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
The Influence of Married Couples' Argument-Communication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 Analyses at the Dyadic Level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6 no.10 = no.246, 2008년, pp.83 - 96  

권윤아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득성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노인생활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sample of 107 married coup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lf-reported argument-communication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Wives used more criticism, contempt, and self-assertion during marital arguments than husbands. There were no si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부부 유형마다 남편과 아내의 결혼 만족도가 달랐기 때문에 이 차이가 유의한지 추가로 알아보았다. paired t-검증 결과, 남편건설-아내파괴형 부부(paired t = 2.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를 쌍으로 모집해서 자신의 의사소통 행동이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actor effect)- 과 상대배우자의 의사소통 행동이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상대방효과(partner effect)-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몇몇 선행연구(Christensen & Heavy, 1990; Gottman, 1994b, p. 288; Gottman, Coan, Carrere, & Swanson, 1998; Gottman & Krokoff, 1989)에서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본 연구는 결혼 만족도에 대한 의사소통 행동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 성차가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 각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부 쌍이 사용하는 여러 의사소통 행동들의 연합 효과를 파악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남편과 아내 모두 부부싸움에서 비난, 경멸, 방어 및 냉담보다 자기주장과 적극적 경청을 더 많이 사용하는 부부가 그렇지 않은 부부보다 결혼 만족도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 쌍이 시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의 연합이 비슷한 부부끼리 분류하여 유형화하고 부부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성별에 따라 자기효과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남편의 의사소통 행동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내의 의사소통 행동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다르다는 뜻이다.
  • 부부싸움은 부부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맥락 내에서 일어나며 각 배우자가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은 자신뿐 아니라 상대 배우자의 결혼만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를 쌍으로 모집해서 자신의 의사소통 행동이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actor effect)- 과 상대배우자의 의사소통 행동이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상대방효과(partner effect)-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몇몇 선행연구(Christensen & Heavy, 1990; Gottman, 1994b, p.
  • 그리고 선행연구(김영희, 정선영, 2007; 이선미, 전귀연, 2005; 이종선, 권정혜, 2002결혼 만족도는만족도는 일반적으로 남편이 아내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부부씨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결혼 20년 차 이하의 초혼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부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혹은 연구 방법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 연구에서는 Gottman의 관찰연구와 달리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의사소통 행동을 측정하였다.
  • 27-35). 연구에서는 자기주장을 자신의 생각이나 마음을 상대방에게 솔직하고 분명하게 말함으로써 자신을 상대방에게 잘 이해시키는 기술로 정의하였다. 자기주장은 갈등을 생산적으로 해결하는 의사소통 과정 (process)이 시작되게 하며 (Gottman et al.
  • 그리고 화자는 청자가 자신이 한 말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서두르지 않고 충분히 자신의 입장과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경청을 상대방의 말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주의 깊게 듣고 들은 내용을 바꾸어 말하기하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질문을 통해 명료화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피드백 주기는 개념 상 자기주장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적극적 경청의 정의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만족스런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부부싸움에서 가장 피해야 할 의사소통 행동과 가장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 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부정적 의사소통 행동으로서 비난, 경멸, 방어 및 냉담과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으로서 자기주장과 적극적 경청결혼 만족도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만족스런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부부싸움에서 가장 피해야 할 의사소통 행동과 가장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 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성별에 따라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관찰이나 상대 배우자의 지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자기주장과 적극적 경청 외에도 부부싸움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도록 돕는 다른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이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학중, 유영주(2003). 한국 도시부부의 부부싸움 및 부부싸 웅 대처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2), 61-84 

  2. 권윤아, 김득성 (2008). 부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행동 척도 개발 - Gottman 네 기수(騎手)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6), 101-113 

  3.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학술논문집, 35-51 

  4. 김영희, 정선영 (200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 갈등대처방 식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65-82 

