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 내 주방용품 및 기구의 위생실태 및 미생물학적 분석
Sanitation Assessment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of the Domestic Kitchen Utensil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5, 2008년, pp.706 - 712  

강명숙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윤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nitation level and use of dish cloths, chopping board, and drawer in the refrigerator in 50 university students' house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The survey questionnaire evaluated general information, frequency of the washing, cleaning method, dry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50명의 가정 내 주방환경을 연구한 것으로 제한적이지만 일반 가정의 주방환경에 관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가정 내 주방에서의 전반적인 이용실태와 위생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소비자원(2005)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3)의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연구자가 고안하였다. 가정 내 가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내용으로는 거주형태에 관한 기초 정보의 수집과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주방용품 사용실태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주방용품의 전반적인 이용실태와 위생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반가정의 주방용품인 행주, 도마, 냉장고 채소칸에서의 미생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주방위생의 현황을 파악하고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안전을 구축하는 데 있어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hk GJ 등(2003)이 조사한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 장소는? 반면, Bahk GJ 등(2003)의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 장소를 분석한 결과,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결혼식 피로연 등 공동장소에서의 음식 섭취가17.9%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고의 원인물질별 발생건수에 대한 현황은? 식품의약품안전청(2007)의 보고에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고의 원인물질별 발생건수에 대한 현황을 보면, 2007년 병원성 대장균이 32%를 차지하며, 살모넬라가 23%, 다음으로 황색 포도상구균과 비브리오의 발생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인시설별로 분석해 본 결과, 음식점에서 5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집단급식소가 19%, 가정집이 6%의 비율을 나타낸다.
경기도 소재 대학의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행주, 도마, 냉장고 채소칸의 청결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 중 청결관리는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의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행주, 도마, 냉장고 채소칸의 청결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행주의 사용실태는 하루 평균 세척횟수가 5.08회로 나타났고, 소독법으로는 열탕소독의 비율이 76.0%, 건조법으로는 주방에서 말리거나 싱크대 위에 널어놓고 건조하는 경우가 78.0%의 비율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마와 채소칸의 세척법은 세제로 세척하는 경우가 각각 72.0%, 6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건조법은 세척 후 그대로 건조시키는 경우가 각각 84.0%, 38.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주방기구의 대장균군을 분석한 결과, 행주는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가정에서의 식중독예방을 위한 6가지 요령. Available form : http://fm.kfda.go.kr/education/necessity.php. Accessed December 11, 2007 

  2. 최대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년도 식중독 발생 현황. Available form : http://fm.kfda.go.kr/status/status_cause_view. php?av_datacd&av_menucd1&av_idfoodstatus&av_textfie ld&av_keyfield&av_pg1&av_index30. Accessed February 11, 2008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3. 유한킴벌리(주) 키친타올이 주방위생 개선에 미치는 영향평가(II) pp 36-41 

  4. 한국소비자원. 2005. 가정 내 냉장고 및 주방용구 안전 실태 조 사. Available form : http://www.kca.go.kr/. Accessed November 19, 2007 

  5. 한국식품공업협회. 2005. 식품공전. 식품공전(별책) pp 78-109 

  6. Altekruse SF, Cohen ML, Swerdlow DL. 1997. Emerging foodborne disease. Emerg Infect Dis 3(3):285-293 

  7. Archer DL, Young FE. 1988. Contemporary issues : Disease with a food vector. Clin Microbial Rev 1(4):377-391 

  8.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Korean J Food Hyg Safety 18(3):139-145 

  9. Bruhn CM. 1997. Consumer concerns : motivation to action. Emerg Infect Dis 3(4):511-515 

  10. Chun HJ, Paik JE, Lee YK, Kim ES. 1998.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14(1):21-24 

  11. Harrigan WF, McCance ME. 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Ltd NY 

  12. Kennedy J, Blair IS, Mcdowell DA, Bolton DJ. 2005. The microbiological status of non/food contact surfaces in domestic kitchens an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domestic refrigerators. Food Prot Trends 25(12):974-980 

  13. Lee YH, Cho KD, Lee BH. 2006. Hygienic practice attitude of housewives in Seoul and related factors. Korean J Food Hyg Safety 22(2):229-236 

  14. Michael PD, Kathryn LR, Merle P, Winkler W, Barbara S, Barry SM. 2000. Reduc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the home. F Dairy, E Sanitation 20(6):418-425 

  15.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4):315-323 

  16. Redmond EC, Griffith CJ. 2003. Review consumer food handling in the home: a review of food safety studies. J Food Prot 66(1):130-161 

  17. Scott E, Bloomfield SF, Barlow CG. 1984. Evaluation of disinfectant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under "in-use" conditions. J Hyg (Cambridge) 92(2):193-203 

  18. Sobel J, Griffin PM, Slutske L, Swerdlow DL, Tauxe RV. 2002. Investigation of multistate foodborne disease outbreak. Public Health Reports 117(1):8-19 

  19. Weingold SE, Guzewich JJ, Fudala JK. 1994. Use of foodborne disease data for HACCP risk assessment. J Food Prot 57(9): 820-830 

  20. Williamson DM, Gravini RB, Lawless HT. 1992. Correlating food safety knowledge with home food-preparation practices. Food Tech 46(5):94-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