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분지 데사이트질 응회암의 불석화작용
Zeolitization of the Dacitic Tuff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5 no.1, 2022년, pp.63 - 76  

김진주 (경상국립대학교 지질과학과) ,  정종옥 (경상국립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신영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융합학부) ,  손영관 (경상국립대학교 지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가능성 평가를 위해 시추한 결과, 장기분지 성동리층에 97~118m 두께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이 확인되었으며 내부구조와 입자조성에 따라 4개의 퇴적단위(퇴적단위 1~4)로 구분되었다. 퇴적단위 1은 육성환경, 퇴적단위 3, 4는 수중 환경에서 쌓인 화쇄류암(ignimbrite)이며, 퇴적단위 2는 화산휴지기에 쌓인 망상하천 퇴적암으로 데사이트질 응회암이 관찰되지 않는다. 박편분석결과, 모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는 주로 유리를 교대하거나 기공을 충전하며 매몰-속성과정 동안 화산유리의 교대작용 및 용해-침전작용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클리놉틸로라이트는 퇴적단위 3에서 유리를 교대하는 경우가 기공을 충전한 경우보다 Si/Al비와 Na함량이 높으며 퇴적단위 4에서는 산출상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조성이 동일해 지는데, 이는 화산유리의 교대 및 용탈작용이 진행될수록 공극수의 Si/Al비와 pH가 증가했으며, 퇴적단위 3의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생성될 당시 동-서쪽의 공극수 조성이 달랐음을 지시한다. 또한, 모데나이트의 성장이 끝난 후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생성되었으며, 두 불석광물은 각 퇴적단위별로 순차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해보면, 퇴적단위 1이 쌓인 후, 화산휴지기 동안 서고동저의 분지지형으로 인해 서쪽은 pH가 더 높았으나 스멕타이트의 성장으로 공극이 폐쇄되어 더 이상 불석광물 이 성장하지 못한 반면, 동쪽은 망상하천이 발달한 개방계 상태에서 지하수의 영향을 받아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분지의 침강으로 퇴적단위 3, 4는 수중환경으로 변화였고 공극수는 점점 알칼리함량이 증가하여 결국 동-서쪽의 공극수 조성이 동일해 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와 같이 유사한 조성의 응회암에서도 분지의 수계와 퇴적환경에 따라 다양한 불석광물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분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citic tuffs, 97 to 118 m thick, were recover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bsurface Seongdongri Formation, Janggi Basin, which was drilled to assess the potential for underground storage of carbon dioxide. The tuffs are divided into four depositional units(Unit 1 to 4) based on internal structur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Ambruster, T. and Gunter, M.E. (2001) Crystal structures of natural zeolit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1-67. https://doi.org/10.2138/rmg.2001.45.1 

  2. Benning, L.G., Wilkin, R.T. and Barnes, H.L. (2000) Solubility and stability of zeolites in aqueous solution: II. Calcic clinoptilolite and mordenite. American Mineralogist, v.85, p.495-508. https://doi.org/10.2138/am-2000-0411. 

  3. Brathwaite, R.L. (2003) Ge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zeolites in lacustrine tuffs, Ngakuru,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Clays and Clay Minerals, v,51, 6, p.589-598. https://doi.org/10.1346/CCMN.2003.0510601. 

  4. Chipera, S.J. and Apps, J.A. (2001) Geochemical Stability of Natural Zeilit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117-161. https://doi.org/10.2138/rmg.2001.45.3. 

  5. Choi, Y.-S. and Kim, S.J. (1993) Occurrence and Genesis of Zeolites from the Tertiary Volcanic Sediments in the Guryongpo Area, Korea.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6, p.38-47. 

  6.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2013) Rock-forming minerals. Third edition: Mineralogical Society. doi: 10.1180/DHZ 

  7. Deffeyes, K.S. (1959) Zeolites in Sedimentary rock.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29, 4, p.602-609. https://doi.org/10.1306/74D709AC-2B21-11D7-8648000102C1865D. 

  8. Gim, J.H., Jeong, J.O., Gihm, Y.S., Gu, H.-C. and Sohn, Y.K. (2016)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processes of the subsurface dacitic volcaniclastic deposits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2, p.775-798. doi: 10.14770/jgsk.2016.52.6.775 

  9. Gottardi, G. and Galli, E. (1985) Natural Zeolites, Springer, Berlin, p.93-284. doi: 10.1007/978-3-642-46518-5 

  10. Gottardi, G. (1989) The genesis of zeolites. European Journal of Mineralogy, v.1, 4, p.479-488. doi: 10.1127/ejm/1/4/0479 

  11. Hay, R.L. (1966) Zeolites and zeolitic reactions in sedimentary rocks,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Inc. doi: 10.1130/SPE85-p1 

  12. Kirov, G., Samajova, E., Nedialkov, R. and Stanimirova, T.S. (2011) Alteration processes and products of acid pyroclastic rocks in Bulgaria and Slovakia. Clay Minerals, v.46, p.279-294. https://doi.org/10.1180/claymin.2011.046.2.279. 

  13. Kim, M.-C., Gihm, Y.S., Son, E.-Y., Son, M., Hwang, I.G., Shinn, Y.J. and Choi, H.S. (2015) Assessment of the potential for geological storage of CO 2 based on structural and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1, p.253-271. doi: 10.14770/jgsk.2015.51.3.253 

  14. Kim, M.-C., Kim, J.-S., Jung, S.H., Son, M. and Sohn, Y.K. (2011) Bimodal Volcanism and Classification of the Miocene Basin Fill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on, Pohang,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7, p.585-612. 

  15. Noh, J.H. (1989) Zeolitization of Tertiary Formations in Janggi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p.30-43. 

  16. Pabalan. R.T. and Bertetti, F.P. (2001) Cation-Exchange Properties of Natural Zeolit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453-518. https://doi.org/10.2138/rmg.2001.45.14. 

  17. Passaglia, E. and Sheppard, R.A. (2001) The Crystal Chemistry of Zeolit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69-116. https://doi.org/10.2138/rmg.2001.45.2. 

  18. Sheppard, R.A. and Hay, R.L. (2001) Formation of Zeolites in Open Hydrologic System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261-275. https://doi.org/10.2138/rmg.2001.45.8. 

  19. Sheppard, R.A. and Hay, R.L. (2001) Occurrence of Zeolites in Sedimentary Rocks: An Overiew.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45, p.217-234. doi: 10.2138/rmg.2001.45.6 

  20. Son, M., Song, C.W., Kim, M.-C., Cheon, Y.B., Jung, S.H., Cho, H.S., Kim, H.-G., Kim, J.S. and Sohn, Y.K.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9, p.93-118. doi : 10.14770/jgsk.2013.49.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