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차공간영상에서의 구간별 시차 경로 탐색을 이용한 중간 영상 생성
Intermediate Image Generation based on Disparity Path Search in Block of Disparity Space Image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B. Part B, v.15B no.1, 2008년, pp.9 - 16  

곽지현 (충북과학대학 정보통신과학과) ,  김경태 (한남대학교 정토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중간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사람이 3차원 영상을 자연스럽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다시점의 영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많은 수의 카메라를 이용하면 시스템이 복잡하고 커지며 전송량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송신측에서 스테레오 영상만을 촬영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여러 장의 중간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스테레오 영상간의 시차에 따른 화소의 차로 표현되는 시차공간영상을 생성한다. 시차공간영상을 이용하여 최적의 시차 경로를 탐색하여 시차 지도를 만든다. 최종적으로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려짐 영역을 처리한 후에 중간 시점의 영상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생성한 영상은 30 dB PSNR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for synthesizing intermediate view image from a stereoscopic pair of images. An image of multiview is need for people in order to easily recognize 3D image. However, if many cameras are use for that, not only does system get more complicated but also transmi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그림 3)은 실제 좌 영상을 기준으로 우 영상으로 생성한 시차공간영상을 나타낸다.
  • 따라서 오정합이 발생하며 계산시간도 오래 걸린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체의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구간을 설정한 후 최적의 시차 경로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전 처리는 영상의 질을 개선하거나 영상을 특정한 응용 목적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영상 처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좌우 영상을 같은 조건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평균, 분산 처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 영상 내 검은색의 가로선은 최적의 시차경로이다.
  • 대각선들은 우 영상의 i 번째 스캔라인에서 개체들의경계 정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테레오 영상이 뇌로 전달되어 사람이 입체감을 인지할 때 고려해야 할 문제점은? 그러나, 이를 위하여는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그 한쌍의 스테레오 영상만을 보여주면 입체 시점이 한곳으로 제한되어 관찰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이다. 이에 여러 쌍의 스테레오 영상들로 시점을 확장하여야만 관찰자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고 피로감도 덜 느끼게 된다.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1)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통신, 교육, 의료, 상업 광고 등에 이용된다. 19세기 중반 이후 급격히 발전된 영상처리 기술은 현실감을 표현할 수 있는 3 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19세기 중반 이후 급격히 발전된 영상처리 기술은 현실감을 표현할 수 있는 어떤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가? 1)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통신, 교육, 의료, 상업 광고 등에 이용된다. 19세기 중반 이후 급격히 발전된 영상처리 기술은 현실감을 표현할 수 있는 3 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3차원 영상 기술의 응용 분야를 구현하기 위한 원천 기술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추출하는 기술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R. Hartley and A. Zisserman, 'Multiple view Geometry in computer vision', Cambridge Univ. Press, 2000 

  2. Ji-Hyun Kwak, V. Komar, Kyung-Tae Kim,'Synthesizing Intermediate Image Using Stereoscopic Imag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2002.8 

  3. Kyung-tae Kim, Ji-hyun Kwak, 'Comparison of irregular decomposition and full-search block matching for intermediate-image generation,' 제 11회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 논문집 VOL.11 No.1 p.59-60, 2004년 5월 

  4. Kyung-tae Kim, Ji-hyun Kwak, V.Komar, 'Synthesizing Intermediate Image Using Contour Images,'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 '02, Jan. 2004 

  5. D. Geiger, B. Ladendorf, and A. Yuille, 'Occlusions and binocular stereo,' Int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14, No.3, pp. 211-226,1995 

  6. Y. Ohta, and T. Kanade, 'Stereo by intra- and inter-scanline search using dynamic programming,' IEEE Tra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7, pp.139-154, 1985 

  7. Ramesh Jain, Rangachar Kasturi, Brian G. Schunck, 'Machine Vision', MIT press, 1995 

  8. Stephen S. Intille and Aaron F. Bobick , 'Disparity. Space Image and Large Occlusion Stereo,' In ECCV, pp. 179-186, 1994 

  9. R.E.H., Franich, R.L. Lagendijk, J. Biemond, 'A disparity space image path,' International Workshop on Stereoscopic and Three Dimensional Imaging, pp.122-127 September 6-8, 1995 

  10. 이종민, 김대현, 최종수, '시차공간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 41 권 SP 제 6 호, pp.867-876, 2004 

  11. 곽지현, 김경태, '시차공간영상에서의 가변 블록 매칭을 통한 중간 영상 생성', 2004년도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 초록집 Vol. 30, p.117, 2004 

  12. Kyung-tae Kim, 'Comparison of Irregular Quadtree Decomposition with Full-search Block Matching for Synthesizing Intermediate Images,' J. of Optical Society of Korea, Vol. 8, No. 3, pp. 108-114, 2004 

  13. Kyung-tae Kim, 'Intermediate image generation using irregular quadtree decomposition', 10th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 and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lti-dimensional mobile communication proceedings, vol. 2, pp.676-680,2004, Beijing China. 2004 

  14. S.E. Chen, L. Williams, 'View Interpolation for image Synthesis,' In Proc. SIGGRAPH 93, pp. 279-288,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