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2 no.6, 2008년, pp.1611 - 1620
윤대철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김희택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김이화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호동수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This clin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y external application with Hwangryeonhaedok-Tang in cosmetics. We gave scores to 31 patients who visited the Dept. of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of Semyung University Jecheon Oriental M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아토피 피부염이란? | 아토피 피부염은 대부분 유아기나 소아기 때 발생하여 증상 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비교적 흔한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으로 특징적인 병변 분포 및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알레르기 반 응 등이 특징적이다1). 산업화된 국가에서 아토피 환자는 지속적 으로 증가하는 추세인데 구미와 유럽의 유병율은 20~35% 정도 이며 국내의 경우 유치원생의 34%, 초등학생의 25% 정도가 아토피 피부염 증세를 보인다2). | |
피부장벽이란? | 피부장벽이란 피부를 구성하는 구조 중 표피, 진피, 표피 부 속기, 피하지방 등의 구조 중 표피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각 질층에 존재하며 각질세포와 지질로 이루어진다5). 피부장벽기능 의 손상은 알레르겐이나 자극성 물질의 피부투과성을 높여서 피 부염증을 악화시키는 여건을 만들게 되고 면역학적 기전에 의하 여 발생한 피부의 염증 반응은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도할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 |
2008년 5월 15일부터 2008년 6월 24일까지 세명대학교 부속 제천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에 내원한 아토피 피부염 환 자 31명을 대상으로 4주간 黃連解毒湯이 함유된 한방화장품이 황련해독탕을 함유하지 않은 보습제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얻은 결론은? | 총 연구대상자는 31명으로 실험군이 15명, 대조군이 16명이 었다. 전체 평균 연령은 21.0±2.30세였고 평균 키는 165.7±8.30 ㎝, 평균 몸무게는 64.0±15.00㎏이었다. 발병 시기는 0~4세, 15~ 19세, 10~14세 순이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기준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3가지 이상의 주소견을 갖고 있었으며, 대조군과 실 험군 모두 3가지 이상의 주소견을 갖고 있었다. 부소견은 건조피 부가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구순염, 오톨도톨한 모공주위 피부, 앞목의 피부주름, 음식물에 의한 이상반응 등의 빈도가 높았다. 시험 전과 후 SCORAD Index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실험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Total IgE 변화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 에 수치가 감소하였고, Eosinophil count 변화는 대조군에서는 감소, 실험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피부 표면 온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모두 약간의 차이만 보였을 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경피수분 손실량은 시험군과 대조 군 모두 시험 전과 후 경피수분 손실량이 증가하였지만 대조군 에 비하여 실험군의 경피수분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 다. 피부수분 함유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피부수분 함유량이 증가하였다. 피부 산성도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약산성과 약알칼리성의 경계에 위치하였고, 4주 후 실험군 의 피부 pH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총괄 적 유효성 평가는 피험자와 담당자 모두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의 유효성이 높게 나타났다. |
Shultz, L.F., Hanifin, J.M. Epidemiology of atopic dermatit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2: 1-24, 2002.
Oh, J.W., Kim, K.E., Pyun, B.Y. Nationwide study for epidemiological changes of atopic dermatitis in school aged children between 1995 and 2000 and kindergarten aged children in 2003 in Korea. Pediatr Allergy Resir Dis. 13(4):227-237, 2003.
Bos, J.D., Wierenga, E.A., Sillevis, J.H., Heijden, F.L., Kapsenberg, M.L. Immuune dysregulation in atopic eczema. Arch Dermatol. 128: 1509-1512, 1992.
Taieb, A. Hypothesis: from epidermal barrier dysfunction to atopic disorders. Contact Dermatitis. 41: 177-180, 1999.
안석용, 안성구, 이승헌.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장벽. 한국피부장벽학회지 8(1):47-51, 2006.
Ogawa, H., Yoshiike, T. A speculative view of atopic dermatitis: barrier dysfunction in pathogenesis. J Dermatol Sci. 5: 197-204, 1993.
윤상웅, 황인아, 유종엽, 박경찬. 녹차추출물을 함유한 보습제의 항염증 효과 평가. 대한피부과학회지 41(1):15-20, 2003.
Bohme, M., Svenson, A., Kull, I., Nordvall, S.L., Wahlgren, C.F. Clinical features of atopic dermatitis at two years of age.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Acta Derm Venerol. 81: 193-197, 2001.
