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6, 2008년, pp.691 - 706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박현애 ((주) 동해종합기술공사)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sim}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0.15{\sim}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2.72{\sim}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d problems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space and suggested planting methods according to space function and planting concept in seashore reclaimed land, Ansan city. Planting density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zone of Ansan city was $0.04{\sim}0.17tree/m^2$, GVZ was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건설부(1977) 반월 신공업 도시개발 기본계획. 172쪽 

  2. 김봉일, 이준영, 신동인(1992) 도시계획. 기문당, 275쪽 

  3. 김영용, 이경재, 최진우, 한봉호(2008)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남부순환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3): 39-51 

  4.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모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5. 김종엽(2007)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4쪽 

  6. 김현수, 안태경, 변혜선(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97쪽 

  7.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2쪽 

  8. 대한주택공사(2000) 임해매립지 식재기반 조성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146쪽 

  9. 박달곤과 김용식(1995) 식생에 의한 소음 감쇄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23(2): 205-212 

  10. 서울특별시(2000) 서울특별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서울시 보고서 245쪽 

  11. 송근준(1990) 조경식재 설계론. 한국조경학회, 179-196 

  12. 안산의제21 추진협의회(2002) 안산의제 총괄연구보고서. 302쪽 

  13.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 25권 동물편(조류 생태). 문교부, 1126쪽 

  14. 유인표(1999) 아파트단지 완충녹지 개선방향 연구 -서울 수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15. 이우신(1998) 도시화의 영향에 의한 조류 군집의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5: 47-55 

  16. 장상항(2002) 인천 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3쪽 

  17. 장정찬(1986) 소음완화를 위한 도로변 완충녹지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0쪽 

  18. 조우(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보고서. 170쪽 

  19. 한국수자원공사(1998) 반월 특수지역 개발(안산신도시 2단계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협의내용 변경계획서. 83쪽 

  20. 한국수자원공사(2003) 시화.반월지구 대기오염 저감방안 수립. 497쪽 

  21.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1쪽 

  22.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완충녹지 기준설정 및 조성기법 개발. 291쪽 

  23. Colin J. B., N. D. Burgess and D. 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257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