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8, 2008년, pp.870 - 886  

송임숙 (신촌초등학교) ,  채인숙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HACCP 관련 지식과 수행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교급식에서 HACCP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조리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여 향후 학교급식에서 보다 체계적인 HACCP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영양사의 연령은 30대가 6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경력은 10${\sim}$15년 미만이 31.9%, 학력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 졸업자가 60.4%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양교사화로 인하여 전문학사 자격소지 영양사들이 방송통신대학 및 4년제 대학교의 편입을 통하여 학사자격을 취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상태는 정규직영양사가 62.6%로 나타났고 근무학교는 초등학교가 50.5%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급식유형은 도시형이 59.3%이고, 급식관리 방식은 단독관리가 80.2%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연령은 만 41${\sim}$50세가 60.7%, 근무기간은 5${\sim}$10년 미만 (34.2%), 학력은 고졸 (77.2%), 고용상태는 비정규직 조리사 (42.2%)가 가장 많았고, 조리종사자의 53.3%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위생교육 실시횟수는 주 1회 이상 (48.4%)이, 교육방법은 구두교육 (40.7%)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위생교육에서 HACCP이 차지하는 비중은‘많이 포함된다’가 53.8%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대부분 (98.1%)이‘위생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HACCP 이해정도에 있어서는‘잘 이해한다’가 47.0%로 나타났으며 HACCP 관련 교육현황에서 모든 항목에 대하여 92% 이상의 높은 교육 실시율을 보였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수준은 평균 84.2점 (100점 만점)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유형 (p < .001), 근무기간 (p < .05), 학력 (p < .01), 고용상태 (p < .001), 자격증 유무 (p < .0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영양사의 교육 실시 횟수가 많을수록 (p < .01),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교육 경험횟수가 많을 경우 (p < .05), HACCP에 대하여‘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 (p < .05)에 지식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는 평균 4.40점 (5점 만점)으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사의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에 대한 인지도 평균은 4.13점으로‘잘한다(4점)’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어, 영양사의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조사대상자의 수행도는 급식유형 (p < .05), 고용상태 (p < .05), 자격증유무 (p < .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생교육 실시횟수가 증가할수록 (p < .01), 교육방법에서 실연교육인 경우 (p < .05)에 수행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HACCP에 대하여‘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p < .001) 유의적으로 높은 수행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학교급식에서 위생교육을 실시하는 영양사의 인지도와 교육받은 내용을 실천에 옮겨야 하는 조리종사자의 실제 수행도간의 차이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효과적인 HACCP 교육매체 개발 및 교육방법의 활용, 조리종사자의 수준 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실시를 통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analyz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and (b)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strategies which can be performed for systematic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For these purposes, the subjects inclu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HACCP 관련 지식과 수행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교급식에서 HACCP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조리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여 향후 학교급식에서 보다 체계적인 HACCP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HACCP 관련 지식과 수행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학교급식에서의 HACCP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조리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여 향후 학교급식에서 보다 체계적인 HACCP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동안 추진된 양 중심의 확대 정책은 어떠한 문제를 초래했는가? 그러나, 그동안 추진된‘양 중심의 확대 정책’은 영양 관리 미흡으로 학생들의 비만을 초래하고, 위생관리 소홀로 인한 식중독 발생, 저급 식재료 급식 납품 문제 등 많은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에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급격하게 변화된 급식환경에 맞추어 학교급식 개선 종합 대책4)을 수립하여 기존의‘양 중심의 확대 정책’에서‘질 중심의 내실화 정책’으로 전환하기에 이르렀고 2006년 6월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지역 위탁급식학교 46개교에서 3,613명의 대형 식중독 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학교급식법이 전부 개정되었으며, 영양·위생·안전기준 강화 방안이 마련되었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HACCP 관련 지식과 수행도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사의 연령은 30대가 6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경력은 10∼15년 미만이 31.9%, 학력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 졸업자가 60.4%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양교사화로 인하여 전문학사 자격소지 영양사들이 방송통신대학 및 4년제 대학교의 편입을 통하여 학사자격을 취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상태는 정규직영양사가 62.6%로 나타났고 근무학교는 초등학교가 50.5%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급식유형은 도시형이 59.3%이고, 급식관리 방식은 단독관리가 80.2%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연령은 만 41∼50세가 60.7%, 근무기간은 5∼10년 미만 (34.2%), 학력은 고졸 (77.2%), 고용상태는 비정규직 조리사 (42.2%)가 가장 많았고, 조리종사자의 53.3%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위생교육 실시횟수는 주 1회 이상 (48.4%)이, 교육방법은 구두교육 (40.7%)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위생교육에서 HACCP이 차지하는 비중은 ‘많이 포함된다’가 53.8%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대부분 (98.1%)이 ‘위생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HACCP 이해정도에 있어서는 ‘잘 이해한다’가 47.0%로 나타났으며 HACCP 관련 교육현황에서 모든 항목에 대하여 92% 이상의 높은 교육 실시율을 보였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수준은 평균 84.2점 (100점 만점)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유형 (p < .001), 근무기간 (p < .05), 학력 (p < .01), 고용상태 (p < .001), 자격증 유무 (p < .0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영양사의 교육 실시 횟수가 많을수록 (p < .01),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교육 경험횟수가 많을 경우 (p < .05), HACCP에 대하여 ‘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 (p < .05)에 지식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는 평균 4.40점 (5점 만점)으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사의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에 대한 인지도 평균은 4.13점으로 ‘잘한다(4점)’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어, 영양사의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조사대상자의 수행도는 급식유형 (p < .05), 고용상태 (p < .05), 자격증유무 (p < .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생교육 실시횟수가 증가할수록 (p < .01), 교육방법에서 실연교육인 경우 (p < .05)에 수행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HACCP에 대하여 ‘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p < .001) 유의적으로 높은 수행도를 보여주었다.
Medeiros 등은 식중독 원인 미생물과 관련이 높은 식품과 흔히 발생하는 조리종사자의 관리상 실수를 근거로 식품위생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5가지 주된 관리 요소로 제시한 것은? 위생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방법 또한 교육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Medeiros 등13)은 식중독 원인 미생물과 관련이 높은 식품과 흔히 발생하는 조리종사자의 관리상 실수를 근거로 식품위생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5가지 주된 관리요소로 개인위생, 적정온도로의 조리, 교차오염의 방지, 안전한 온도에서 식품의 저장, 위생적인 식재료 사용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education. 학교급식연수회 학교급식 운영의 내 실화방안; 2004 

