orius laevigatus and O. albidipennis (Heteroptera: Anthocoridae) to optimize their use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Bulletin of Entomol. Res. 92: 77-88 

  25. Tommasini, M.G. 2004. Collection of Orius species in Italy. Bulletin of insectology 57(2); 65-72 

  26. Tommasini, M.G. and J.C. van Lanteren. 2003. Occurrence of diapause in Orius laevigatus. Bulletin of insectology 56(2); 225-251 

  27. Tommasini, M.G., J.C. van Lanteren and G. Burgio 2004. Biological traits and predation capacity of four Orius species on two prey species. Bulletin of insectology 57(2); 79-93 

  28. Van de veire, M. and D. Degheele. 1995. Comparative laboratory experiment with Orius insidiosus and Orius albidipennis (Het.: Anthocoridae). two candidates for biological control in glasshouses. Entomophaga 40(3/4): 341-344 

  29. Yasunaga, T. 1993. A taxonomic study on the subgenus Heterorius Wagner of the genus Orius Wolff from Japan (Hemiptera: Anthocoridae). Jpn. J. Ent. 61(1): 11-22 

  30. Yasunaga, T. 1996. Species of the Flower bug genus Orius found in Hokkaido, Japan (Insecta, Heteroptera, Anthocoridae) Journal of Hokkaido Uni. of Education (Section II B) Vol. 47(1) 

  31. Yasunaga, T. 1997a. The flower bug genus Orius Wolff (Heteroptera; Anthocoridae) from Japan and Taiwan, Part I. Appl. Entomol. Zool. 32(2): 355-364 

  32. Yasunaga, T. 1997b. The flower bug genus Orius Wolff (Heteroptera; Anthocoridae) from Japan and Taiwan, Part II. Appl. Entomol. Zool. 32(2): 379-386 

  33. Yasunaga, T. 1997c. The flower bug genus Orius Wolff (Heteroptera; Anthocoridae) from Japan and Taiwan, Part III. Appl. Entomol. Zool. 32(2): 387-3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