박영립, 김형동, 김규한, 김명남, 김진우, 노영석, 받천욱, 이광훈, 이애영, 조상현, 최지호. 아토피피부염 학회 보고서: 한국인 아토피피부염의 진단기준에 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44(6):659-663, 2006.
Kim, K.H., Hwang, J.H., Park, K.C. Periauricular eczematization in chilldhood atopic dermatitis. Ped Dermatol. 14: 278-280, 1996.
Kanwar, A.J., Dhar, S., Kaur, S. Evaluation of minor clinical features of atopic dermatitis. Ped Dermatol. 8: 114-116, 1991.
Sevensson, A., Edman, B., Moller, H. A diagnostic tool for atopic dermatitis based on clinical criteria. Acta Derm Venereol (Stockh) Suppl. 114: 33-40, 1985.
Moller, H. Clinical aspects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cta Derm Venereol (Stockh) Suppl. 95: 25-28, 1981.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5판. 여문각, 서울, pp 170-178, 2008.
Eigenmann, P.A.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tic criteria of atopic dermatitis in relation to age. Pediatr Allergy Immunol. 12: 69-74, 2001.
Park, Y.M., Park, H.J., Kim, T.Y., Kim, J.W. The study on the hospital-based relative frequency, an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atopic dermatitis. Korean J Dermatol. 35: 96-106, 1997.
이지현, 김규한, 김명남, 김진우, 노영석, 박영립, 박천욱, 이광훈, 이애영, 조상현, 최지호. 아토피피부염학회 보고서: 한국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지침 대한피부과학회지 44(8):907 -913, 2006.
박영립. 아토피피부염에서 보습제 사용. 한국피부장벽학회지 19(1):37-40, 2007.
최인화, 채병윤.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의사협회지 12(1):73-83, 1991.
Hill, C.J., Rosenberg, A. Jr. Adverse effects from topical steroids. Cutis. 21: 624-628, 1978.
Ruiz-Maldonado, R., Zapata, G., Lourdes, T., Robles, C. Cushing's syndrome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corticosteroids. Am J Dis Child. 136: 274-275, 1982.
McLean, C.J., Lobo, R.F., Brazier, D.J. Cataracts glaucoma, and femoral avascular necrosis caused by topical corticosteroids ointment. Lancet. 345: 330, 1995.
Bode, H.H. Dwarfism following long-term topical corticosteroid therapy. JAMA. 244: 813-814, 1980.
Queille, C., Pommarede, R., Saurat, J.H. Efficacy versus systemic effect of six topical steroids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of childhood. Pediatr Dermatol. 1: 246-253, 1984.
이희정, 박창욱, 이주희, 이광훈. 상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삶의 질 평가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피부과학회지 45(2):159-164, 2007.
신나라, 김성현, 조소연, 황규광, 함정희. 소아기 아토피 피부염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38(4):494-499, 2000.
양수진, 윤숙정, 이재욱, 이지범, 김성진, 원영호, 이승철. 소아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와 정신, 행동 및 가족 문제의 관련성. 대한피부과학회지 43(9):1170-1176, 2005.
장은영, 정승원, 안강모, 이상일. 소아 아토피 피부염에서의 대체보완요법 이용에 관한 연구. 천식 및 알레르기 학회지25(2):110-116, 2005.
葛仙翁. ?後備急方. 集文書局, 臺北, 3-8-9, 1978.
王燾. 外臺秘要. 國立中國醫藥硏究所, 臺北, p 72, 1968.
최유성, 유충의, 박미연, 손숙자, 황규왕.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 및 검사실 소견에 관한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44(7):824-829, 2006.
김명남, 신봉주, 탁우정, 노병인, 박애자. 아토피 피부염에서 말초 혈액내 호산구 수, 혈청IgE, eosinophil cationic proteinm, IL-4 및 soluble E-selection의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40(11):1367-1373, 2002.
Kim, D.W., Park, J.Y., Na, G.Y., Lee, S.J., Lee, W.J. Correlation of clinical features and skin barrier function in adolescent and adul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Int J Dermatol. 45(6):698-701, 2006.
장윤환, 김효진, 성현철, 김도원, 이원주, 나건연. Tape Stripping에 의한 각질층 제거 정도에 따른 피부장벽기능의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43(7):919-925, 2005.
소병화. 피부효과의 기기평가. 한국 피부장벽학회지 8(1):68- 75, 2006.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