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이식후 발생한 유두상 갑상선암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Renal Allograft Recipients 원문보기

대한 두경부 종양 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v.24 no.1, 2008년, pp.64 - 68  

이잔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홍협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정종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남기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정웅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소의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박정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e chronic u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transplant recipients can increase the long-term risk of carcino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biological behaviors, and treatment outcomes in PTC(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renal allograft recipients. Materi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대규모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기간동안 발생한 유두상 갑상선암의 임상병리적 특징 및 치료 결과를 검토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대상군이 적으며 후향적인 방법을 선택한 연구의 제한점이 있지만, 현재까지 장기이식후 발생하는 갑상선암의 빈도 및 치료 결과에 대한 우리나라의 보고가 없으므로 향후 대규모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예비 보고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저자들은 단일 기관에서 약 14년간의 경험을 통해 신장 이식후 발생한 유두상 갑상선암의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식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이 빈번한 이유는 무엇인가? 장기 이식을 받은 환자의 경우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서 악성 종양의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신이식의 경우 이식후 악성 종양의 발생률이 약 6~11%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1-3). 이식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이 빈번한 이유는 이식장기의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간의 면역억제제의 사용과 관계가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가설들이 보고되고 있다1-4). 하지만, 이식후 악성 종양의 발생은 암종의 종류, 이식 장기 및 면역 억제 정도등의 임상 특징과 인종 및 지역적 요인 등에 따라 빈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1)2).
신이식의 경우 이식후 악성 종양의 발생률은 얼마인가? 장기 이식을 받은 환자의 경우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서 악성 종양의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신이식의 경우 이식후 악성 종양의 발생률이 약 6~11%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1-3). 이식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이 빈번한 이유는 이식장기의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간의 면역억제제의 사용과 관계가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가설들이 보고되고 있다1-4).
이식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식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이 빈번한 이유는 이식장기의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간의 면역억제제의 사용과 관계가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가설들이 보고되고 있다1-4). 하지만, 이식후 악성 종양의 발생은 암종의 종류, 이식 장기 및 면역 억제 정도등의 임상 특징과 인종 및 지역적 요인 등에 따라 빈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ondon NJ, Farmery SM, Will EJ, Davison AM, Lodge JP: Risk of neoplasia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Lancet. 1995;346:403-406 

  2. Veroux M, Puliatti C, Fiamingo P, et al: Early de novo malignancie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Transplant Proc. 2004;36: 718-720 

  3. Kasiske BL, Snyder JJ, Gilbertson DT, Wang C: Cancer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in the United States. Am J Transplant. 2004;4:905-913 

  4. Brunner FP, Landais P, Selwood NH: Malignancie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he EDTA-ERA registry experience. European Dialysis and Transplantation Association-European Renal Association. Nephrol Dial Transplant. 1995;10:74-80 

  5. Fahey TJ 3rd, Reeve TS, Delbridge L: Increasing incidence and changing presentation of thyroid cancer over a 30-year period. Br J Surg. 1995;82:518-520 

  6. Franceschi S, La Vecchia C: Thyroid cancer. Cancer Surv. 1994; 19-20:393-422 

  7. Nemes B, Zalatnai A, Podder H, et al: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Pathol Oncol Res. 2000;6:72-75 

  8.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Working Group: Korea Cancer Statistics: 1996 Incidence. Seoul. GA: Department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rvice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operation and Nation Cancer Institute, 2004.Korean cancer Survellence, 2007:1190 

  9. Shah JP: AJCC Cancer Staging Handbook.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In: Greene FL(ed) Springer-Verlag, New York, 2002:77-78 

  10. Keast D: Immunosurveillance and cancer. Lancet. 1970;2:710-712 

  11. Schwartz RS: Immunoregulation, oncogenic viruses, and malignant lymphomas. Lancet. 1972;1:1266-1269 

  12. Suzuki T, Takano Y, Yamashita K, Sato K, Kakita A, Okudaira M: A possible role for Epstein-Barr virus in tumorigenesis after immunosuppression in cases of renal transplantation. J Cancer Res Clin Oncol. 1993:119:627-629 

  13. Penn I: Cancers following cyclosporine therapy. Transplantation. 1987;43:32-35 

  14. Penn I: Cancer is a complication of severe immunosuppression. Surg Gynecol Obstet. 1986;162:603-610 

  15. First MR, Peddi VR: Malignancies complicating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 Proc. 1998;30:2768-2770 

  16. Nafar M, Einollahi B, Hemati K, Gholi FP, Firouzan A: Development of malignancy following living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Transplant Proc. 2005;37:3065-3067 

  17. Wang CX, Liu LS, Chen LZ, et al: Characteristics of neoplasm occurrence and the therapeutic effect of Sirolimus in South Chines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ransplant Proc. 2006;38:3536-3539 

  18. Pond F, Serpell JW, Webster A: Thyroid cancer in the renal transplant population: epidemiological study. ANZ J Surg. 2005; 75:106-109 

  19. Samhan M, Al-Mousawi M, Donia F, Fathi T, Nasim J, Nampoory MR: Malignancy in renal recipients. Transplant Proc. 2005;37:3068-3070 

  20. Hoshida Y, Aozasa K: Malignancies i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Pathol Int. 2004;52:649-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