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요통 여성노인에 대한 요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Lower Back in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8 no.6, 2008년, pp.902 - 913  

형희경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6 older women and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보완하여,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지 역사 회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신체적, 기능적, 정신심리적인 면에서 그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요부 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증, 기능장애, 유연성, 생활만족도,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기간은 2006년 1월 3일부터 3월 7일까지 실시하였는데 프로그램 제공 전 - 후에 설문조사와 생리적 측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이 있는 여성노인에게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이다. 실험처치로 8주간의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실험처치 전 .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요통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증, 기능장애, 유연성, 생활만족도,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목적을 운동과 요통관리의 동기부여를 통해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였고 교육의 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요부강화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목적을 운동과 요통관리의 동기부여를 통해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였고 교육의 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요부강화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요통회복의 지표인 허리유연성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좌전굴측정기(ST118, 엑스퍼트)를 이용하여, sit-and-reach 방법으로 좌전굴 유연성을 측정하였는데 수치가 클수록 허리의 유연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유연성은 2번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노인에게 요부 안정화운동과 교육으로 구성된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요통의 완화와 기능장애의 감소, 유연성, 생활만족도 및 근력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생활만족도란 개인이 일상생활을 통하여 느끼는 삶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의 정도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요부 강화 프로그램 참여가 전반적인 정신심리적 안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요부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교육내용에는 요통발생의 원인, 진단 및 치료, 요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업 자세와 앉는 자세, 수면 및 휴식 자세, 운동의 중요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요통관리 교육을 제공하는 목적은 일상생활 속에서 요통을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운동을 동기 화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높이 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제5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력이 증가할 것이다.
  • 제2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기능장애가 감소할 것이다.
  • 제3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 제1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 제2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기능장애가 감소할 것이다.
  • 제3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
  • 제4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활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
  • 제5가설: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력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ck, Y. H. (2000). Effect of lumbago-preventive gymnastics program on female aged lumbago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Seoul 

  2. Barnes, D., Smith, D., Gatchel, R. J., & Mayer, T. G. (1989). Psychosocioeconomic predictors of treatment success/failure in chronic low-back pain patients. Spine, 14, 427-430 

  3. Bingefors, K., & Isacson, D. (2004). Epidemiology, co-morbidity, and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elf-reported headache and musculoskeletal pain- A gender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Pain, 8, 435-450 

  4. Casey, K. L. (1982). Neural mechanisms of pain: An overview.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Supplementum, 74, 13-20 

  5. Choi, S. Y. (2000).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chronic low back pain in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6. Fairbank, J. C., Couper, J., Davies, J. B., & O'Brien, J. P. (1980).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66, 271-273 

  7. Jacobs, J. M., Hammerman-Rozenberg, R., & Stessman, J. (2005). Longevity and chronic back pain in older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1636-1637 

  8. Jeon, T. W. (1994). Exercise test and prescription. Seoul: Teagun Munwhasa 

  9. Jung, Y. W. (2003).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ing exercise on the functional recovery and the range of motion of low back pai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0. Kim, H. S. (2000). The effect of back pain relieve exercise program on the pai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chronic low back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1. Kim, S. H. (2005). A study on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at home and facil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Muan 

  12. Kim, S. J., Ahn, T. S., Jung, K. S., Park, J. C., Kim, C. N., & Lee, S. J. (2003). The development of low back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Ansan College, 21, 145-163 

  13. Kim, S. S., & Jung, I. G. (1995). Exercise physiology. Seoul: Daekyoung Publishing 

  14. Ko, J. K. (2007). Comparing the effects of drug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on pain,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45-654 

  15. Kozma, A., & Stones, M. J. (1980). The measurement of happiness: Development of th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cale of Happiness (MUNSH). Journal of Gerontology, 35, 906-912 

  16. Lavsky-Shulan, M., Wallace, R. B., Kohout, F. J., Lemke, J. H., Morris, M. C., & Smith, I. M. (1985). Prevalence and functional correlates of low back pain in the elderly: The Iowa 65+ Rural Health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3, 23-28 

  17. Lee, K. E. (1998).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health i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18. Lee, K. W. (2002). Back and neck pain. In J. H. Kim, & T. R. Han (Eds.), Rehabilitation medicine (pp. 427-444). Seoul: Koonja Publishing 

  19. Lee, S. J. (2000).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776-790 

  20. Lim, H. S., Chung, M. K., Kim, S. K., & Lee, J. M. (1998). A study on the methods evaluation and prevention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Seoul: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1. Mailloux, J., Finno, M., & Rainville, J. (2006). Long-term exercise adherence in the elderly with chronic low back pai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 120-126 

  22. O'Sullivan, P. B., Phyty, G. D., Twomey, L. T., & Allison, G. T. (1997).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22, 2959-2967 

  23. Panjabi, M., Abumi, K., Duranceau, J., & Oxland, T. (1989). Spinal stability and intersegmental muscle forces. A biomechanical model. Spine, 14, 194-200 

  24. Park, H. S., Kang, Y. S., & Park, K. Y. (2006).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ronic back pain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439-448 

  25. Scott, J., & Huskisson, E. C. (1979). Vertical or horizontal visual analogue scale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38, 560 

  26. Souza, G. M., Baker, L. L., & Powers, C. M. (2001).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dynamic spine stabilization exercis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 1551-1557 

  27. Sung, P. S. (2003). Multifidi muscles median frequency before and after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 1313-1318 

  28. Yilmaz, F., Yimaz, A., Merdol, F., Parlar, D., Sahin, F., & Kuran, B. (2003). Efficacy of dynamic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lumbar microdisectom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5, 163-167 

  29. Yoon, G. (1982).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in the Korean elderly. In Proceedings from Korean Psychological Symposium. Seoul: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0. Yun, E. H. (2003). Comparing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McKenzie exercise on the range of motion and pain of the patient with low back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