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풍 동광산 폐광석 내 원소의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ments Extraction in Waste Rocks on the Abandoned Jangpoong Cn Min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1 no.6, 2008년, pp.695 - 708  

이인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동 장풍광산에서 산성 환경에 노출된 폐광석 원소의 지화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용출실험과 총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변의 오염되지 않은 토양 내의 원소 함량과 폐광석 내의 원소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농집이 많은 순서는 As>>Cu>Pb>Cd>Co이다. 산성비 ($0.00001{\sim}0.001N\;HNO_3$)와 산성배수($0.001{\sim}0.1N\;HNO_3$)를 고려한 산도변화에 따른 용출 실험 결과, 산용액과 24시간 반응한 후의 최종 pH 변화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산도를 더 낮아지게 할 수 있는 광물의 용해 작용으로 반응 용액의 pH보다 더 낮은 최종 pH를 나타내는 유형 1과 pH를 완충할 수 있는 광물이 존재하여 반응용액의 pH보다 높은 pH를 유지하는 유형 2.3으로 구분되었다. 원소의 용출거동 특성은 비소-코발트-철과 구리-망간-카드뮴-아연 그리고 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비소-코발트-철의 용출특성은 약산성의 환경에서는 용출이 미약하나, 최종 pH 1.5 이하의 강산성환경에서는 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구리-망간-카드뮴-아연형태에서는 최초로 용해되는 pH가 $7.0{\sim}3.0$으로 pH $2.5{\sim}1.5$에게서 최초 용출이 발생하는 비소-코발트-철보다 높았다. 납은 원소에 비해 상당히 적게 용출되었다. 최종 용출된 함량과 관계없이 초기 용출이 발생하는 pH값을 기준으로 한 각 원소의 상대적인 이동성은 망간 아연>카드뮴>구리>>철 코발트>비소>납 순서이며, 산성비는 아연, 망간 및 구리를 쉽게 용출시킬 것이고, 산성광산배수의 발생은 이동도가 낮은 원소(비소, 철, 코발트 그리고 납)의 분산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geochemical behaviors of elements with waste rocks in the abandoned Jangpoong Cu mine area, total concentration analysis and leach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content of elements within waste rocks compared with background values decreased in order of As>>Cu>Pb>Cd>Co....

주제어

참고문헌 (11)

  1. Ahn, J.S., Kim, J.Y., Cheon, C.M. and Moon, H.S. (2003)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rsenic solid phases in weathered mine tailing and their leaching potential, Econ. Environ. Geol., v. 36, p. 27-38 

  2. Blowes, D.W., Ptacek, C.J., Jambor, J.L. and Weisener, C.G. (2003) The geochemistry of acid mine drainage. In: Sherwood Lollar, B. (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Holland, H.D., Turekian, K.K. (Exec. Eds.), Treatise on Geochemistry, v. 9. Elsevier, p. 149-204 

  3. Stromberg, B. and Banwart, S.A. (1999) Experimental study of acidity-consuming processes in mining waste rock: some influences of mineralogy and particle size. Applied Geochemistry, v. 14, p. 1-16 

  4. Dold B. and Fontbote, L. (2002)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of element mobility insulfide mine tailings of Fe oxide Cu-Au deposits from the Punta del Cobre belt, northern Chile. Chemical Geology, v. 189, p. 135-163 

  5. Frau F. and Ardau C. (2003) Geochemical controls on arsenic distribution in the Baccu Locci stream catchment (Sardinia, Italy) affected by past mining, Applied Geochemistry, v. 18, p. 1373-1386 

  6. Jambor J.L. (1994) Mineralogy of sulfide rich tailings and their oxidation products. In:Jambor J. L., Blowes DW (eds)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sulfide minewastes. 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Short Course 22, Mineralogical of Canada, Nepean, Canada, p. 59-102 

  7. Sanchez Espana, J., Lopez Pamo, E. and Santofimia Pastor, E. (2007) The oxidation of ferrous iron in acidic mine effluents from the Iberian Pyrite Belt (Odiel Basin, Huelva, Spain): Field and laboratory rates.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 92, p. 120-132 

  8. Kim, J.S., Han, S.H., Choi, S.H., Lee, K.J., Lee, I.G. and Lee, P.K. (2002) Correlation interpretation on the leachate flow by AMD of the geophysical and geochemical data from Jangpoong abandonded mine. Jour.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v. 5, p. 19-27 

  9. Lee, I.G., Lee, P.K., Choi, S.H., Kim, J.S. and So, C.S. (2005)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Geologic Environments on the Abandoned Jangpoong Cu Mine Area, Econ. Environ. Geol., v. 38, p. 699-705 

  10. Lee, P.K., Kang, M.J., Choi, S.H. and Touray, J.C. (2005) Sulfide oxidation and the natural attenuation of arsenic and trace metals in the waste rocks of the abandoned Seobo tungsten mine, Korea, Applied Geochemistry, v. 20, p. 1687-1703 

  11. Lee, S.H. and Kim, J.H. (1972) Geological map of Korea: Goesan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