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수유 씨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활성 성분
Constituents of the seeds of Cornus officinali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1 no.4, 2008년, pp.316 - 320  

이가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 ,  장대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 ,  이윤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 ,  김영숙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 ,  김진숙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육을 제거한 산수유 씨의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물로부터 이용하여 10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에서 (+)- pinoresinol, (-)-balanophonin, vanillin, 4-hydroxybenzaldehyde, coniferaldehyde, betulinic acid는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들이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10종의 화합물에 대한 in vitro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억제효능 실험결과, (-)-balanophonin (화합물 2)과 gallicin(화합물 3)이 각각 $IC_{50}$ 값 27.81과 18.04${\mu}M$로 비교양성대조군인 aminoguanidine(974.59 ${\mu}M$)보다 훨씬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n compounds, (+)-pinoresinol (1), (-)-balanophonin (2), gallicin (3), vanillin (4), 4-hydroxybenzaldehyde (5), coniferaldehyde (6), betulinic acid (7), ursolic acid (8), 5-hydroxymethyl furfural (9), and malic acid (10), were isolated from a EtOAc-soluble fraction of the seeds of Cornus officin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씨의 EtOAc 가용성 분획물로부터 4종의 phenolic 화합물, 2종의 lignan 화합물, 2종의 triterpene 화합물, 1종의 furan 화합물, 1종의 organic acid를 분리하여 화학적 구조를 동정하였고,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효능을 검색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수유의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는 층층나무과(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중부 이남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산지에서 자생하며, 열매는 산수유(山茱萸) 혹은 산수육(山茱肉)이라 하며, 한방과 민간에선 월경과다, 보익, 음위, 수검, 조경, 다뇨, 이명, 두풍, 신경쇠약, 강정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9,10) 산수유의 성분연구로는 gallic acid,11) malic acid, furfural 화합물,12) flavonol 화합물,13) tannin 화합물,14-16) iridoid 배당체,17,18) triterpenoid 화합물19) 및 정유성분20) 등이 보고 되었으며, 산수유의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항알러지,21) 항균 및 항산화 효과22) 그리고 항암효과23) 등이 보고되어 있지만, 산수유 씨에 대한 성분연구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항당뇨 효과24)에 대한 실험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억제제인 aminoguanidine이 가진 어떤 한계때문에 새로운 물질의 발굴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는가? 5,6) 따라서 glycation cascade 저해제 개발은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등을 위한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1,4) 그러나 aminoguanidine의 임상 실험에서 독성이 드러나면서,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능을 가진 새로운 물질의 발굴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7,8) 한약을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저해 효능 검색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산수유 씨의 EtOAc-가용성 분획물 (IC50 값: 1.
산수유는 한방과 민간에서 무엇으로 사용되었는가? et Zucc.)는 층층나무과(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중부 이남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산지에서 자생하며, 열매는 산수유(山茱萸) 혹은 산수육(山茱肉)이라 하며, 한방과 민간에선 월경과다, 보익, 음위, 수검, 조경, 다뇨, 이명, 두풍, 신경쇠약, 강정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9,10) 산수유의 성분연구로는 gallic acid,11) malic acid, furfural 화합물,12) flavonol 화합물,13) tannin 화합물,14-16) iridoid 배당체,17,18) triterpenoid 화합물19) 및 정유성분20) 등이 보고 되었으며, 산수유의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항알러지,21) 항균 및 항산화 효과22) 그리고 항암효과23) 등이 보고되어 있지만, 산수유 씨에 대한 성분연구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항당뇨 효과24)에 대한 실험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akurai, T. and Tsuchiya, S. (1988) Superoxide production from nonenzymatically glycated protein. FEBS Lett. 236, 406-410 

  2. Shinohara, R., Mono, T., Nagasaka, A., Sawai, Y., Uchimura, K., Hayashi, R., Hayakawa, N., Nagata, M., Makino, M., Kakizawa, H., Itoh, Y., Nakai, A. and Itoh, M. (1998) Effects of throid hormone on the sorbitol pathwa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iochim. Biophys. Acta 1425, 577-586 

  3. Larkins, R. G. and Dunlop, M. E. (1992) The link between hyperglycaemiaand diabetic nephropathy. Diabetologia 35, 499- 504 

  4. Forbes, J. M., Cooper, M. E., Oldfield, M. D. and Thomas, M. C. (2003) Rol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diabetic nephropathy. J. Am. Soc. Nephrol. 14, S254-S258 

  5. Bierhaus, A., Hofmann, M. A., Ziegler, R. and Nawroth, P. (1998) AG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AGE-receptors in vascular disease and diabetic mellitus. I. The AGE concept. Cardiovasc. Res. 37, 586-600 

