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개인색채 유형에 따른 패션색채 기호의 분석
An Analysis of Fashion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Koreans' Personal Color Typ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10, 2008년, pp.37 - 51  

조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유태순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cording to four Seasonal Color syste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Korean Personal color and investigated abstract color preferences and the fashion color preferences to support the Korean color preferences and the rotor recognition tre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

주제어

참고문헌 (48)

  1. Birren, F. 저, 김진한 역 (1996). 색채의 영향. 서울: 시공사, pp. 87-95 

  2. 松田博子 (1997). 色の みと好パ?ソナ リティ につい て. 日本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38(2), p. 22 

  3. IRI 디자인 연구소 (1998). 색채기호 유형 추출에 관한 연구. 산업자원부, pp. 2-4 

  4. Madden, T. J., Hewett, K., & Roth, M. S.(2000). Managing images in different cultur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8(4), pp. 90-107 

  5. Roberts, S. A. (2002). Culture of colour. Textile Horizons, JUL/AUG, pp. 18-19 

  6. 김용훈 (1987). MERCHANDISING을 위한 색채상품 개발론. 서울: 청우, pp. 12-14 

  7. 松田博子 (1997). 色の みと好パ?ソナ リティ につい て. 日本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38(2), p. 23 

  8. 김용훈 (1987). MERCHANDISING을 위한 색채상품 개발론. 서울: 청우, pp. 48-56 

  9. Saito, M. A.(1996). Cross-cultural study on preference for lightness of complexions. Japanese Journal of Psychology, 67(3), pp. 139-150 

  10. 차정민, 노구찌가오르 (2002).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의 색채선호비교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 pp. 1-10 

  11. 최미영, 심영완, 신혜영 (2006). BRICs 지역 소비자 색 채선호비교. 복식, 56(5), pp. 118-131 

  12. 김문영 (2006). 한국과 이태리 패션전문가의 색채기호 비교연구. 복식, 56(2), pp. 112-124 

  13. 이민아, 김구자 (2002). 한국 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의 상선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133-143 

  14. 김구자 (2003). 한국성인 남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호 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pp. 1338- 1349 

  15. 박정혜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 조화장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pp. 12-94 

  16. 서란숙 (2005). 의복스타일과 화장 태도에 따른 색조 화장품 선호색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pp. 31-97 

  17. Douglass, M. R. (1995). System for self -typing of individual essences. United States Patent, 5, 542,849 

  18. Matsuura, S. (2004). 일본에서의 퍼스널컬러 시스템 의 추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pp. 535-538 

  19. Goethe, J. W. 저, 장희창 역 (2003). 색채론. 서울: 민음사, pp. 12-41 

  20. Mathis, C. M., Connor, H. V. (1994). The Triumph of Individual Styl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p. 113-153 

  21. Radeloff, D. J. (1991).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butes, and color preferences of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pp. 59-67 

  22. 신향선 (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 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pp. 6-80 

  23. 윤희 (2004). 음양오행사상과 사계절 컬러론의 색채를 바탕으로 한 이미지 스타일링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 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7-88 

  24. Fujii, D. 저, 염경숙 역 (1995). Color with style. 서 울: 그래픽사, pp. 8-78 

  25. 김영인, 주미영, 이현주, 김희연 (2005). 개인의 색채이 미지 유형에 의한 국내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 채 계획. 복식, 55(6), pp. 1-14 

  26. 박화순 (2000). 개인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 의복 색 경향. 복식, 52(6), pp. 15-24 

  27. 이민아 (2001). 한국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호색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 21 

  28. 문완묵 (2005). 20대-30대 한국 여성의 베스트컬러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52 

  29.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컬러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80 

  30. Kobayashi, S. (1991). Color Image Scale. New York: Kodansha, pp. 31-38 

  31. 한명숙 (2002). 퍼스널 컬러에 대한 컬러 선택요인 및 만족도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4), pp. 369-375 

  32. 이지윤 (200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선 호도.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46 

  33. 이해영 (2004). 색조화장에 있어서 퍼스널 컬러 인지 도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조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6-89 

  34. Jackson, C. (1980). Color Me Beautiful. New York: Ballantine Books, pp. 14-74 

  35. Rabbitt, M. (2002). Your true colors. Parenting, 16(7), pp. 69-72 

  36. Matsuura, S. (2000). 퍼스널컬러 진단 강좌. 대구: 한국의류산업학회, pp. 8-23 

  37. 김유순 외 6명 (2004). Color & Personal Color. 서울: 예림출판, pp. 34-45 

  38. 신향선 (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 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pp. 57-73 

  39. 문완묵 (2005). 20대-30대 한국 여성의 베스트컬러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53 

  40. 안휘준 (2000). 한국회화의 이해. 서울: 시공사, p. 61 

  41. 배한나 (2004). 선호색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색채감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8-112 

  42. 박화순 (1995). 성격특성에 따른 색채의 속성별 의복 색 선호도. 복식, 26, pp. 87-100 

  43.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컬러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8-80 

  44. 권영걸, 김내리 (2006). 한중일 삼국에서의 적색의 의 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9(2), pp. 21-36 

  45. 황상민, 김경인, 송경석, 권금주 (1999). 립스틱 제품에 서 나타난 한국인의 선호 색상범위와 그 특성, 한국색채학회동계학술대회, pp. 60-66 

  46. Lind, C. (1994). Psychology of color.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pp. 57-65 

  47. 페이오픈 (2006. 12. 1). 고학력기혼여성, 재취 업하고 싶어도 바늘구멍. 뉴스와이어. 자료검색일 2007.3.15, 자료출처 http://www.newswire.co.kr 

  48. 이해영 (2004). 색조화장에 있어서 퍼스널 컬러 인지 도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조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