  2. Ministry of education. 학교급식연수회 학교급식만족도향상 방안; 2007 

  3. The Chemin Ilbo; 2007. 06. 09 

  4. Ministry of education. 학교급식개선 종합대책(2007-2011년) 

  5.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집단식중독발생현황; 2007 

  6. Jeong HS.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usage of HACCP certified products and sanitary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Master's thesis]. Gyeongsa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4 

  7. Ministry of education.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2004. 12. 31. 2차 개정) 

  8. Bauman HE. The HACCP concept and Microbiological hazard categories. Food Technol 1974; 28(9): 30 

  9. Lyu ES. Recognition about the HACCP concepts by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rs in Pusan and Kyung 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15(6): 579-585 

  10. Bryan FL. Teaching HACCP Techniques to Food Processors and Regulatory Officials. Dairy Food Environ Sanitat 1991; 11(10): 562-568 

  11. Smith PD. A survey of Foodservice operations in child card centers in Washington State. J Am Diet Assoc 1992; 92(4): 483-488 

  12. Bae HJ. Evaluation of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in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etic Assoc 2005; 11(1): 105-113 

  13. Medeiros LC, Hillers VN, Kendall P, Mason A. Food safety education what should we be teaching to consumers. J Nutr Educ 2001; 33: 108-113 

  14. Eo KH. Assessments of Sanitary Concepts of Employees and Need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9 

  15. Kang YJ. HACCP Practices (School foodservice HACCP Practices). Kyungbuk Training Program; 2003. p.112-158 

  16. Park HS, Shin HG. Food safety management in a contract foodservice industry. Food Indust Nutr 4(3): 27-29 

  17. Lyu ES, Chang HJ.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a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5; 11(3): 274-281 

  18. David MS, Rue N, Linton R. Essentials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2nd ed, Prentice Hall, NJ; 2001 

  19. Barrett B, Penner K, Blakeslee K, Sauer K.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training for foodservice operators in Kansas. Dairy Food and Environment Sanitation 1998; 18(4): 206-211 

  20. Lee JH, Park JS. Attitudes of non-commercial foodservice dietiti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Korean J Nutr 1999; 32(7): 821-826 

  21.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07 학교급식 기본방향 

  22. Lee YE.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etic Assoc 2006; 12(1): 68-81 

  23. Shin HS. A Study on the training and practicing level test of HACCP for School meals employees [Master's thesis].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6 

  24. Kim YA. Sanitation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 by application of generic HACCP model system [Master's thesis]. Yeungnam: Yeungnam University; 2005 

  25. Kim MK. A study on employees'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Master's thesis]. Yeungnam: Yeungnam University; 2005 

  26. Oh JH. 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 of nutritionists' and kitchen staff's sanitary knowledge and management in schools with HACCP meal program in Incheon area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5 

  27. Han EH. Evalu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Hygiene for School Cafeteria Employees in Jeonju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3 

  28. Jung KH. Estimation of school-meal cooking staffs' knowledge and executive degree of the HACCP system: Of AnSan, SiHeung area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3 

  29. Rivas KD, Canter DD. Effectiveness of Telenet for training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School Food Service Res Rev 1982; 6 (2): 113 

  30. Lim YH, Kwak HO.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g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Korean J Food Culture 2006; 21(4): 381-387 

  31. Lee YJ.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etic Assoc 2003; 9(1): 22-31 

  32. Kwak TK, Hong WS, Moon HK, Ryu K, Chang HJ. Assessment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Seoul. J Fd Hyg Safety 2001; 16(3): 168-177 

  33. Choi SH, Kim SH, Kwak TK. The survey of perception on obstacles in implementing generic HACCP plan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etic Assoc 2003; 9(3): 209-218 

  34. Lee KE, Ryu K. Influenc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4; 9(5): 597-605 

  35. Farkas D. Creating awareness. Food Manage 1996; 31: 100-104 

  36. Moy G, Kaferstein F, Motarjeni Y. Application of HACCP to food manufacturing-some consideration on Harmonization through training. Food Control 1994; 5: 131-139 

  37. Lyu ES.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 industry food service operations of Pusan and Kyung 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4): 942-9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