  6. Brownlee, M. (1996)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in diabetic complications. Curr. Opinion Endocrinol. Diabetes 3, 291-29 

  7. Rahbar, S. and Figarola, J. L. (2003) Novel inhibitor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rch. Biochem. Biophys. 419, 63-79 

  8. Yokwzawa, T., Nakagawa, T. and Terasawa, K. (2001) Effects of Oriental medicines on the produc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J. Trad. Med. 18, 107-112 

  9. Chang, I.-M. (2003)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ak Sool Pyun Soo Gwan, Seoul, Korea 

  10. Bae, K. H. (2000)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11. Tian, G., Zhang, T., Yang, F. and Ito, Y. (2000) Separation of gallic acid from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886, 309-312 

  12. Mitsuo, M., Jun, A., Jun, F. and Yukio, I. (2003) Insecticidal compounds against drosophila melanogaster from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Nat. Prod. Res. 17, 337-339 

  13. Kim, D. K. and Kwak, J. H. (1998) A furan derivative from Cornus officinalis. Arch. Pharm. Res. 21, 787-789 

  14. Okuda, T., Hatano, T., Ogawa, N., Kira, R. and Matsuda, M. (1984) Cornusiin A, a dimeric ellagitannin forming four tautomers, and accompanying new tannins in Cornus officinalis. Chem. Pharm. Bull. 32, 4662-4665 

  15. Hatano, T., Ogawa, N., Kira, R., Yasuhara, T. and Okuda, T. (1989) Tannins of cornaceous plants. I. Cornusiins A, B and C, dimeric monomeric and trimeric hydrolyzable tannins from Cornus officinalis, and orientation of valoneoyl group in related tannins. Chem. Pharm. Bull. 37, 2083-2090 

  16. Hatano, T., Yasuhara, T., Abe, R. and Okuda, T. (1990) A galloylated monoterpene glucoside and a dimeric hydrolysable tannin from Cornus officinalis. Phytochemistry 29, 2975-2978 

  17. Endo, T. and Taguchi, H. (1973)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Cornus offinalis Sieb. et Zucc. Yakugaku Zasshi 93, 30-32 

  18. Soren R. J., Anders K. and Bent J. N. (1973) Loniceroside (secologanin) in Cornus officinalis and C. mas. Phytochemistry 12, 2064-2065 

  19. Kim, D. K., Kwak, J. H., Ryu, J. H., Kwon, H. C., Song, K. W., Kang, S. S., Lee, S. H., Lee, E. A., Kwon, N. S., Lee, K. R. and Zee, O. P. (1996) A component from Cornus officinalis enhances hydrogen peroxide generation from macrophages. Kor. J. Pharmacogn. 27, 101-104 

  20. Miyazawa, M. and Kameoka, H. (1989)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rni fructus. Agric. Biol. Chem. 53, 3337-3340 

  21. Seo, Y. B., Kil, G. J., Lee, Y. K. and Lee, Y. C. (2002) Study on the effects of Corni fructus about the anti-allergic action. Kor. J. Herbology. 17, 1-12 

  22. Seo, K. I., Lee, S. W. and Yang, K. 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23. Kim, B. H., Park, K. W., Kim, J. Y., Jeong, I. Y., Yang, G. H., Cho, Y. S., Yee, S. T. and Seo, K. I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arcinogenic compound from Corn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01-1007 

  24. Park, Y. K., Whang, W. K. and Kim, I. H. (1995) The antidiabetic effects of from Cornus officinalis seed. Chung-ang J. Pharm. Sci. 9, 5-11 

  25. Vinson, J. A. and Howard , T. B. (1996) Inhibition of protein glycation an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by ascorbic acid and other vitamins and nutrients. J. Nutr. Biochem. 7, 659-663 

  26. Whang, J. I., Moon, H. I. and Zee, O. P. (2000)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Actinidia arguta. Kor. J. Pharmacogn. 31, 357-363 

  27. Hong, S. S., Han, D. I., Hwang, B. Y., Choi, W. H., Kang, H. S., Lee, M. K., Lee, D. K., Lee, K. S. and Ro, J. S. (2001)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septemlobus. Kor. J. Pharmacogn. 32, 302-306 

  28. Kwon, C. H., Hong, N. D. and Kim, N. J. (198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ambusae Caulis in taeniam. Kor. J. Pharmacogn. 19, 188-192 

  29. Sy, L. K and Brown, G. D. (1999) Coniferaldehyde derivatives from tissue culture of Artemisia annua and Tanacetum parthenium. Phytochemistry 50, 781-785 

  30. Robinson, F. P. and Martel, H. (1970) Betulinic acid from Arbutus menziesii. Phytochemistry 9, 907-9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