  5. 동아일보(2003. 12. 22). 부부씨움 원인 연령대별로 차이 

  6. 송시내 (1999) 결혼생활 만족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연합뉴스 (2003. 3. 4). 부부싸웅 횟수는 1년에 5회 

  8. 이선미, 전귀연 (2005).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가 인지한 갈등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패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7), 93-107 

  9. 이정은, 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10. 이종선, 권정혜 (2002). 부부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방식, 결혼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13-330 

  11. 임승규(2000). 소아당뇨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13. 홍세희 (2007) 위계적, 종단적 자료에 대한 다층모형. 연세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년 고급 연구방법론 워크삽시리즈 III 자료 

  14. Alberts, J. K., &Driscoll, G.(1992). Contarnment versus escalation: The trajectory of couples' conversational complaints. Wester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56, 394-412 

  15. Amato, P. R., & Rogers, S. J.(1997). A longitudinal study of marital problems and subsequent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612-624 

  16. Arellano, C. M., & Markman, H. J.(1995). The Managing Affect and Differences Scale(MADS): A self-report measure assessing conflict management in coupl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9(3), 319-334 

  17. Campbell, L., & Kashy, D. A.(2002). Estimating actor, partner, and interaction effects for dyadic data using PROC MIXED and HLM: A user-friendly guide. Personal Relationships, 9, 327-342 

  18. Christensen, A., & Heavey, C. L.(1990). Gender and social structure in the demand/withdraw pattern of marit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1), 73-81 

  19. Cook, W. L., & Kenny, D. A.(2005).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2),101-109 

  20. Cornelius, T., & Alessi, G.(2007).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mponents of communication training: Does the topic affect outcom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3), 608-620 

  21. Curran, P.J.(2007). SAS를 적용한 다층모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년 고급 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 I 자료 

  22. Fincham, F. D.(2003). Marital conflict: Correlates, structure, and contex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1), 23-27 

  23. Galvin, K M., & Bromme!, B. J.(1990).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이재연, 최영희 (공역). 서울: 형설출판사. (1986년 원저발간) 

  24. Gottman, J. M.(1993). A theory of marital dissolution and stabil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1), 57-75 

  25. Gottman, J. M.(1994a).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 NY: Simon & Schuster 

  26. Gottman, J. M.(1994b). What predicts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cesses and marital outcom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27. Gottman, J. M.(1999).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based marital therapy. NY: W.W. Norton 

  28. Gottman, J. M., Coan, J. A., Carrere, S., & Swanson, C.(1998). Predicting marital happiness and stability from newlywed interac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1), 5-22 

  29. Gottman, J. M., & Krokoff, L. J.(1989). Marit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 longitudinal view. Journal of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1), 47-52 

  30. Gottman, J. M., & Levenson, R W.(1988). The social psychophysiology of marriage. In Noller, P., & Fitzpatrick, M.(Eds.). Perspectives on marital interaction. Clevedon, England: Multilingual Matters 

  31. Gottman, J. M., & Levenson, R W.(1999). Dysfunctional marital conflict: Women are being unfairly blamed.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31, 1-17 

  32. Gottman, J. M., Notarius, c., Gonso, J., & Markman, H. J.(1976). A couple's guide to communication. Champaign, IL: Research Press 

  33. Greeff, A. P., & De Bruyne, T.(2000). Conflict management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and Marital Satisfaction, 26(4), 321-334 

  34. Hahlweg, K., Schindler, L., Revenstorf, D., & Brengelmann, J. C.(1984). The Munich marital therapy study. In Hahlweg, K, & Jacobson, N. S.(Eds.). Marital interaction: Analysis and modification. NY: Guilford 

  35. Halford, W. K, Hahlweg, K, & Dunne, M.(1990). The cross-cultural consistency of marital communication associated with marital di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487-500 

  36. Heavey, C. L., Layne, c., & Christensen, A.(1993). Gender and conflict structure in marital interaction: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1), 16-27 

  37. Heyman, R. E.(2001). Observation of couple conflicts: Clinical assessment applications, stubborn truths, and shaky foundations. Psychological Assessment, 13(1), 5-35 

  38. Johnson, M. D., Cohan, C. L., Davila, J., Lawrence, E., Rogge, R. D., Karney, B. R, et al.(2005). Problem-solving skills and affective expressions as predictor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1), 15-27 

  39. Kashy, D. A., & Snyder, D. K(1995). Measurement and data analytic issues in couples research. Psychological Assessment, 7(3), 338-348 

  40. Kenny, D. A., & Cook, W.(1999). Partner effects in relationship research: Conceptual issues, analytic difficulties, and illustrations. Personal Relationships, 6, 433-448 

  41. Koerner, K, & Jacobson, N. S.(1994). Emotion and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Johnson, S. M., & Greenberg, L. S.(Eds.). The heart of the matter: Perspectives on emotion in marital therapy. NY: Brunner/ Maze! 

  42. Lamanna, M. A, & Riedmann, A(1991). Marriages and families(4th ed.). Belmont, CA: Wadsworth 

  43. Levenson, R., Carstensen, L., &Gottman, J. M.(1994). The influence of age and gender on affect, physiology and their interrelations: A study of long-term marriag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56-68 

  44. Marchand, J, F., & Hock, E.(2000). Avoidance and attacking conflict-resolution strategies among married couples: Relations to depressive symptoms and marital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 49(2), 201-206 

  45. Markman, H. J., Stanley, S. M., & Blumberg, S. L.(2004). 행복한 결혼생활 만들기. 김득성, 김정옥, 김영희, 박충선, 송정아, 권윤아(공역). 서울:시그마프레스.(2001년 원저발간) 

  46. McKay, M., Davis, M., & Fanning, P.(1999).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 임철일, 최정임(공역).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1995년 원저발간) 

  47. Metz, M. E., & Epstein, N.(2002). Assessing the role of relationship conflict in sexual dysfunction.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8, 139-164 

  48. Miller, R. B., Yorgason, J. B., Sandberg, J. G., & White, M. 8.(2003). Problems that couples bring to therapy: A view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American Journal ofFamily Therapy, 31, 395-407 

  49. Olson, D. H., Defrain, J., & Olson, A. K.(1999). Building relationships: Developing skills for life. Minneapolis: Life Innovations, Inc 

  50. Rehman, U. S., & Holtzworth-Munroe, A(2007).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 of marital communication behavior to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4), 759-763 

  51. Rholes, W. S., Simpson, J. A, & Friedman, M.(2006). Avoidant attachment and the experience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3), 275-285 

  52. Ridley, C. A, Wilhelm, M. S., & Surra, C. A(2001). Married couples' conflict responses and marital qualit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8(4),517-534 

  53. Roberts, L. J.(2000). Fire and ice in marital communication: Hostile and distancing behaviors as predictors of marital di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3), 693-707 

  54. Roberts, L. J., & Krokoff, L. J.(1990). A time-series analysis of withdrawal, hostility, and displeasure in satisfied and unsatisfied marriag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1), 95-105 

  55. Sanford, K.(2003). Problem-solving conversations in marriage: Does it matter what topics couples discuss? Personal Relationships, 10, 97-112 

  56. Smolen, R. C., Spiegel, D. A., Bakker-Rabdau, M. K, Bakker, C. B., & Martin, C.(1985). A situatio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pecific assertiveness and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7, 397-410 

  57. Svavarsdottir, E. K., & Rayens, M. K.(2005). Hardiness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asthm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4), 381-390 

  58. Whelan, S. £.(2006). An exploration ofmarital inter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ttman's conflict resolution style and 'four horsemen', attachment theory, perception,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Melbourne 

  59. Wilmot, W. W., & Hocker, J. L.(2001). Interpersonal conflict(6th ed.). NY: McGraw-Hill 

  60. Young, M. E., & Long, L.L.(2004). 부부상담과 치료. 이정연(역). 서울:시그마프레스. (1998년 원저발간)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